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the View of Complexity Theory - Focusing on Soswaewon Garden -

'복잡성(Complexity) 이론'에 의한 한국 전통정원의 해석 - 한국의 명원 소쇄원을 중심으로 -

  • Jang, Il-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장일영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4.23
  • Accepted : 2010.06.25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new analysis on Soswaewon Garden(瀟灑園) where is Korea's traditional garden, focusing on which the tendency of its change is a relational-formation tool similar to the Eastern Mode of Thought, with paying attention to conversion as the new view of world. Accordingly, the aim is to reanalyze by connecting with Soswaewon Garden based on the theory of complexity, which tries to look at the whole through relationship rather than characteristics in individual components. Given summarizing findings, thos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mplexity shown in space and open system of physical dimension was characterized by 'event(situation)', 'non-determination' and 'homogeneous relationships between part and whole', and a variety of techniques introduced the nature positivel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cases of topographic usage, since the Soswaewon Garden selected its construction site proactively and was a product from architectural works in compliance with a given flow of natural topography. This has a nature of open text in the situation of emergent behaviors. Second, it was found that complexity shown in experiences and open system on the invisible dimension was characterized primarily by 'event(situation)' and 'relationships of interactive response between actors and environment', and various techniques appeared as a space for interactive combination of nature and daily experiences. This is typical of bilateral harmony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between mankind and nature, and becomes also a space to accommodate temporary emergent behaviors in our life. Third, the compositional elements are reconstituted as space of organic property with dismantling steady relations. Especially, 'Soswaewon Garden's 48 poems(瀟灑園四十八詠)' will be the origin of the emotionally spatial experience to the current performers. Ultimately, the performer in the space of Soswaewon Garden simultaneously becomes a creator of space, and will generate new space with intertextuality with environment. Therefore, Soswaewon Garden becomes a place of binding me and the other together while maintaining mutual relationship based on organic thinking between a human being and nature and between the whole and a part.

본 연구는 새로운 세계관으로서의 전환에 대해 주목하고 그 변화의 경향이 동양적 사유 방식과 유사한 관계형성 도구라는 것에 초점을 맞춰 한국 전통정원인 소쇄원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개별적 구성요소들의 특성보다는 관계를 통해 전체를 바라보려는 복잡성 이론에 기초하여 소쇄원과 연결, 재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차원의 공간과 열린 시스템에 나타난 복잡성의 특성은 '사건(상황)', '비결정성', '부분과 전체의 상동적 관계' 등 세 가지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기법들은 자연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형의 이용이 많은 이유는 소쇄원의 경우 부지를 적극적으로 선택하였고, 그 주어진 자연지세의 흐름에 순응하며 건축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이것은 창발적 상황에 열린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갖게 된다. 둘째, 비가시적 차원으로서의 경험과 열린 시스템에 나타난 복잡성의 특성은 '사건(상황)', '행위자와 환경간의 상호 감응관계'가 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기법들은 자연과 일상의 경험이 결합되어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체와 객체,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양방향의 어울림의 전형이라 할 수 있으며, 삶의 일시적 행태를 담아내는 창발적 공간이 된다. 셋째, 자기조직화를 통한 감성언어와 체험에서의 구성요소들은 고정적 관계들을 해체하고 유기성을 가진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특히 '소쇄원 48영'은 현재의 행위자들에게 소쇄원의 감성적 공간체험을 위한 원천이 되어준다. 결국 소쇄원 공간에서의 행위자는 동시에 공간의 창출자가 되며, 환경과 상호텍스트 된 새로운 공간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소쇄원은 인간과 자연, 전체와 부분의 유기적 사고를 바탕으로 상호관계를 유지하면서 나와 타자를 결속시켜주는 장소가 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남(2009). 복잡계 이론으로 정책과 효과 간의 인과관계 푼다. 한국과학기술단체연합회.
  2. 강영조(2001). 소쇄원 48영에 보는 경관체험과 평가의 원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35): 62-74.
  3. 길성호(2003). 수용미학과 현대건축. 서울: 시공문화사. p.166.
  4. 김봉렬(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2. 서울: 돌베게. p.65.
  5. 김성우, 이승용(2003). 場이론에 입각한 건축에서의 장의 이해와 건축장의 가능성. 대한건축학회지. 19(5): 11-18.
  6. 김성우(2004). 시각과 감응: 동서양 건축에서의 경험의 문제. 건축역사연구. 13(4): 45.
  7. 김주미(2000). 복잡계로서의 건축개념과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2(3): 123-131.
  8. 김주미(2001). 비선형 패러다임과 디지털 건축. 대한건축학회. 45(9): 10-16.
  9. 권영걸(2001). 공간디자인 16강. 서울: 도서출판 국제. p.126.
  10. 박영욱(2009). 필로아키텍처. 서울: 향연. p.145.
  11. 박정욱(2001). 풍경을 담은 그릇 정원. 서해문집. pp.61-72.
  12. 심광현(1999). 문화생태학 구성을 위한 시론: 근대적 합리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연구패러다임을 위하여. 서울: 원도시건축아카데미.
  13. 심광현(2005). 프랙탈. 서울: 현실문화연구. p.318.
  14. 신상섭(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지역: 도서출판 대가. p.49.
  15. 서자유(2007). 틈 개념에 의한 한국전통정원의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종상(2000). LOCUS 조경과 비평 2: 다시현실의 틈에서. 서울: 조경문화. p.99.
  17. 성종상(2006). 조경 미학 디자인: 고산 윤선도 원림의 생태미학. 서울: 도서출판 조경. p.229.
  18. 이인식(2008). 지식의 대융합. 서울: 고즈윈. p.244.
  19.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57-134.
  20. 임석재(1999). 우리 옛 건축과 서양 건축의 만남. 서울: 대원사. p.313.
  21. 엄기홍(2007). 부정적 시각성의 문제. 예술학. 4(1): 35.
  22. 유명희(2005). 자기조직화 이론과 현대건축공간구성의 상관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윤영수, 채승병(2005). 복잡계 개론.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p.55.
  24. 장일영, 김진선(2006). 현대조경설계에 있어서 시각 개념의 전개 양상-가시성에서 확장된 시각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4): 7-8.
  25. 조현일(2009). 1000. 서울: 접힘/펼침. p.36.
  26. 천득염(1999). 한국의 명원 소쇄원. 서울: 도서출판 발언. p.99.
  27. 최창현, 박찬홍(2007). 복잡계와 동양사상. 서울: 지샘. pp.143-144.
  28. Fritiof Capra(1998). 김용정, 김동광 옮김. 생명의 그물: 생물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과학의 이해. 서울: 범양출판사.
  29. Taylor, Mark C.(2001). The moment of complex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