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Growth Conditions and Maintenance of Law-Protected Trees in Je-cheon City

제천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현황 평가

  • Received : 2010.04.07
  • Accepted : 2010.06.24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Law-protected trees are our precious asset as natural resources with history and tradition and natural heritage which should be protected and maintained well to bequeath next generation. Law-protected trees have not only thremmatologic and genetic meaning but also environmental and emotional meaning for their value to be high. This study investigated location, vitality, wrapping condition of root area and status of maintenance of the trees to figure out their growth environment and status of maintenance in a small-middle city through survey on those of law-protected trees in Je-cheon. There showed 300 more year old trees in Je-cheon mostly and the number of trees located in flat fields was the highest. For location type, village, hill and road type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and for degree of development, land for building was found most frequently. The average electric resistance of the formative layer was measured to be $8.4k{\Omega}$ and four trees showed bark separation. Most law-protected trees underwent tree surgery, and complete bareness of root area was observed in a tree. The root area of two trees was covered with concrete. pH of soil was recorded to be 5.0~8.4 with its average of 7.1 and electric conductivity(EC) was less than 0.5 dS/m. For status of maintenance rearing facilities were placed for 16 trees out of totally 48 ones and stone fence was done for three ones. Tree surgery was conducted for 33 trees to prevent and to treat decomposed parts of holes. Direction boards were installed for 23 trees. Based on these results, measures to manage systematically law-protected trees in Jecheon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 sufficient space for growth of low part of trees should be secured. Second, a voluntary management should be induced by advertising them to residents in a community. Third, rearing facilities and direction boards of law-protected trees should be placed and relate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urth, through operation of the department for law-protected trees consisting of related professions and cooperation among related departments the trees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보호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자원으로 우리의 소중한 자산이자 보호관리하여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자연유산이다. 보호수는 수목으로 육종학적, 유전학적인 의미를 가짐과 동시에 환경적, 정서적 의미를 가지며,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천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현황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식물학적 특성, 입지현황, 건강도, 토양특성, 근원부 성상, 관리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제천시 보호수는 300 이상의 수령이 가장 많았으며, 평탄지에 주로 위치하였다. 입지유형은 마을형, 동산형, 도로형의 순이었으며, 개발 정도는 건물지가 가장 많았다. 형성층 전기저항 측정치는 평균 $8.4k{\Omega}$로 나타났으며, 4그루에서 수피이탈 현상이 있었다. 대부분의 보호수에서는 외과수술이 실시되어 있었고, 근원부성상에서 완전 나지화가 된 곳은 1그루로, 근원부위에 콘크리트로 포장된 곳은 2곳으로 조사되었다. 토양산도는 5.0~8.4의 범위로 평균 7.1로, 전기전도도 EC는 0.5dS/m 이하로 측정되었다. 보호책은 총 48그루 중에서 16그루만 설치되어 있었으며, 석축이 설치된 곳은 3곳이었다. 외과수술이 시행된 곳은 총 33그루로 대부분이 공동의 부패부위방지 및 치료인 것으로 추측되며, 안내판은 23그루에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이승제(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I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36-45.
  2. 강호철, 이정환, 이광수, 사공영보(2002). 농촌지역 노거수의 생장활력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평가(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4): 27-36.
  3. 강호철, 이정환(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실태와 보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68-83.
  4. 김정일(2005). 해남군 보호수의 생육상태 및 보호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승환, 김순희(1996). 부산시 노거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 86-98.
  6. 김현정,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2007). 서울시 보호수 생육환경 및 관리실태 조사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27-140.
  7. 김태식, 이창훈, 박인환, 이혜영(2009). 전라도지역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 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36-147.
  8. 농촌진흥청(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pp.29-130.
  9. 박봉주, 윤용한, 김원태, 이원호(2007). 충주시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60-71.
  10. 박종민, 이정택, 변무섭(2000). 전북지역 노거수 자원의 실태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86-96.
  11. 서정영, 이영이, 나명하, 이재근(2009). 보호수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93-102.
  12. 이경준, 이승제(2007). 조경수 식재관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3. 이선, 배상원(2005). 창덕궁 노거수의 수령 측정 및 생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19-35.
  14. 이승제(2004). 활력도 및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노거수 관리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정환, 강호철(2006). 천연기념물 해설판 내용(학명, 향명)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 3-42.
  16. 임혁성, 심우경(2005). 노거수 문화경관 가치와 조경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94-101.
  17. 장명준(2003). 노거수의 생육환경 및 보호에 관한 조사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진철, 전경수, 장규관, 최정호(1993). 노거수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12: 369-383.
  19. 정종수, 주상현, 이재근(2008). 노거수 외과수술실태 및 보존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7-105.
  20. 정근, 서정영, 이재근(2009). 노거수 환경여건 개선을 위한 은행나무와 소나무의 생육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57-65.
  21. 조정록(2004). 순천시 노거수 관리 및 보호대책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하태주, 방광자(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 활력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1): 100-107.
  23. 한국환경과학회(2009). 그린조경학. 서울: 문운당. pp.6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