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북한 방송언어의 차이에 대한 기초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f Language Styl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Broadcastings

  • 투고 : 2010.06.01
  • 심사 : 2010.09.08
  • 발행 : 2010.09.30

초록

본 연구는 장기간의 남북한 분단으로 인한 언어적 이질성의 정도를 가늠해보기 위하여 남북한 방송언어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목적은 남북한 언어 간 차이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언어사용 실태에 대한 토대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남북한의 주요 방송사 뉴스 동영상에서 추출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국어분석프로그램KLIWC (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 방송언어는 KLIWC의 각 차원에서 남한 언어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정서적 단어, 인지적 단어, 사회적 단어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북한 방송에서는 인칭대명사나 품사와 같은 언어학적 기능어에 있어서도 남한방송보다 사용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차이에 대한 예비적인 심리학적 해석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South and North Korean broadcasting languages to measure the language differences due to the long segregation. This study would provide fundamental database on the language us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KLIWC analyzed the text that was selected from news clips of South and North Korean broadcasting agencies. The results showed that North Korean languag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outh in terms of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words. In addition, North Korean broadcasting used more person pronoun and a part of speech than South Korean broadcasting.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language differ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시균, "남북한 언어에 대한 비교 연구 2: 화술과 화법, 방송화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39집, pp. 117-141, 2004.
  2. 육흔, "남북한 언어 차이", 새국어교육, 53호, 255-267, 1996.
  3. 박시균, 권병로, "남북한 언어에 대한 비교 연구: 발음과 어휘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38집, 29-52, 2003.
  4. 김상준, "남북한 방송보도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비교 연구: 6.15 남북정상회담의 남북한 TV 보도를 중심으로". 화법연구, 4권, pp, 147-181. 2002.
  5. J. W. Pennebaker, M. R. Mehl, K. G. Niederhoffer, "Psychological aspects of natural language use : Our words, our selv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pp. 547-577, 200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41
  6. J. W. Pennebaker,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 as a therapeutic process", Psychological Science, 8, pp. 162-166, 1997.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7.tb00403.x
  7. J. W. Pennebaker, T. J. Mayne, M. E. Francis, "Linguistic predictors of adaptive berea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pp. 863-871, 1997. https://doi.org/10.1037/0022-3514.72.4.863
  8. J. W. Pennebaker, M. R. Mehl, K. G. Niederhoffer, "Psychological aspects of natural language use : Our words, our selv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pp. 547-577, 200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41
  9. 이창환, 심정미, 윤애선, "언어적 특성을 이용한 '심리학적 한국어 글분석 프로그램(KLIWC)' 개발 과정에 대한 고찰", 인지과학, 16권, pp. 93-121, 2005.
  10. 박재진, 박종민, 이창환, "광고언어에 대한 통시적 분석: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19, pp. 7-40, 2008.
  11. 박종민, 박재진, 이창환, "1960년에서 2005년까지 우리나라 광고언어의 시대 차이 분석", 51, pp. 394-423, 2007.
  12. 최윤선, 이창환, "노무현 대통령의 담화 분석 -취임 및 탄핵 전후로 나눈 단계별 언술의 특징",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0, No. 1, pp. 573-590, 2008.
  13. J. Cohen,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 pp. 155-159, 1992. https://doi.org/10.1037/0033-2909.112.1.155
  14. Rude, E. M. Gortner, J. W. Pennebaker, "Language use of depressed and depression vulnerable college students", Cognition & Emotion, 18, pp. 1121-1133, 2004. https://doi.org/10.1080/02699930441000030

피인용 문헌

  1.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Use and Subjective Well-being vol.12, pp.11,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11.4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