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t Behaviou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Evolving swarm of UAVs

  • Chi, T.Z.;Cheng, Hayong;Page, J.R.;Ahmed, N.A.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1권2호
    • /
    • pp.219-232
    • /
    • 2014
  • This paper reports on an ongoing study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of using an evolutionary method to develop the rules governing Self-Organised (SO) systems for use in swarm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design swarm systems that follow explicit global behaviour. Unlike optimising a predefined objective function,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the emergent behaviour in the SO systems which results from simultaneous interactions among agents and between agents and their environment. In this study, evolutionary algorithms are used to investigate their control and effectiveness in synthesising the weighting of different rules on SO emergent behaviour. Both homogeneous swarms and heterogeneous swarms were considered though the results provided are for a case study investigating the simplest problem a homogeneous swarm without mutation. Though simple this study does indicate the potential of the approach.

Testing the Andrews Framework of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Case Study of the University of Cape Coast Digital Library in Ghana

  • Adzobu, Nesba Yaa Anim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49-65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used by the University of Cape Coast (UCC) in building its digital collections compare with the Andrew's strategic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theoretical framework. Theory-testing case study methodology was used.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s were the key informant interview technique and document reviews. During the formulation phase, two aspects (resources and aspirations of senior management) were emergent. During the implementation phase, five aspects (achieving results, processes and behaviour, standards, motivation, personal) were emergent. All other elements of building the UCC digital collections were planned during both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phases. Although the emphasis on students and learning is laudable and apt, there seems to be lack of focus on research support beyond digital collection building, despite the fact that research excellence is one of the UCC's key priorities. Opportunities exist for improving feedback mechanisms between the users, digital library staff and the university management; and inclusion of social media tools in the digital library project. Since only the experience of a single institution of higher learning is considered, it cannot be definitively stated that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will be similar in every institutional context. However, th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academic digital libraries to draw lessons from this case. In African public universities, there is little earlier research on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in digital library management.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is a critical issue for higher education academic librarie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Ghana, due to limited financial resources and the rapid change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유형-2 퍼지 논리 기반 그린 IT 깊이 성숙도 모델 (A Type-2 Fuzzy Logic Base Maturity Model of Green IT Richness)

  • 문경일;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73-283
    • /
    • 2010
  • 복잡계 관점에서 트래픽 패턴, 도시 및 다세포 생물학적 유기체 등이 하나의 창발적인 현상인 것처럼, '그린 IT'의 개념 또한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인간 세계에서 태동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창발적인 현상이다. 복잡계 이론의 관점에서 그린 IT는 무작위한 것으로부터 대단히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상당히 뒤얽힌 시스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그린 IT 시스템 또한 하나의 복잡계라 할 때, 그러한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억제시키는 미지의 끌개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그린 IT 시스템의 잠정적인 끌개들을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그린 IT의 끌개라 할 수 있는 그린 IT 너비-깊이 행렬을 기반으로 그린 IT 진화 및 자기조직화 되어가는 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유형-2 퍼지 시스템을 구축한다.

  • PDF

'복잡성(Complexity) 이론'에 의한 한국 전통정원의 해석 - 한국의 명원 소쇄원을 중심으로 -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the View of Complexity Theory - Focusing on Soswaewon Garden -)

  • 장일영;신상섭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5-85
    • /
    • 2010
  • 본 연구는 새로운 세계관으로서의 전환에 대해 주목하고 그 변화의 경향이 동양적 사유 방식과 유사한 관계형성 도구라는 것에 초점을 맞춰 한국 전통정원인 소쇄원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개별적 구성요소들의 특성보다는 관계를 통해 전체를 바라보려는 복잡성 이론에 기초하여 소쇄원과 연결, 재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차원의 공간과 열린 시스템에 나타난 복잡성의 특성은 '사건(상황)', '비결정성', '부분과 전체의 상동적 관계' 등 세 가지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기법들은 자연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형의 이용이 많은 이유는 소쇄원의 경우 부지를 적극적으로 선택하였고, 그 주어진 자연지세의 흐름에 순응하며 건축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이것은 창발적 상황에 열린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갖게 된다. 둘째, 비가시적 차원으로서의 경험과 열린 시스템에 나타난 복잡성의 특성은 '사건(상황)', '행위자와 환경간의 상호 감응관계'가 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기법들은 자연과 일상의 경험이 결합되어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체와 객체,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양방향의 어울림의 전형이라 할 수 있으며, 삶의 일시적 행태를 담아내는 창발적 공간이 된다. 셋째, 자기조직화를 통한 감성언어와 체험에서의 구성요소들은 고정적 관계들을 해체하고 유기성을 가진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특히 '소쇄원 48영'은 현재의 행위자들에게 소쇄원의 감성적 공간체험을 위한 원천이 되어준다. 결국 소쇄원 공간에서의 행위자는 동시에 공간의 창출자가 되며, 환경과 상호텍스트 된 새로운 공간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소쇄원은 인간과 자연, 전체와 부분의 유기적 사고를 바탕으로 상호관계를 유지하면서 나와 타자를 결속시켜주는 장소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