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ideration on the Moat of Wolseong Fortress at Gyuongju

경주 월성의 해자(垓字)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10.05.06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Our country traditionally employed a defensive system against the aggression by foreign powers by using a town castle and mountain castle. The moat was one of such a defensive system; however, there is few research work on a moat in comparison with its long histo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e the process of the changes of the Wolseong Fortress at Gyuongju, focused on the moat of the scale and nature of the construction methods to analyze such a Wolseong Fortress at Gyuongju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through bibliographical study, on-site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etc. This research discovered some facts as follows: the moats of Wolseong fortress at Gyeongju are roughly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a natural moat flowing curved by the south side of Wolseong using the natural stream[Namcheon]as it is; the second one is a pond-type moat made by digging up plane non-rectangular pond along stereobate of castle wall with lakefront built with stream pebbles, and the last one is masonry moat at the east side of Wolseong with chisel-trimmed granites orderly piled in a plane triangular form. Among these, the pond-type moat was identified at the east-north-west side of Wolseong and the pond slopes from east to west as a separate one constructed with the terraces.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과는 다르게 외세의 침입을 도성과 산성의 방어 체계로 막았다. 이러한 방어 체계를 가진 것이 해자의 기능 중 하나이며, 해자는 오랜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주 월성의 개요와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경주 월성 해자의 규모와 축조방식 등 월성 해자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 것으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및 인터뷰 등을 통해 고찰해 본 결과, 경주 월성의 해자는 월성 남편을 만곡되게 흐르는 자연하천(남천)을 그대로 이용한 자연해자와 성벽 기단부를 따라 평면 부정형의 못을 파고 냇돌로 호한을 구축한 연못형 해자, 그리고 연못형 해자를 메우고 정다듬한 화강암을 평면 삼각형으로 정연하게 쌓은 월성 동편 석축 해자로 구분되며, 이 중 연못형 해자는 월성 동 북 서편에서 확인되었는데, 동에서 서로 경사를 두어 독립된 연못처럼 단을 지워 조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2009). 경주 월성.
  2. 경주문화재연구소(2004). 월성해자 발굴조사보고서 II집(본문). 학술연구총서. (41): 19.
  3. 신미정(1998). 해자의 조경적 활용방안 -파리공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안계복(2009). 신라시대 연못의 조망경관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16-124.
  5. 이상준(1997). 경주 월성의 변천과정에 관한 소고. 영남고고학. 21호: 123-162.
  6. 이원근(1980). 삼국시대 성곽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경호(1987). 해자의 기원과 그 기능에 관한 고찰. 삼불 김원룡 교수 정년퇴임 기념총론집(II): 465-475.
  8. 정재훈(1996). 한국전통의 원. 서울: 도서출판 조경.
  9. 차용걸(2003).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