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trengthening the Curriculum Competitiveness of Consumer Education Consisted with the Web 2.0 Information Age: Based on the Evaluation of Availability and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of Consumer Education in High School Domestic Science

Web 2.0 정보화 시대에 부합되는 소비자교육 교과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의 소비자교육에 대한 유용성 평가와 교육방법 개선을 중심으로

  • 황인숙 (건국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 박선영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0.01.06
  • Accepted : 2010.05.1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is study,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of consumer education in high school with the advent of Web 2.0 age, I analyzed both the curriculum used by new information tools related with Web 2.0 age and the one used by traditional tools to find out the degree of necessity of consumer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their informational ability. First, compared with the education of food, clothes and shelter in the curriculum of manual training and domestic science, the necessity, importance, and availability were low and the students had a lower level of interest than they had with the three factors mentioned above. Second, after dividing the sector of consum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into three fields such as reasonable purchase and use, solution and prevention of consumer problems and forming a new consumer trend, I looked into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method using conventional tools and the one using new informational tools following Web 2.0 age respectively. Traditional tools were favored for the education of consumption-related laws and policies, consumers' rights for the general cause of consumer problem solving and preventing. For the generation of the new comsumer trend, the new information tools were preferred in the appreciation of consuming culture and the issues of consuming environment. Third,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level of informational ethics was the highest at 5.55 while their level of information creation and processing was the lowest at 3.96 from the research of six categories of their informational 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원효(2000), 고등학생 소비자의식에 관한 연구: 제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영우(2002), 교사의 정보화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육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전광역시 교사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2000), 7차 교육과정 해설서, 201-202
  4. 김미영(2004),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ICT 활용 수업의 실태와 인지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연 . 이삼열(2007)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4), 1-15.
  6. 김옥경(2003),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정보화 능력 및 정보 활용 영역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윤정(2002), 제7차 기술 .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은주(2006), "새로운 기회: Web 2.0", 한국전산원, NCA ISSUE Report 제 6호 1-17.
  9. 김진희(2004), 고등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유용성 및 가족건강성,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해미(1997), 소비자 교육의 교수. 학습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희정(1997), 사회과 소비자 교육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제 4 . 5 . 6차 교육 과정의 초 . 중 .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희진(2007), 청소년 가정과 학교소비자교육 경험과 현황,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민미희(1998), 중 .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 과정에서의 소비자교육 체계화를 위한 방안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대규(2002), 교육정보화와 컴퓨터교육에 대한 연구 -중등학교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성용(2002), 소비자교육의 발전방향, 경제교육학회, 8(8), 207-220.
  16. 배순영(2004), 소비자교육내용모형개발, 한국소비자보호원
  17. 배윤정(2000), 정보사회의 소비자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전문가-소비자의 의견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2), 225-239.
  18. 삼성경제연구소(2006), 웹 2.0이 주도하는 사회와 기업의 변화.
  19. 유세종(2007), 중학교 2학년 기술 . 가정 교과 '청소년과 소비 생활'단원의 ICT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주현(2003),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소비자교육 내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향희(1992), 소비자 교육 과정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임장현(2004), ICT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활용 능력에 관한 조사 -서울시에 있는 지체부자유 학교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임혜진(2007), 웹 2.0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에 관한 연구 -팟캐스트(Podcast)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효진(2008), '웹(Web) 2.0'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Extended TAM)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대선(2008),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프로슈머 성향에 관한 연구: Web2.0시대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조소연(2005), 기술․가정교사와 예비교사의 소비자교육 인식과 요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원학(2003), 초 . 중 . 고등학교 사회과 소비자 교육 내용의 연계성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