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Understanding of Approach to the Japanese Territory Education on Dokdo

일본의 독도 영토교육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성 이해

  • Park, Chul-Woo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철웅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06.0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We believe, 'Dokdo is clearly an inherent territory of Korea, in the light of geographical and historical facts', This paper aims to discuss Japanese multidimensional approach on the Issues of Dokdo(Takeshima) in the context of Territory Education. We considered the matter from various angles tha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national scale, as well as shimane prefecture government and municipality scale.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 approach of territory education on Dokdo in Japan is variable and potential, and is temporary state of condensation, depends on Korea-Japan's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More studies of the new approach must be done for the new implications of Territory Education that embraces all meanings and events according to the disposition of neighbouring condition of Dokdo in world context, keeping out emotional and nationalist sympathies. The result of consideration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erritory Education in japan was focused on geography, history, Civil, Social Studies, compared with focusing on History in Korea. Second, It is centered on "korea is illegally occupying Dokdo, against which Japan has been consistently making strong protests" rather than simple historical approach. Thirdly, Their approaches seek to be succeeded the identity and importance of Territory Education to next generation rather than the present solving problem.

한국과 일본은 국가간의 문제 뿐 만 아니라, 양국 내에서도 독도문제는 서로 다른 시각과 함께 미묘한 양상을 보이는 사례가 많이 나타난다. 일본은 독도문제에 대해서 정부차원에서 외교부와 문부과학성을 중심으로 정치적, 외교적, 법적, 교육적 뒷받침을 제공하는 차원에서 다차원적 접근을 시도하고, 지방자치정부는 실효적인 내용과 실천행위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다차원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토교육의 접근성은 한일 양국의 상황적 맥락과 국제사회의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법적, 사회적 환경에 따른 구성 요소의 변화와 그 구성요소의 재배치에 의한다. 그에 따른 현안의 인식과 설정, 그에 대응전략에 따른 요소들의 다차원적 배치라는 점과 이에 따른 양국의 접근 전략은 가변적이고, 잠재적이면서 현재의 일시적 응결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직,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토교육이 실제 학교에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전국적인 양상을 파악하기는 시기상조이다. 개정교과서가 아직 다 출판되지 않고 새학습지도요령의 이행기간이 끝나는 후에야 좀 더 교육적 파급의 결과를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주로 영토문제를 언급하는 외무성의 문부과학성, 그리고 지자체와 지자체 교육위원회들의 독도문제에 대한 접근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