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한북정맥 훼손유형 연구

The Study on Damaged Hanbuk Mountain Range in Gyeonggi-Do

  • 서정영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정책연구부) ;
  • 이양주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정책연구부)
  • Seo, Jung-Young (Gyeonggi Research Institut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olicy) ;
  • Lee, Yang-Ju (Gyeonggi Research Institut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olicy)
  • 투고 : 2010.05.18
  • 심사 : 2010.07.19
  • 발행 : 2010.08.30

초록

This study is for Hanbuk Mountain Range within Gyeonggi province which is to propose the conservation plan by each damage pattern through site survey of the mountain range. The damage patterns are classified by siding, pointing and lining. The total damaged area is 103 areas: The siding pattern is damaged by developing farmland, mineral and quarry mining, dam, large scale development complex and cemetery park; The pointing pattern i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road, transmission tower and way and mountaineering trail; The construction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acility, military facility,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heliport and shelter. The damages by developing road and large scale development complex are the most cause, and military facility, dam and reservoir, and residential area are the main causes, respectively. One of the compromised situation Hanbuk-Mountain Range usage as per section 7 section (18.45%), 12 section (18.45%) is the largest number of compromised has been surveyed, undermine the situation if you look at the usage by the road 25 locations (24.22%), military facilities and dam and reservoir to undermine this 11 established respectively (10.68%) were the most undermine.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 the conservation plan as follow: first, need to understand, educate and publicize on Hanbuk-Mounatin Range; second, manage through the regulations and ordinance of Gyeonggi province; third build and expand the law for protecting Baekdu-Great Mountain Rang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 2002.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연구 :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1 심포지엄 자료.
  2. 권혁재. 2000. 한국의 산맥. 대한지리학회지 35(3).
  3. 권태호․이준우․김동욱. 2004. 백두대간 마루금등산로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 175-183.
  4. 권태호․최송현․유기준. 2002.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유역확장방식에 의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4) : 106-118.
  5. 김영표․임은선. 2005. 한반도 산맥체계의 변천과 문제점 분석. 국토연구 45 : 145-163.
  6. 김영표․임은선․김연준. 2004.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연구 :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 김종연․김주용. 2005. 북한 학자들에 의한 북한지형 연구현황 : 장기 지형 발달과 하천지형, 빙하지형, 산맥체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2(2) : 11-26.
  8. 박수진․손일. 2005. 한국 산맥론(II) : 한반도 '산줄기 지도'의 제안. 대한지리학회지 40(3) : 253-273.
  9. 박철웅. 2006. 한반도 산맥체계 논의에 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3(1) : 35-58.
  10.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산악회. 2008. 남한 1대간 9정맥 종주기.
  11. 손 일. 2003. 분수계의 지리적 함의와 백두대간. 한국지형학회지 10(1) : 110-118.
  12. 신준환. 2004. 백두대간 관리범위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 197-204.
  13. 유기준. 2002. 백두대간의 개념적 관리범위모형수립을 위한 접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 408-419.
  14. 유기준. 2004. 백두대간 관리에 대한 지역주민 및 이용객의 인식 비교 : 덕유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18(2) : 184-190.
  15. 이동근․송원경․전성우․성현찬․손동엽. 2007.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4) : 41-53.
  16. 이양주. 2008. 광역녹지축 측면에서 바라 본 그린벨트 구역의 실효성. 경기개발연구원 Policy Brief.
  17. 임업연구원. 2001.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을 위한 기초조사 및 현지확인 조사 결과.
  18. 조화룡. 2003. 산경표 산맥 체계로는 우리나라 지체구조를 설명할 수 없다. 한국지형학회지 10(1) : 107-109.
  19. 최윤호․이준우․권태호․한성우․김명준․전용준․김동욱. 2004. 백두대간 훼손지 복원의 우선순위 및 수행절차.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학술대회지 2004(2) : 33-36.
  20. 환경부. 녹색연합. 1998. 백두대간 환경대탐사보고서.
  21. 환경부. 2001.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1차년도).
  22. 환경부. 2002.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관리방안 수립을 중심으로(2차 년도).
  23. 환경부. 2003. 백두대간 훼손실태 조사연구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