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학교 교육정보화 정책의 의사결정 유형 분석

Analysis of Decision-making Types for ICT Policy in Elementary School

  • 이민철 (춘천 후평초등학교) ;
  • 김홍래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Lee, Min-Cheol (Chuncheon Hupeong Elementary School) ;
  • Kim, Hong-Rae (Dept. of Computer Educati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0.05.10
  • 심사 : 2010.05.18
  • 발행 : 2010.06.30

초록

2008년 4월 15일 학교 자율화 계획에 따라, ICT 교육에 대한 국가 수준의 지침은 폐지되었으며, 오히려 학교 수준에서 ICT교육에 대한 책임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ICT 교육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학생, 교사, 학교 간의 디지털 격차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ICT 교육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과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ICT 교육정책 의사결정을 위한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school autonomy plan on April 15, 2008, schools have a responsibility for ICT in education policy. Because of this plan, A guideline for governmental action for ICT education was repealed, on the contrary, responsibilities for ICT education in school level has increased. The radical exchange of education policy has a big impact on decision-making about ICT in education policy in school level. Consequently, the digital divide is generated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schools. So,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decision-making types and awareness of teachers about ICT in education policy in elementary school. And this paper presents new ideas for decision-making of ICT policy in elementary schoo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