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ilding Culture Complex Belt of Innovation City through Mixture of Cultural, Educational and Public Space

신도시형 혁신도시 문화공간의 복합화 조성 방안 -나주혁신도시를 중심으로-

  • 김항집 (광주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8.24
  • Published : 2010.09.28

Abstract

Sustainable development is the main stream of urban development in 21st century. Also, in contemporary cultural space, it is the pivotal paradigm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mplex and mixture of cultural space, educational faciliti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ublic space.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presentation for building culture complex belt for innovation c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has reviewed the developmental trend of cultural facilities, has analyzed cultural environment of Naju city, has set the vision and the strategy for Naju innovation city up, and finally has suggested and planned the method of culture complex belt for sustainable new town development.

지속가능한 국토개발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하여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 기업도시(기업중심), 혁신도시(혁신클러스터) 등 다양한 형태의 신도시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세종시가 원안대로 추진되게 됨으로써, 혁신도시의 건설은 보다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기존 수도권의 신도시와는 달리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주로 지방의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에 신도시가 형성된 다는 측면에서 도시개발의 차이가 있다. 또한 인구는 대부분 2만 내외의 중소규모 신도시 및 신시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혁신도시 내의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은 도시규모 및 도시기능상 독립적인 수요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시설을 복합화하여 문화수요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 모도시와의 공동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도시관리의 차원에서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는 다른 혁신도시와는 달리 2개 광역지자체의 공동혁신도시이자 혁신도시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신도시형으로 조성되는 나주혁신도시를 사례로, 혁신도시 문화교육시설을 활용한 기능과 공간의 융복합적 복합 문화벨트의 조성을 기존의 분산적 문화시설계획방식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선진문화인프라 소개”,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본계획 공개세미나 자료집, pp.3-20, 2006.
  2. 김군수, 효율적인 공공시설 배분계획, 경기개발연구원, pp.35-60, 1996.
  3. 김재현, “서울시 문화시설 분포의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제51호, pp.43-59, 2007.
  4. 김지현, 박희령, 김용성,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에 따른 현대 공공 도서관의 이용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설학회지, 제23권, 제7호, pp.45-50, 2007.
  5. 김효정, “문화인프라 구축 기본방향”,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본계획 공개세미나 자료집, pp.21-72, 2006.
  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의 문화공간”, 도시정보지 8월호, pp.2-10, 1993.
  7. 박상희, 도심내 문화공간의 경관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상명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126-127, 2008.
  8. 백병준, “국내 문화시설 이용 실태에 관한 실증분석 : 개인수준과 지역 수준별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75-110, 2006.
  9. 양도식, 도시수변공간 : 문화용도를 위한 공간구성, 런던대 박사학위논문, pp.199-200, 2006.
  10. 오동훈, 이재순, 정만모, “공공문화시설 건립타당성 조사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과 문화체육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논문집, 제19권, 제2호, pp.75-96, 2006.
  11. 윤대식, 진원형, 김상황, 육태숙, “대구시민의 전시공연문화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1-42, 2003.
  12. 은경원,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경향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도서관의 다원적 기능과 공간의 적응”,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0-72, 2007.
  13. 이건수, 정창무, “공공문화시설의 집객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게획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67-274, 2008.
  14. 장윤범, “지방 문예회관의 이용률 분석”, 국민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30-45, 2008.
  15. 한국토지공사,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기본구상, pp.201-253, 2006.
  16. http://www.na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