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Evaluation of Interpolation Accuracy for $CO_2$ Emission using GIS

GIS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농도 보간 정확도 비교평가

  • Kim, Jun-Hyun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n-Ho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ung-Sil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준현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 최진호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 김충실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Received : 2010.10.20
  • Accepted : 2010.12.09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As the $CO_2$ from buildings take up approximately 25% of the total $CO_2$ emission, the need for regulating and managing this emission is urgently required. Thus this study recognizes $CO_2$ emission status for diverse purposes and suggests accurate interpolation method for visualizing $CO_2$ emission as the basic data for regulating and managing $CO_2$ emission by applying IDW, Spline, and Kringing method. Results showed that Gaussian Function application among the Kriging methods had the highest accuracy in its estimations, with 3.049 with RMSE standards. This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when visualizing $CO_2$ emission status, which is a necessity for many local and federal governments that are to regulate and manage $CO_2$ emi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polation is very appropriative method in recognizing $CO_2$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regional climate change measures.

Keywords

References

  1. 김은미, 1993,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GIS활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박인선, 2003, GIS를 이용한 환경소음지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서성원, 황용우, 1999,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소비에 의한 이산환탄소 배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 21(2), 213-223.
  4. 성동권, 김태승, 정일록, 김태근, 조기성, 1999, GSIS환경에서 Kriging보간법을 이용한 이동오염원 배출량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17(3), 273-282.
  5. 윤성원, 1997, GIS와 Interpolation 기법의 대기환경분야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이강희, 양재혁, 2010, 한옥과 단독주택 및 아파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연합회, 12(1), 151-160.
  7. 정영선, 2010, 주거건물의 전과정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조홍래, 정종철, 2006, GIS를 이용한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GIS학회, 14(2), 223-234.
  9. 조홍래, 정종철, 2009, 공간보간기법에 의한 서울시 미세먼지(PM10)의 분포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8(1), 31-39.
  10. 최경식, 200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단체 교토 메커니즘 활용방안, 경기논단, 9(4), 49-71.
  11. 최진무, 1998,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 배출량 분포도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6. 건설부문 온실가스 배출 분석 연구, 건설교통부.
  13. 환경부, 2008, 환경부분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 환경부.
  14. 환경부, 2010, 실내 공기질 공정 시험기준, 환경부 고시 제2010-24호. 환경부.
  15. Cressie, N., 1991, Sta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900.
  16. IPCC, 2006,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PCC.
  17. Issaks, E. H. and Srivastava, R. M., 1989, An Introduction to applies Geost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ege, 409.
  18. Puliafito E., Guevara M., and Puliafito C., 2003, Characterization of urban air quality using GIS as a managemet system, Enviromnental Pollution, 122(1), 105- 117. https://doi.org/10.1016/S0269-7491(02)00278-6
  19. Simon W. H., 2000, Practical Geostatistics : Modeling and Spatial Analysis, Springer, 5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