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어머니의 취업 여부, 취업 관련 특성, 배우자의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 김기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김상원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이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 Received : 2010.06.29
  • Accepted : 2010.09.10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using a sample of 502 mothers (207 employed and 295 nonemployed mothers) who had 1st and 2nd grade children.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aternal employmen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It was also found that employed mothers experienced less parenting stress when they perceived greater job satisfaction and higher spousal support. Lastly, spousal support moderated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stronger for the high spousal support group than for the low spousal support group.

Keywords

References

  1. 강근석.김충락(1999). 희귀분석. 서울 : 교문사.
  2. 강희경(1998).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사무직 취업 모의 양육스트레스 : 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고성혜(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21-37.
  4. 김기현.조복희(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5. 김리진.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154, 47-58.
  6. 김민정(2006). 취업모의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직업만족도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민정(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선순(2006). 여성공무원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 정.이지현(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1.
  10.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42(11), 109-122.
  11. 박성연.임미리(2002).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57-68.
  12. 박성옥(1997).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6(2), 37-45.
  13. 백영숙(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안지영.박성연(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8.
  15. 윤미향(2006). 취업모의 취학 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장영애(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간의 관계연구. 논문집, 30, 173-188. 인천대학교.
  17. 전영자(1996). 주부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아동.가족복지연구, 1.
  18. 전춘애.박성연(1996).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111, 115-129.
  19. 조경욱(2004). 취업모의 근무환경, 보육서비스, 남편의 지지도가 양육역할 긴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9(2), 161-178.
  20. 차삼숙.신유림(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25(1), 163-181.
  21. 채선미.강희선.이한주.신현숙(1999). 배우자 지지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3(2), 187-195.
  22. 통계청(2009). 2009 사회조사보고서 : 맞벌이부부 및 가구주의 1주일 평균 근로 시간(가구주).
  23. 허순금(2006).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요인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현온강.조복희(1994). <부모의 역할만족도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96, 103-117.
  25. 황현주(1993). 맞벌이 부부의 직장생활과 직장생활간의 역할전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sville, VA : Pediatric Psychology Press.
  27.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1, 407-412.
  28.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29.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30. Crockenberg, S. (1988).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In H. Fitzgerald, B. Lester, & M. Yogman (Eds.), Theory and research in behavioral pediatrics, 4, 67-92. New York : Plenum.
  31. Crouter, A. C., & McHale, S. M. (1993). The long arm of the job : Influence of parental work on childrearing.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179-202). New York : Erlbaum.
  32. Erikson, E.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 Norton.
  33. Forgays, D. K., Ottaway, S. A., Guarino, A., & D'Alessio, M. (2001). Parenting Stress in Employed and At-Home Mothers in Italy.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4), 327-351. https://doi.org/10.1023/A:1012703227992
  34. Glass, J., & Camarigg, V. (1992). Gender, Parenthood, and Job-Family Compatibilit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8(1), 131-151. https://doi.org/10.1086/229971
  35. Goode, W. J. (1964). The family. Tokyo: Prentice Hall, Inc.
  36. Guelzow, M. G., Bird, G. W., & Koball. E. H. (1991). An exploratory path analysis of the stress process for dual-career men and wom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151-164. https://doi.org/10.2307/353140
  37. Hughes, D., & Galinsky, E. (1988).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 Research and corporate application. In A. E. Gottfried & A. W. Gottfried (Eds.),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 : Longitudinal research (pp. 233-268). New York : Plenum.
  38. Kwon, J. Y.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al Intelligence and Child Behavior Problems in a Study of Korean Preschool Moth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7(5), 449-460. https://doi.org/10.1080/03004430600852916
  39. Lamb, M. E. (1982).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in "Nontraditional" Families.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0. Neal, M. D., Chapman, N. J., Ingersol-Dayton, B., & Emlen, A. C. (1993). Balancing Work and Caregiving for Children, Adults, and Elders. Newbury Park: SAGE.
  41. Owen, M., & Cox, M. (1988). Maternal employment and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A. Gottfried & A. Gottfried (Eds.),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 : Longitudinal research (pp. 85-120). New York. Plenum Press.
  42. Wheaton, B. (1985). Models for the stress-buffering functions of coping resourc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6, 352-364. https://doi.org/10.2307/2136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