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s'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 Jung, Myung-Soo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ae-I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12.31
  • Accepted : 2010.03.2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in a bi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kindergarten teacher and parents education to improve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0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attended kindergarten in the city of Busan. They were asked to describe what words came into their mind about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and what an ideal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should be like. Among the participants, ten mothers were interviewed to tell about the ideal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The largest number of the parents wrote down the words that represented the image of the person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love and friendliness were the most common words that the parents mentioned. As for an ideal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they wanted kindergarten teachers to love preschoolers, to have a good and friendly personality, to see through young children's eyes and to be positive and happy. It indicated that the parents expected their children to be educated by teachers who are understanding, cheerful, have a good personality and love children as their own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곽현주(2008). 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동적 평가의 접근 모색. 유아교육학논집, 12(1), 115-­133.
  2. 교육부(2000).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집, 1, 총론.
  3. 기순신(2001). 교사론. 서울 : 학지사.
  4. 김경철.김안나 (2009).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 한 인식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1-16.
  5. 김민진(2006). 유치원과 초등학교 국어과 연계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293-­315.
  6. 김복용(1997). 배려윤리의 교육적 의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승옥.황윤세(2006). 유아교사(예비, 현직)의 자기 평가와 교사 전문성 인식간의 관계. 아동교육, 115(4), 117-126.
  8. 김애련(1985). 유아교육기관 원장을 통해서 본 유아교사 자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은희.황해익(2006). 유치원 교사의 직무 전문성 자기평가 준거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285-307.
  10. 김혜린(1993). 유치원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희연(2003).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적용과정에 나타난 유치원아 부모의 반응. 유아교육연구, 23(4), 139-168.
  12. 남명자(2005).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나타나 '돌봄'관계 형성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류칠선(1998).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척도 개발. 아동학회지, 19(1), 183-192.
  14. 류칠선.오영희(1999).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연구. 아동학회지, 20(1), 213-222.
  15. 박병춘(1999). 보살핌 윤리(An ethic of care)의 도덕 교육적 접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은혜(2004). 유아교사론. 서울 : 창지사.
  17. 박향숙(1995).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백은주.조부경(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4(4), 95-117.
  19. 소지영(2000).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연구, 21(4), 391-409.
  20. 양옥승(2004).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유아교육연구, 24(4), 247-262.
  21. 양옥승.이원영.이영자.이기숙 (2003). 21세기 바람직한 유아교육에 대한 한국유아교육학 회의입장. 서울 : 정민사.
  22. 염지숙(2005).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23. 유해인(1990). 유치원 교사 자질에 대한 부모들의 기대와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경민.엄은나(2005).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참여 교사의 기대와 자기평가. 유아교육학논집, 9(4), 133-152.
  25. 이경민.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 직무만족도, 강정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정기학술대회집, 305-316.
  26. 이금란(2000).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기숙(1984). 유아교사의 역할과 자질. 유아교사양성 대학모형 교육과정 연구. 서울 : 교문사.
  28. 이미식.최용성(2002). 도덕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배려의 윤리(Ethic of care). 부산 : 부산대학교출판부.
  29. 이상봉(1987). 자기평가를 통한 유치원 교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세나(2008). 유치원 학부모 자원봉사자의 양육효능감과 교사로서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3), 377-387.
  31. 이은화(1997). 부모교육학. 서울 : 교육과학사.
  32. 이은화.배소연.조부경 (2003). 유아교사론. 서울 : 양서원.
  33. 이정림(2009). 학부모와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진숙(2003).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분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현숙(2005). TV 드라마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이미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계영.김미애.심지민(2000).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양성과정의 유효성 인식과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경북전문대학논문집, 19, 151-­169.
  37. 조부경.백은주.서소영(2005).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서울 : 양서원.
  38. 조용환(2005).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 교육과 학사.
  39. 최혜진.황해익(2005). 유치원 교사와 보육 교사의 자기평가에 대한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187-208.
  40. 하은옥(2007). 교육실습 전.후에 다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9-42.
  41. 한명자(1993). 유치원 교사의 자질에 대한 기대수준과 자기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Abruscato, J. (1996). Teaching children science a discovery approach. Boston, M. A. : Allyn & Bacon.
  43. Broudy, H. S. (1984). The university and the preparation of teachers. In L. G. Katz & J. D. Raths (eds.), Advance in teacher education, 1, NJ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44. Katz, L. G. (1970). Teaching in preschools : Roles and goles. Children, 17(2), 42-48.
  45. Saracho, O. N. (1988). A study of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 Care, 38, 43-56. https://doi.org/10.1080/0300443880380104
  46. Goldstein, L. S. (1997). Teaching with love. New York : Washington, D. C. Baltimore.
  47. Goldstein, L. S. (2001). 사랑으로 가르치기 : 유아교육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접근(염지 숙 역). 서울 : 창지사(원본발간일 1997년).
  48. Noddings, N. (1995). Teaching themes of care. Phi Delta Kappan, 76(9), 675-679.
  49.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2004). Strengh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 The influence of generalized outcome psychology, 23, 603-619.
  50. Small, M. (1990). Cognitive development. Orlando, FL : Harcourt Brace Jovanovich.
  51. Worth, K., & Grollman, S. (2003). Worms, Shadows, and Whilpools. Heinemann, NH : Portsm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