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thetics of Samjae and Inequilateral Triangle Found in Ancient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 Centering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in Seosan -

고대(古代) 마애삼존불(磨崖三尊佛)에서 찾는 삼재(三才)와 부등변삼각(不等邊三角)의 미학(美學) - 서산마애삼존불의 형식미를 중심으로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Kyu-Wan (Dept. of Ornamental Horticulture, Youngsun High School) ;
  • Jang, Il-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Goh, Yeo-Bin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규완 (영선고등학교 관상원예과) ;
  • 장일영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고여빈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08.17
  • Accepted : 2010.09.16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for implementing and applying Samjonseokjo(三尊石造), which is one of traditional stone construction method, by confirming how the constructive principle is expressed such as proportional beauty, which is contained in the modeling of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that was form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centering on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in Susan. The summarized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size and proportion of totally 17 of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the average total height in Bonjonbul(本尊佛) was 2.96m. Right Hyeopsi(右挾侍) was 2.19m. Left Hyeopsi(左挾侍) was 2.16m. The height ratio according to this was 100:75:75, thereby having shown the relationship of left-right symmetrical balance. The area ratio in left-right Hyeopsi was 13.4:13.7, thereby the two area having been evenly matched. 2. The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in Seosan is carved on Inam(印岩) rock after crossing over Sambulgyo bridge of the Yonghyeon valley. Left direction was measured with $S47^{\circ}E$ in an angle of direction. This is judged to target an image change and an aesthetic sense in a Buddhist statue according to direction of sunlight while blocking worshipers' dazzling. 3. As for iconic characteristics of Buddha Carved on Rock in Seosan, there is even Hyeopsi in Bangasang(半跏像) and Bongjiboju(捧持寶珠) type Bosangipsang. In the face of Samjon composition in left-right asymmetry, the unification is indicated while the same line and shape are repeated. Thus, the stably visual balance is being shown. 4. In case of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in Seosan, total height in Bonjonbul, left Hyeopsi, and right Hyeopsi was 2.80m, 1.66m, and 1.70m, respectively. Height ratio in left-right Hyeopsibul was 0.60:0.62, thereby having been almost equal. On the other hand, the area ratio was 28.8:25.2, thereby having shown bigger difference. The area ratio on a plane was grasped to come closer to Samjae aesthetic proportion. 5. The axial angle of centering on Gwangbae was 84:46:50, thereby having been close to right angle. On the other hand, the axial angle ratio of centering on Yeonhwajwa(蓮華坐: lotus position) was measured to be 135:25:20, thereby having shown the form of inequilateral triangle close to obtuse angle. Accordingly,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in Susan are taking the stably proportional sense in the middle of maintaining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through angular proportion of inequilateral triangle in right angle and obtuse angle. 6. The distance ratio in the upper half was 0.51:0.36:0.38.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ratio in the lower half was 0.53 : 0.33 : 0.27. Thus, the up-down and left-right symmetrical balance is being formed while showing the image closer to inequilateral triangle. 7.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ship of Samjae-mi(三才美) targeting Triad of Buddha Carved on Rock in Susan, the angular ratio was shown to be more notable that forms the area ratio or triangular form rather than length ratio. The inequilateral triangle, which is formed centering on Gwangbae(光背) in the upper part and Yeonhwajwa(lotus position) in the lower part, is becoming very importantly internal motive of doubling the constructive beauty among Samjae, no less than the mutually height and area ratio in Samjonbul.

