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년학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1980-2009

A Study on Communication Research and Trends i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80-2009

  • 홍명신 (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투고 : 2009.09.17
  • 심사 : 2010.02.18
  • 발행 : 2010.02.28

초록

한국노년학회 창립 31주년과 한국언론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한국노년학 창간호에서 2009년 제2권 제2호까지 게재된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한 메타분석을 적용하였다. 키워드 검색기법을 사용하여 전체 1046편의 논문 가운에 최종적으로 54편을 추출하여, 게재시기, 연구자,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유형, 연구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커뮤니케이션 관련 논문은 1980년대에는 단 1편에 불과했지만, 1990년대 이래로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다. 연구자들은 대학에 소속된 사회복지 전공자들이 주축이었으며 2인 이내의 소규모 연구가 82%를 넘었다.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집단커뮤니케이션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텔레비전, 잡지, 인터넷을 심도 깊게 분석한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도 발견되었다. 매스 미디어 중에서는 전통적으로 노인들의 사랑을 받아온 텔레비전이 가장 비중 있게 다뤄졌으며, 신문, 책, 잡지, 라디오, 인터넷도 언급되었다. 중재된 대인커뮤니케이션 미디어에서는 전화가 가족 간 의사소통 척도, 전화상담 등과 접목되면서 의미 있게 연구되었다. 휴대전화나 컴퓨터는 '이용'보다는 '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했다. 다른 연령대의 수용자 연구와는 달리 보청기와 같은 중재된 대인커뮤니케이션 미디어가 발견되었다.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커뮤니케이션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적 연구방법론이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서베이가 가장 폭넓게 이용되었으며, 내용분석 논문은 모두 미디어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향후 노년학과 커뮤니케이션학의 보다 유기적인 조우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두 학문 간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unication topics i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from 1980 to 2009. Out of all published over one thousand articles, 54 articles were selected by content analysis. The published time, the number of authors, the author's institutions, type of communication and media, methodologies, and so on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cles regarding on communication published only one throughout in 1980's. However, the articles have been gradually published since 1990's. Second, the authors came mainly from universities especially those who are engaged in social welfare field. Third, the types of communication are concentrated on group communication. Interestingly enough, it is found that mass communication such TV, magazine, and internet were analyzing in-depth. Telephone is one of most important mediated human communication media. On the contrary, mobile phone and computer were researched on not for the usage but for the education purposes. Forth, in methodologies, authors are used mainly survey method and selected content analysis in all media research. In conclusion, the scholars of gerontology and communications should co-operate and help each other to promote aging and communication fiel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