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통선.비무장지대(DMZ)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 - 동해 북부선 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f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DMZ Area - Focusing on the Donghae Bukbu Line -

  • 김창환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김귀곤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
  • 최영은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
  • 김상식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과) ;
  • 신중열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과)
  • Kim, Chang-Hwan (Dept. of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ure-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Kwi-G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ung-Eun (Division of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Sik (Dep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Design,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Jung-Ryeul (Dep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Design,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0.14
  • 심사 : 2010.12.15
  • 발행 : 2010.12.31

초록

In this study, wetlands and forest vegetation surrounding rail, road of DMZ area and Civilian Control Line were studied as follows: Plant communities hierarchical system of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methods of Braun-Blanquet (1964)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tland vegetation major communities; Scirpus wichurae community, Scirpus fluviatilis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Typha oriental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Juncus alat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ragmites commun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Alnus japonica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Prunus padus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and Amorpha fruticosa community were surveyed.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a DMZ area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mainly characterized by; Carex pumila,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Rosa rugosa, Calystegia soldanella, Lathyrus japonica and Aster hispidus, species that are of typically sand dune vege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귀곤. 2005. 동해북부선 철도연결사업 2004년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 한국철도 설공단 p.75-76.
  2. 김종원․이득임․김원. 1995. 소나무림 및 신갈나무림의 최소면적과 군락구조. 한국생태학회지 18:451-462.
  3. 고강석외 14명. 2000. 동해안 산불지역 정밀조사 보고서1. 동해안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p.333-459.
  4.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5.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6.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연구보고서 13:5-84.
  7. 백원기. 2001. 한국특산식물의 현황과 보존. 산림 유전자원의 보존 및 개발. 임업연구원 제주시험장 pp.66-99.
  8.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5.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1차 보고서 pp.185.
  9.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 - 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10. 이영노. 1998.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1.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12. 이우철․백원기․유기억. 1995. 95비무장지대 인접지역자연환경정밀조사보고서(I). 환경부 pp.95-124.
  13. 이우철․이은복․백원기․고재기. 1992. 비무장지대 인접지역(강원도)의 녹지자연도 및 식물상. 비무장지대 인접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처 pp.41-99.
  14. 이우철․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춘천.
  15.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6.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7. 임양재․양권열․김종근․방제용. 1990. 가야산 국립공원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8:57-79.
  18. 임양재․양권열․김종근․방제용. 1989. 영암 월출산 삼림식생의 물질생산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보고서 27:71-82.
  19. 조두성. 2006. 한국 해안사구의 토양환경과 식물 군락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Braun-Blanquet, J. 1964. Planzen Soziologie, 3. Auf, Springer, Wein, New York. 865pp.
  21. Kim, J. U., and Y. J. Yim, 1988.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or. J. Bot. 31(1):1-31.
  22. Werger M. G. A. 1974. on concepts and techniques aplied in the Zurich-Montpellier method of vegetation survey. Bothalia. 11:309-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