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Track-on Steel-Plate-Girder Railway Bridges Considering the Span Variability and System Damage

경간 구성 및 시스템 손상을 고려한 강판형 철도교의 지진 취약도 해석

  • Received : 2009.08.20
  • Accepted : 2009.12.29
  • Published : 2010.02.27

Abstract

Seismic risk assessment of railway bridges is an important issue for a transportation network, because loss of functionality of railway bridges could result in severe disruption of the railway line, as no redundant routing systems generally exist.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numerous researchers regarding fragility analyses of bridge structure, little or no studies have been done for fragility analyses of a class of bridge structures considering their geometric variability. This study performs a fragility analysis for Track-on Steel-Plate-Girder (TOSPG) railway bridges in Korea considering their span variability. Seismic fragility curves are developed for a series of bridges with different spans varying from 2 to 15. At last, the fragility curves for the whole TOSPG bridges in Korea are also developed using the total probability theorem. This study is expected to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seismic risk assessment of railway lines, where a number of bridges are present.

지진에 의한 철도교량의 손상은 철도 교통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철도 시스템의 내진성능 확보에 있어서 교량 시스템에 대한 지진 위험도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량의 지진 취약도는 교통 시스템의 지진 위험도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교량의 지진 취약도 해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의 경우 개별 교량 또는 특정 교량형식을 대표하는 단일 교량에 대해서만 취약도 연구를 수행하였을 뿐 실제 임의의 여러 경간수를 가지는 교량 군(群) 전체에 대한 지진 취약도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교의 대표형식 중의 하나인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에 대하여 경간 변화를 고려한 지진 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교량 주요 요소의 손상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전체적 손상을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 손상지수를 정의하였으며,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손상지수를 이용하여 교량 주요 요소의 손상을 통합하는 시스템 손상에 대한 지진 취약도를 작성하였다. 2경간 에서 15경간까지 경간수를 증가시키며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에 대한 지진 취약도 함수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확률 이론(Total Probability Theory)을 적용하여 국내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의 실제 경간 분포를 고려한 전체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량 군(群)에 대한 지진 취약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교량의 경간 수에 따른 지진 취약도를 탄력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해주어 철도의 노선 별 내진성능 평가 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효, 마호성, 이상우, 경규혁(2002) 비선형 교대운동이 교량구조물의 지진응답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6권, 제5호, pp.17-24.
  2. 박주남, 최은수(2007) 취약도 해석을 통한 빌딩구조물의 내진성능 비교 및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1권, 제3호, pp.11-21.
  3. 박주남, 최은수(2009a)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의 지진 위험도 해석,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1권, 제1호, pp.45-53.
  4. 박주남, 최은수(2009b) 교량 지진 취약도 해석을 위한 입력 지진파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146-151.
  5.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8) 일반철도 기존시설물 내진성능 상세평가 및 보강방안 수립,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
  6. Cornell, C.A., Jalayer, J., Hamburger, R.O., and Foutch, D.A. (2002) Probabilistic Basis for 2000 SA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Steel Moment Frame Guidelin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28, No. 4, pp.526-533. https://doi.org/10.1061/(ASCE)0733-9445(2002)128:4(526)
  7. Han, S.W. and Choi, Y.S. (2008) Seismic Hazard Analysis in Low and Moderate Seismic Region, Korean Peninsula, Vol. 30, pp.543-558. https://doi.org/10.1016/j.strusafe.2007.10.004
  8. Melchers, R.E. (1999)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and Prediction, John Wiley & Sons Ltd.
  9. Nielson, B. and DesRoches, R. (2007) Analytical Seismic Fraiglity Curves for Typical Bridges in the Central and Southeastern United States, Earthquake Spectra, Vol. 23, No. 3, pp.615-633. https://doi.org/10.1193/1.2756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