본 연구는 서산마애삼존불을 중심으로 삼국시대 조성된 마애삼존불상 조형에 담겨진 비례미 등 구성적 원리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전통 석조 방식의 하나인 삼존석조의 구축 및 응용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모색하였다. 총 17개 마애삼존불의 크기 및 비율 분석 결과, 본존불의 평균 전고는 2.96m, 우협시는 2.19m, 좌협시는 2.16m였다. 이에 따른 높이비는 100:75:75로 좌우 대칭균형의 관계를 보였고, 좌우협시의 면적비는 13.4:16.7 로 우협시의 면적비가 높았다. 서산마애삼존불은 용현계곡의 삼불교를 건너 인암(印岩) 바위에 새겨져 있으며, 좌향은 방위각 $S47^{\circ}E$로 측정되었다. 이는 예배자의 눈부심을 차단하면서 햇빛의 방향에 따른 불상의 이미지 변화와 미감을 노린 것으로 판단된다. 서산마애불의 도상적 특징은 반가상과 봉지보주형 보상입상을 협시도 하고 있으며, 좌우비대칭형의 삼존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선과 형태가 반복되는 가운데 통일성을 보임으로서 안정된 시각적 균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서산마애삼존불의 경우, 본존불과 좌협시 그리고 우협시의 전고는 각각 2.80m, 1.66m, 1.70m였다. 좌우협시불의 높이비는 0.60:0.62로 거의 대등한 반면 면적비는 28.8:25.2로 보다 큰 차이를 보여 평면상의 면적비가 삼재미적 비례에 더욱 근접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배 중심의 사윗각비는 88:44:48로 직각에 가까운 반면 연화좌 중심 사윗각의 비는 127:30:23으로 측정됨으로서 둔각에 가까운 부등변삼각형의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서산마애삼존불의 상부와 하부는 직각과 둔각의 부등변삼각형의 각도 비례를 통한 대응적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안정적 비례감을 취하고 있다. 상반부의 거리비는 0.51:0.36:0.38인 반면 하반부의 거리비는 0.53:0.33:0.27로 보다 부등변삼각형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면서 상하 좌우대칭의 비대칭균형을 이루고 있다. 서산마애삼존불을 대상으로 삼재미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길이비 보다는 면적비나 삼각도형을 이루는 각도비가 더욱 두드러져 나타났다. 각 불상 상호간의 높이 및 면적비 못지않게 상부 광배와 하부 연화좌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부등변삼각이 이루는 구도는 삼재간의 구성적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매우 중요한 내부적 동인이 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여빈, 장일영, 노재현(2010). 古代 磨崖三尊佛에서 찾는 三才美의 構成比: 충남 서산마애삼존불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72-80.
  2. 구미래(1992). 한국인의 상징체계. 서울: 교보문고.
  3. 金理那(1989). 한국고대불교조각상연구. 서울: 일조각.
  4. 김정희(2009). 불화,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파주: 도서출판 돌베개.
  5. 두산동아(1996).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두산동아. p.332.
  6. 리영순(2006). 동물과 수로 본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고양: 훈민.
  7. 문명대(1999). 백제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도상 해석. 한국미술사학회지. 221.222: 5-31.
  8. 민경현(1985). 전통 수석정원에 관한 연구: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4): 307-337.
  9. 민경현(1987). 淨土寺院의 景觀構成과 造苑技法; 繼朝菴의 淨土峴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4): 113-131.
  10. 민경현(1998). 한민족의 음양과 삼재사상이 남긴 부등변삼각형의 공간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3): 95-107.
  11. 박성상(2004). 한국 고대 마애불상. 서울: 학연문화사.
  12. 박성상(2005). 서산 마애삼존불상 연구. 충청사학. 24: 45-57.
  13. 엄기표(2004). 정말 거기에 백제가 있었을까. 서울: 고래실. pp.278-286.
  14. 유홍준(1997).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 서울: 창작과 비평사. pp.13-29.
  15. 윤철현(2005). 삼국시대 마애불의 조형적 특성 연구. 경희대학교 현대미술연구소논문집. 8: 113-144.
  16. 윤평섭(1998). 개정판 조경학. 서울: 문운당. pp.4-5, 42, 47, 108-110.
  17. 윤평섭(1998). 화예에 있어서 삼재미에 배치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지. 2: 141-162.
  18. 윤평섭(2003). 비대칭균형에 의한 화예장식의 시각편중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논문집. 8: 227-241.
  19. 이경희(2003).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근철(2008). '천부경'의 '天.地.人'에 관한 연구. 선도문화. 4: 29-58.
  21. 이상언(1995). 한국인의 數 槪念 硏究(1): 숫자 3에 대하여. 韓國民俗學報. 5: 113-156.
  22. 정예경(2007).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양식 고찰(상): 본존상의 양식. 문화사학. 26: 23-46.
  23. 정옥헌(2008). 일본 고산수정원의 구성기법.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재훈(1996). 한국 전통의 원. 서울: 도서출판 조경사. pp.507-537.
  25.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도서출판 대가. p.258.
  26. 황수영(1959). 서산백제마애삼존불상. 진단학보. 2: 189-193.
  27. 田中昭三(2007). よくわかる. 日本庭園の見方. JTB Publishing.
  28. 地坊專永(1972). いけばな. 保育社. 日本 大阪: p118, 130, 139.
  29. http//www.cha.go.kr
  30. http//www.encyb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