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

계열별 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분석을 통한 농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 개선방안

  • 정연순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 센터) ;
  • 유병민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
  • 진성미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
  • 남영옥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공학과)
  • Received : 2010.02.03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gricultural high schools has been changing themselves toward more effective education system to survive in rapidly changing society. Changes occur in new students, in objects of school, and i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dition of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e high school. Questionnaires were use to collect data from 894 agricultural high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e high school has many problems in its curriculum, its contents, and the public rel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materials and manuals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al high school.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2002).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농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방향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농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방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2). 1-16.
  2. 교육부. (1997). 고등학교 교육과정(1), (II). 교육부 고시 제 1997-16호. 별책 4.
  3. 교육인적자원부. (2006). 진로교육 발전방안. 보도자료
  4. 국민정. (2003). 지리교과에서 동영상 자료의 활용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3). pp.119-132.
  5. 김경화. (2008).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진로성숙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욱, 박상훈. (2005). 농업환경교육의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방안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1). pp.225-242.
  7. 김영수, 양영선, 허희옥, 두민영. (2006). 교육매체 연구의 동향. 권성호, 임철일.(편.), 교육공학연구의 동향-회고와 전망. 서울: 교육과학사.
  8. 김진구 (2009). 농업계 국립대학에 진학한 농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대학수학능력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1), pp.1-35.
  9. 김진구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이해. 과목의 문항 난이도 영향 요인 및 주요 특성 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 41(3). 1-35.
  10. 김충기. (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11. 박가열, 노경란. (2005). 청소년 직업체험 학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12. 서우석 (2002),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활지도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 (1), pp. 173-191.
  13. 안명근. (2003). 영상자료를 활용한 토론수업이 도덕적 판단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탐구공동체교육. 3. pp.88-108.
  14. 이영대, 임언, 이지연, 최동선, 김나라. (2004).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수립.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이혜숙, 김유미. (2009).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초등상담연구. 8(1). 33-50.
  16. 임언 (2008). 진로교육에 대한 고교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직업능력개발연구, 11(3). 193-218.
  17. 정철영 (1996). 농업계 고등학교의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28(3). 1-22.
  18. 정철영, 박동열, 김진화, 채연희, 김재호, 조단비. (2006).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251-277.
  19. 정철영, 서우석, 이길순, 최동선. (2001). 농업계열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 33(2), 1-22.
  20. 최성봉. (2008). 환경교육 영상매체 활용 수업이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지. 17(1). pp.1183-1193.
  21. 한국교육개발원. (1983). 학습과 일의 세계. 서울.
  22. Bailey, L. J., and Stadt, R.(1973), Career Education : New Approach to Human Development, Bloomington Ⅲ. : Mcnight Publishing Co.
  23. Hoyt, K. B., Evans, R. N., Mackin, E. F. & Mangum, G. L.(1972). Career Education : What it is and How to do it, Salt Lake City, Utah : Olympus Publishing Co.
  24. Newman, J. A.(1981). Television in the classroom: What the research says. Washington Office of the 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Olympia, Division of Instructional and Professional Services. ERIC DOCUMENT ED 206263.
  25. Taylor, R. E.(1972) Career Education : Implications for Increased Educational Relevancy, Paper Presented at the Central New York School Council, Career Education Conference, O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