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by Food Safety Incidents; in Relation to the Outbreak of 2008 Melamine Incident in Korea

식품안전사건사고에 따른 주부들의 식품 구매행동 변화 -2008년 멜라민 사건을 중심으로-

  • Chae, Ok-Ry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o, Eun-Ky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Bahk, Gyung-J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채옥례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고은경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박경진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0.03.21
  • Accepted : 2010.06.0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the change of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by food safety incidents; the outbreak of 2008 Melamine incident in Korea as for example. 565 housewives in Gunsan were interviewed in March 2009. 52.3% of respondents were regarded as unsatisfactory for food safety management in Korea. Despite the result of scientific assessment for melamine, 74.6% of respondents were yet regarded as health-threatening substance. By the point of before, during and after Melamine-related food safety incident, we were surveyed the level of purchase for melamine-related food items as five scales, the results were $2.47{\pm}0.97$, $1.80{\pm}0.92$ and $1.62{\pm}0.92$, respectively (p < 0.001). After the incident happened, the purchase level was even more reduce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 (p < 0.05) among the respondents' knowledge for melamine toxicity and food safety management in Korea concerning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i.e. the more accurately for melamine toxicity and higher satisfactory of consciousness of food safety, there were less change of purchase behaviors. In conclusion, the consciousness of food safety and accurate knowledge of hazard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for the change of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by food safety incident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need for more scientific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 consumer.

본 연구는 식품안전 사건에 따른 소비자들의 구매행동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2008년 발생한 멜라민사건을 예로 하여, 사건 전후의 주부들의 의식 및 행동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 3월 전라북도 군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 5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식품안전 수준에 대해서 52.3%가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멜라민 사건 발생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지만 조사대상자의 74.6%는 여전히 멜라민을 독성이 높은 물질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멜라민 관련식품의 구매수준을 5점 척도에 의해, 사건 발생 전, 발생기간, 사건 종료 후(즉, 조사시점)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각각 $2.47{\pm}0.97$, $1.80{\pm}0.92$, $1.62{\pm}0.92$(p<0.001)로, 사건발생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구매수준은 더욱 낮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독성 인식수준에 따른 구매수준에 변화에 있어서는 독성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관련제품 구매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구매수준에 있어 더 많은 감소를 나타냈다(p<0.05). 식품안전인식 수준에 따른 구매수준에 변화에 있어서도 국내 식품안전수준이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여전히 관련제품의 구매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식품안전 수준에 대한 사전인식과 해당 유해물질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사건발생후의 식품구매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소비자와의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방향으로의 위해정보교류의 필요성이 한층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진: 1998 - 2008 발생한 식품안전관련 사건.사고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162-168 (2009).
  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중 멜라민이란?. pp.45-50 (2009).
  3. 김성숙: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와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에 관현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 15-32 (2007).
  4. 박성희: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식품안전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5, 181-210 (2006).
  5. Wilcock, A., Pun, M., Khanona, J., Aung, M.: Consumer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ur: a review of food safety issues. Trends Food Sci. & Technol., 15, 56-66 (2004). https://doi.org/10.1016/j.tifs.2003.08.004
  6. 최정숙, 전혜경, 황대용, 남희정: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 66-74 (2005).
  7. 국립독성과학원: 독성정보제공시스템(http://toxinfo.nitr.go.kr): "멜라민", (2008).
  8. 식품의약품안전청: "멜라민관련정보" (http://kfda.go.kr/melamine/main/main.html), (2008).
  9. 김효정, 김미라: 식품위생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및 정보요구도에 관한 연구(2): 식중독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 117-128 (2003).
  10. 진현정: 광우병 발생에 대한 대중매체의 보도와 국내육류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Safe Food., 1, 39-45 (2006).
  11. Johnson, F.R.: Economic cost of misinforming about risk: the EDB scare and the media. Risk Anal., 8, 261-269 (1988). https://doi.org/10.1111/j.1539-6924.1988.tb0117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