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the Effects of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for Discharged Soldiers on Job-seeking Efficac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and Program Satisfaction-

전직지원교육이 구직효능감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몰입과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Yong-Ja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for Patriots and Veterans)
  • Received : 2010.08.05
  • Accepted : 2010.09.1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ffects of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for discharged soldier to settle and adapt successfully in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323 discharged soldiers who completed the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A survey questionnaire i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All data analysis is accomplished using the AMOS 7.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motivation has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and program satisfaction positively. Second, organizational support has direct effect on program satisfaction, psychological stability positively and on learning flow negatively. Third,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has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program satisfaction, job-seeking efficac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positively. Fourth, learning flow has direct effect on program satisfaction positively but don't have direct effect on job-seeking efficac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ignificantly. Fifth, learning motivation,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has direct effect on job-seeking efficac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while without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f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have been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with contents in relation to discharged soldiers' successful settlement because discharged soldiers who completed the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showed higher job-seeking efficac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econd, it is needed to conduct a longitudinal study considering other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establishment success etc.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의 원활한 사회적응을 돕기 위하여 국가보훈처에서 전직지원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실제적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전직지원교육 과정에 입교하여 수료한 323명의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AMOS 7.0 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는 학습몰입, 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지원은 교육 만족도와 심리적 안정감에 직접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학습몰입에는 부(-)의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교육프로그램은 학습몰입, 교육 만족도, 구직효능감, 심리적 안정감에 직접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학습몰입은 구직 효능감, 심리적 안정감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교육만족도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교육만족도는 학습동기, 교육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 심리적 안정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으나 학습몰입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전직지원교육이 실질적으로 제대군인에게 구직효능감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직지원교육 성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교육프로그램 설계시 제대군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회적응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을 해야 한다. 이 연구는 특정시점에서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횡단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향후에는 취업이나 창업 성공 여부를 결과변수에 추가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종단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