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 정서지능 및 부모화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01.06
  • Accepted : 2010.05.1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7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ronbach's $\alpha$,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i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ed by grade,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differ by grade. 2)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regulation of emotion, expression of emotion, practice of emotion, recognition of emotion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3) The recognition of emotio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practice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4) Emotional intelligence played a partia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eywords

References

  1. 강완숙(2000). 지각된 부와 모의 가치, 부/모-자녀간 정서적 친밀도 및 부/모의 과잉통제와 대학생의 소외감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 권재환 . 이은희(2006). 남녀 청소년의 충동성, 부모 양육태도, 개인의 통제력,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7(1), 325-351.
  3. 고재홍 . 조기영(2003). 청소년의 긍정적 착각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1(1). 166-181.
  4. 김광웅 . 문수경(2005). 부모-청소년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3(1). 71-84.
  5. 김명소 . 김혜원 .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6. 김명소 . 임지영(2003).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83-97.
  7. 김순옥(1996). 부모의 의사소통행위가 10대자녀의 의사소통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23(1), 215-234.
  8. 김영희 . 안상미(2008).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 갈등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청소년학 연구, 15(2). 1-30.
  9. 김정수(2008). 청소년의 낙관성과 비관성이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1), 271-299.
  10. 김효창 . 손영미 . 박정열(2002). 발달단계로서의 '철들기'의 문화심리학적분석. 학생생활연구, 27, 257-283.
  11. 노혜숙 .신현숙(2008).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5(2), 147-168.
  12. 류정희 .이명자(2007).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 4(1), 55-77.
  13. 문비(2006).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문용린(1996). 한국 학생들의 정서 지능 측정 연구.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5. 문용린(1997).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16. 문용린(1997). 한국 학생들의 정서지능 측정 연구,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서울: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 연구소. 77-89.
  17. 문유선 . 김도훈(2001). 청소년에게 자녀가 지각한 부모 양육 태도와 문제행동의 연관성. 소아 . 청소년정신의학, 12(2), 237-244.
  18. 문은미 . 최명선(2008). 부모화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063-1085.
  19. 민하영(1991).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민하영(2008). 부모간 갈등 및 조모/외조모의 심리적 지지와 학령기 아동의 안녕감. 한국가정관리학회, 26(2). 33-41.
  21. 문혁준(2006). 시설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변인 연구: 정서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0), 1-8.
  22. 박동건 . 조현주 .최대정(2004). 직장에서의 특정 부적 정서 경험에 따른 정서조절이 수행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831-852.
  23. 박영애 . 최영희 . 박인전(2002). 아동의 성격특성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대한 가정학회지, 20(2), 123-134.
  24. 박영애 . 최은경(2001). 부모의 양육행동 및 인성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학국가정관리학회지, 19(5). 221-238.
  25. 신주연(2003).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병리적 의존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신주연 . 이윤아 . 이기학(2005). 삶의 의미와 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35-1057.
  27. 염미애 . 문혁준(2007). 유아의 정서기능 및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4), 61-75.
  28. 이송이(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 태도와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61-71.
  29. 이지선 . 정옥분(2002).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3(1), 17-35.
  30. 이혜련 . 김경연(2006). 아동의 정서반응유형,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 탐색: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4(7), 99-111.
  31. 장미선 . 문혁준(2006).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11-21.
  32. 장해순 . 강태완(200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3(2). 104-130.
  33. 전혜경(2006). 자녀의 부모화 및 부자유친성정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정태연 . 최상진 . 김효창(2002). 아동과 어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 성격적 관계적 및 과업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51-76.
  35. 조은경(1993). 부모 . 청소년 자녀간의 대인거리 . 심리적인 거리 . 의사소통이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조은영(2004). 부모화 된 자녀의 심리적 특성 및 가족 내 영향력의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최명선(2008).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1), 43-53.
  38. 최현주(2005). 아동이 지각한 심리적 가정환경과 정서지능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초등교육학회지, 12(1), 195-212.
  3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8). 2008 한국청소년 행복지수 조사연구.
  40. Adler, M. G., & Fagley, N. S. (2005).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73(1), 79-114.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4.00305.x
  41. Allen, J. P., Poter, M., McFarland, C., McElhaney, K. B., & Marsh, P. (2007). The relation of attachment security to adolescents' paternal and peer relationships, depression, and extemaliz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78(4), 1222-123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1062.x
  42. Barnes, H.,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flexmodel, Child Development, 56, 438-447.
  43. Ben-Zur, H. (2003). Happy adolescent: The link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internal resources, and parental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 67-79. https://doi.org/10.1023/A:1021864432505
  44. Benjet, C. & Hernandez-Guzman, L. (2001). Gende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xican early adolescents, Adolescence, 36(141), 47-65.
  45. Boszormenyi-Nagy, I., & Spark, G. M. (1973). Indivisible loyalities: Reciprocity in intergenerational family therapy. N. Y.: Haper & Row.
  46. Corsano, P., Majorano, M. & Champretavy, L.(2006).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e: The contribu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xperience of being alone. Adolescence, 41(162), 341-353.
  47. Davies, P. T. (2002). Commentary: Conceptual links between Byng-Hall's theory of parentification and the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Family Process, 41(3), 551-555.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2.41317.x
  48. Di Fabio, Annamaria., Palazze schl., & Lelizla. (2009).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9(2), 135-146. https://doi.org/10.1007/s10775-009-9162-3
  49. In Bar-on & J. D. A. Parker(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N. Y.: Jossey-Bass.
  50. Jensen, M. R. (1987). Psychobiological factors predicting the course of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55(2), 317-342. https://doi.org/10.1111/j.1467-6494.1987.tb00439.x
  51. Jurkovic, G. J. (1997). Lost childhoods: The plight of the parentified child. N. Y.: Brunner/Mazel.
  52. Jurkovic, G. J. (1998). Destructive parentification in families: Causes and consequences, In L'Abate, L.(Ed), Handbook of Family Psychopathology, 237-255.
  53. Lopes, P. N., Salovey, P., & Straus, R. (2003).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3), 641-658.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242-8
  54. Mayer. J. D., & Salovey, P. (1990). Emotion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55. MNSci, K. J & Astedt-Kurki, P. (2005). Familial contribution to adolescent subjective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1, 125-133. https://doi.org/10.1111/j.1440-172X.2005.00509.x
  56. Petrides. K. V., Frederickson, N., & Furnham, A. (2004). The role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in academic performance and deviant behavior at schoo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2), 277-293. https://doi.org/10.1016/S0191-8869(03)00084-9
  5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58.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59. Shek, D. T. L. (2005). Perceived parental control processes, parent-child relational qual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hinese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economic disadvantage.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6(2), 171-188. https://doi.org/10.3200/GNTP.166.2.171-188
  60. Videon, T. M.(2005). Parent-child relation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Do dads matter? Journal of Family Issues, 26(1), 55-78.
  61. Young, J. L., Carver, P. R., & Perry, D. G. (2004). Does gender identity influence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40(4), 572-582.
  62.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T., & Kolts, R. D.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its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 431-45. https://doi.org/10.2224/sbp.2003.31.5.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