가거도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Gageodo, Korea

  • 이지혜 (충남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 권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 황용 (전북대학교 생물학과) ;
  • 김무열 (전북대학교 생물학과) ;
  • 이정희 (국립수목원) ;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Lee, Ji-Hye (Dept. of Foresty Resources,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won, Hye-Jin (Dept. of Foresty Resources,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Yong (Dept.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Mu-Yeol (Dept.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ng-Hee (National Arboretum) ;
  • Song, Ho-Kyung (Dept. of Environment and Foresty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0.26
  • 심사 : 2010.12.14
  • 발행 : 2010.12.31

초록

This study used a phytosociolocal approach in classifying the vegetation communiti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Gageodo island of Ko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Quercus acut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Dendropanax morbifer subcommunity, Daphniphyllum macropodum subcommunity, and Quercus acuta typical subcommunity.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K, exchangeable Ca, exchangeable Mg,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ranged from 15.23~18.89%, 0.73~0.99%, 4.31~15.06 (mg/kg), 1.09~1.13 ($cmol^+$/kg), 21~7.15 ($cmol^+$/kg), 1.33~2.10 ($cmol^+$/kg), 33.04~38.28 ($cmol^+$/kg) and 4.47~4.83 respectively. The Dendropanax morbifer subcommunity were found in sites with high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low percentage of exchangeable Mg and Ca while the Daphniphyllum macropodum subcommunity were found in sites with low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exchangeable Mg and Ca. The Quercus acuta typical subcommunity were found in sites with high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exchangeable Mg and Ca. It is urgently needed to work for the preparation of an island management plan to the levels of species through habitat conserv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진택.박남창.정영관. 2002.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이 난대지역의 구실잣밤나무와 황칠나무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1(6):679-686.
  2. 기상청. 2001. 한국기후표. 기상청.
  3. 김세현.신창호.정남철.나천수.김영중. 2000. 황칠나무 분포임지의 식생주고 및 입지환경. 한국임학회지 89(1):93-104.
  4. 김용식.오구균. 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환경생태학회지 10(1):128-139.
  5. 김용식.오구균. 1997.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I). -남.동해 몇몇 도서의 관속실물상-. 환경생태학회지 11(1):61-83.
  6. 김철수. 1987. 홍도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홍도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 보고서-. 신안군 pp. 88-174.
  7. 김철수.박연우. 1988. 소흑산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연안생물연구 5:1-44.관속식물상. 환경생태학회지 11 (1):61-83.
  8. 김철수.박연우.양효식.오장근. 1990.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III). -거문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연안생물연구 7(3):1-22.
  9. 김철수.오장근.임억규.곽애경. 1994. 소흑산도의 식생. 93자연생태계 지역정밀조사 보고서. -소흑산도-. 13-41.
  10. 박관수.이수욱. 1990. 삼림토양내 유기물함량이 토양입단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79(4):367-375.
  11. 신현철.박남창.송호경. 1999. 남해안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산림과학논문집 60:11-25.
  12. 오구균.최송현. 1993.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459-476.
  13. 오구균.김보현. 1998.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 환경생태학회지 12(3):279-289.
  14. 오구균.김용식. 1997a.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힘 복원 모형(IV). -사례지의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1(3):334-351.
  15. 오구균.김용식. 1997b.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힘 복원 모형(V). -사례지의 복원전략-. 환경생태학회지 11(3):352-365.
  16. 오구균.조우. 1994. 홍도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27-42.
  17. 이경재.조재창.이봉수.이도석. 1990. 광릉삼림의 식물군집구조(I).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소리봉지역의 삼림군 집구조분석-. 한국임학회지 79(2):173-186.
  18. 이일구.황경수.송종석. 1980. 서남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와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2:13-33.
  19. 이일구. 1981. 동남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와 그의 보존상태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3:89-109.
  20. 이정석.김춘식. 1987. 흑산군도의 관속식물상.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6:135-168.
  21. 이지혜.소순구. 서강욱. 김무열. 송호경. 2010. 홍도상록활엽수림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1):54-61.
  22.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3. 이천용. 1998.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350pp.
  24. 이호준.김종홍.김창호. 1987. 흑산군도의 식물생태,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6:91-133.
  25. 이호준.양효식. 1988. 금오도 상록활엽수림의 생태학적 연구. 자연보존 61:29-45.
  26. 임병선.김하송.이점숙. 1993. 소흑산도의 식물상 및 녹지자연도. 연안생물환경 10:13-37.
  27. 임윤희.오구균. 1999.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17-33.
  28. 정병석.김우종. 1992. 전통도료 황칠재현을 위한 황칠나무의 특성 및 이용에 관한 연구. 광주직할시 과학교육원 48pp.
  29. 정영호.홍순우. 1954. 소흑산도의 식물상. 생물과학연구 1(1):19-29.
  30.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694-700.
  31. 최성규. 1996. 완도지역 황칠나무의 자생지 환경및 생육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4(1):1-6.
  32. 上原敬二. 1934. 樹木大圖說(II). 有明書房. 1300pp.
  33. Bicklhaupt, D. H., and E. H. White. 1982. Laboratory manual for soil and plant tissue analysis. SUNY Coll. Envir. Sci. and For., Syracuse, N.Y. pp.67.
  34. Binkley, D. 1994 The influence of tree species on forest soils-processes and patterns. In:Trees and Soil Workshop Proceedings, Lincoln University, Christchurch, New Zealand, 28 Feb.-2 Mar. 1994.
  35. Black, C. A., D. D. Evans, L. E. Ensminger, J. L. White and F. E. Clark. 1965.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Phys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Including Statistics of Measurement and Sampling. Am. Soc. Agr.,Madison, Wl. pp.770.
  36.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e. 3. Auflage. Wien, New York. 865pp.
  37.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ogy 32: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8. Dierssen, K. 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39. Hill, M. O. 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40. Miller H. G., & R. L. Donahue. 1990. Soil.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 J.
  41.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547pp.
  42. Starr, J. L., Parkin, T. B., and Meisinger, J. J. 1995. Influence of sample size in chemical and physical soil measurement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9:713-719. https://doi.org/10.2136/sssaj1995.03615995005900030012x
  43. Ter Braak, C. J. F. 1987. CANOCO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 dence analysis, principal 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