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Analysis of ACQ Effect in Serious Game Contents by Listening Type

기능성 게임콘텐츠의 음향 청취방법이 뇌 활성화지수에 미치는 효과

  • 민용식 (호서대학교 뉴미디어학과) ;
  • 유회종 (한국방송예술원 방송음향학부)
  • Received : 2010.02.24
  • Accepted : 2010.05.12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o do an experimental analysis in this paper, we divided two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such as pre and post test groups for difference listening types by serious game contents. From these test groups, we can achieve the most ability of its activity quotient (ACQ) effect is a phonic type and the next one is an aural typ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human's brain quotient (BQ) derived from serious educational game contents.

본 연구는 기능성 게임 콘텐츠의 교육효과를 위해 음향청취방법을 달리하여, 인간의 뇌파 지수로 분석한 유사 실험을 한 연구이다. 실험결과 무음으로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스피커 방식의 청취방법이 높은 뇌 활성화 반응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헤드폰 방식 이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 콘텐츠의 음향청취방법에 따라 인지반응에 미치는 정도를 뇌파 지수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은, 최용석, 권혁인, "기능성게임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컴퓨터 게임 학회 논문지, vol. 19, pp.100-105, 2009.
  2. 장우린,"뇌파측정실험을 통한3차원 디지털게임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 Society of Korea Illusart vol 9, no. 4, pp. 227-245, Dec. 2001
  3. Hutchison, M, Megabrain, New tools and techniques for brain growth and mind expansion 2nd ed., New York:Ballantine books. 1996
  4. Rothschild, M. L., Hyun, Y. J., Byron R., Thorson, E., and Goldstein, R., "Hemispherically Lateralized EEG as a Response to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pp. 185-198, 1988
  5. Rothschild, M. L. Thorson. E, Reeves. B. Hirsch. J. E., and Goldstein, R., "EEG Activity and The Processing of Television Commercials," Communication Research, vol. 13, no. 2, pp. 182-220, Mar. 1986 https://doi.org/10.1177/009365086013002003
  6. 김원식, 진승현, "긍/부정 감성자극에 대한 행동활성화 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민감도에 따른 뇌파의 LORETA분석", 한국 감성과학회지, vol. 8, no. 4, pp. 403-413, 2005
  7. 김용진, 장남기, "시청각 학습의 반복수행에 따른 전두부의 뇌파 활성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 21, no. 3, pp.516-528, Oct. 2001
  8. 백기자, 이선규, 박병운, "시계열 선형분석을 통한 뉴로피드백 훈련 전후의 주의력결핍 성향과 정서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vol. 14 no. 4, pp. 104-108, Dec. 2007.
  9. Gray, J. A. "Brain systems that mediate both emotion and cognition." Cognition and Emotion, vol. 4, pp. 269-288, Dec. 1990 https://doi.org/10.1080/02699939008410799
  10. 유회종, "디지털미디어콘텐츠의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커뮤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 대학원대학교 박사논문,2009
  11. 윤승금,"커뮤니케이션 요소(symbol)의 장,단기 기억효과연구," 서울산업대학논문집 vol. 32 pp. 321-334,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