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신안 장도산지습지보호지역의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의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함께 야외조사에 참여했던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변종민 군과 논문을 검토해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를 드립니다.
The Jangdo wetland is located on a very gentle slope of the mountain area in Daejangdo island, Shinan-gun, Korea, in which the area of the watershed is estimated at 147,000 m2. The wetland has been regarded as a peat bog without any sedimentological evid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omorph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tl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as used to analyze the drainage system,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range and depth of wetland deposits. The grain size analysis, organic matter determination, elements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were performed on samples from the wetland. As a result, the wetland deposits were about 30 cm deep on average, the mean grain sizes ranged from 50 to 500 μm, and the average C/N ratio was 11.5. The portion of organic matter it contained was only 5~26%, which did not satisfy the peat standards. The radiocarbon ages from the wetland deposits range 180±50 14C yr BP to modern, which indicated that natural and anthropogenic interferences including agricultural activities have continuously happened. We conclude that the Jangdo wetland is still in its infancy, not a steady state, so that it could be very sensitive to a small disturbance.
전라남도 신안군의 대장도에 있는 장도습지는 유역면적이 약 147,000m2인 산지의 완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습지는 그 동안 퇴적층에 대한 적절한 자료 없이 이탄층에 의해 형성된 습지로 알려져 있었다. 이 연구는 장도습지 및 그 주변의 지형을 분석하고 퇴적물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IS를 이용하여 습지의 유역환경을 분석하였고, 현장조사를 통해 습지퇴적층의 분포와 깊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습지 퇴적물에 대하여 입도분석, 유기물분석, 원소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도습지 퇴적층의 평균 두께는 약 30 cm로 측정되었으며, 구성물질의 평균 입도는 50~500μm였고, C/N비는 평균 11.5였다. 습지퇴적층의 유기물함량은 5~26%로 이탄의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습지퇴적층의 유기물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는 180±50 14C yr BP와 1950년대 이후로 측정되어 습지형성 이후 농경을 비롯한 자연적·인위적 교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음을 가리켰다. 결론적으로, 장도습지는 아직까지 초기단계의 습지로서 정상상태에 이르지 못하였기 때문에 작은 교란에도 민감한 변화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신안 장도산지습지보호지역의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의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함께 야외조사에 참여했던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변종민 군과 논문을 검토해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