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Non-Thermal Plasma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Odor and Sludge

무기악취와 슬러지 동시처리를 위한 저온플라즈마의 적용

  • 황현정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안해영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신승규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송지현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11.20
  • Accepted : 2010.02.12
  • Published : 2010.02.15

Abstract

In this study,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various wastewater treatment were treated with using the non-thermal plasma reaction, and the effluent gas from the plasma reactor was introduced to a waste sludge reactor to achieve simultaneous sludge reduction. Hydrogen sulfide, the model odorous compound, was removed at 70% using the plasma reaction, and greater than 99% removal efficiency was observed when treated by the sludge reactor. In addition, the sludge reactor showed a high efficiency of ozone removal. As ozone reacted with sludge, oxidation with organic matters took place, and total COD decreased by 50~60% and soluble COD increased gradually. As a result, the integrated process consisting of the non-thermal plasma and the sludge reactor can be successfully applied for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malodorous gas and waste sludge.

본 연구에서는,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기체상 무기악취물질을 저온 플라즈마 공정으로 제거하고, 악취물질과 반응 후 배출되는 오존 함유 배가스로 유기성 슬러지의 감량과 가용화 효과를 얻고자 복합반응기를 구성하였으며 일련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플라즈마를 통과한 대상 무기악취물질인 황화수소는 플라즈마를 단독으로 거쳤을 시 약 70%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슬러지 반응조까지 통과했을 경우는 99% 이상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이 때 플라즈마 공정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오존은 슬러지 반응조를 통과하여 90~100%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배가스가 슬러지 반응기에 산기되면, 유기물 산화가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4시간 반응 시 슬러지의 TCOD는 약 50~60% 감소하고 SCOD는 4~5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가용화율은 운전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여 4시간 이후 약 10%까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저온 플라즈마와 슬러지 산기반응조 복합공정을 적용하면, 하폐수 처리시설 운영상에 나타나는 악취배출과 잉여슬러지 처분 문제에 동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현, 김봉준, 김민규, 염익태, 김형수, 2003, "전처리 방법에 따른 하수슬러지 가용화 비교연구", 상하수도학회지, vol. 17, no. 4 pp. 567-573
  2. 김정웅, KweKu SeKyama, 이도원, 김현욱, 2006, "하수 및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에 대한 고찰", 한국냄새환경학회지, Vol. 5, No. 3, pp. 180-192.
  3. 김현하, 오가타 아쯔시, 후타무라 시게루, 2006, "저온플라즈마 구동 촉매 반응기를 이용한 벤젠과 톨루엔의 처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 22, No. 1, pp. 43-51.
  4. 박귀환, 오길영, 이지헌, 정경훈, 정선용, 2005, "3개 유형의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의 비교", 한국냄새환경학회지, vol. 4, No. 4, pp. 196-206.
  5. 박찬진, 1999, "인천지역의 대기중 오존 및 먼지 저감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관리학회, Vol. 5, No. 2, pp. 355-361.
  6. 선용호, 2005, "비개질/개질 생물막을 이용한 오수고도처리공정에서 혐기조와 무산소조의 원수 분배율에 따른 유기물 및 질소 제거", 한국생물공학회지, Vol. 20, No. 4, pp. 253-259.
  7. 이명주, 김태형, 정미영, 김진성, 이언행, 황선진, 2008, "균질기 및 금속촉매/오존산화에 의한 가용화 처리가 호기성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 감량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5, No. 7, pp. 619-625.
  8. 이주상, 2001, "플라즈마를 이용한 악취가스 처리기술", 환경관리학회지, Vol. 7, No. 1, pp. 69-75.
  9. 장은수, 최영균, 김형수, 염익태, 2003, "하수슬러지의 전처리가 슬러지의 생분해성에 미치는 영향", 상하수도학회지, Vol. 17, No. 5, pp. 633-639.
  10. 팽종인, 박혜숙, 김학민, 2004, "하수처리장 악취발생원 도출 및 저감능 평가", 환경관리학회지, Vol. 10, No. 2, pp. 101-109.
  11. 허남효, 정상순, 2005,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고율 혐기성 통합소화", 신재생에너지, Vol. 1, No. 2, pp. 60-72.
  12. 환경부, 2004, "악취방지법".
  13. 환경부, 2008, "2007 하수도 통계".
  14. 환경부, 2008, "하수슬러지 종합대책(수정)".
  15. Barlindhaug, J., 1992, "Thermal hydrolysate as a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33, No. 12, 99
  16. Carballa, M., Manterola, G., Larrea, L., Ternes, T., Omil, F. and Lema, J. M., 2007, "Influence of ozone pre-treatment on sludge anaerobic digestion : Removal of pharmaceutical and personal care products", Chemosphere, Vol. 67, pp. 1444-1452.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06.10.004
  17. Hayashi, N., Suganuma, H., Satoh, S. and Yamabe, C., 2001, "Treat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positive streamer corona using a series gap",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40, pp. 6104-6108. https://doi.org/10.1143/JJAP.40.6104
  18. Ahn K. H., Park K. Y., Maeng, S. K., Hwang J. H., Lee J. W., Song K. G., Choi S, 2002, "Ozonation of wastewater sludge for reduction and recycling",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46, No. 10, pp. 71-77.
  19. Muller, J. 2000, "Pretreatment processes for the recycling and reuse of sewage sludge",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42, No. 9, pp. 167-174.
  20. Song, J. J., Takeda, N. and Hiraoka, M., 1992, "Anaerobic treatment of sewage sludge treated by catalytic wet oxidation process in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reactor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6, 867. https://doi.org/10.1021/es00029a903
  21. Tanaka, S., Kobayashi, T., Kamiyama, K. and Bildan, M. L., 1997, "Effects of thermochemical pretreatment on the anaerobic diges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35, No. 8 209. https://doi.org/10.1016/S0273-1223(97)00169-8
  22. Tonkyn, R. G., Barlow, S. E., Orlando, T. M., 1996, "Destru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in a dielectric barrier/packed-bed corona reactor",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80, No. 9, pp. 4877-4886. https://doi.org/10.1063/1.363530
  23. Yamamoto, T., Ramanathan, K., Lawless, P. A., Ensor, D. S., Newsome, J. R., Ramsey, G. H. and Plaks, N., 1992, "Contro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an acenergized ferroelectric pellet reactor and a pulsed corona reactor", IEEE Transaction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28, No. 3, pp. 528-534. https://doi.org/10.1109/28.137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