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Adjustment of 1- and 2-year-old Children in a Child-Care Center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 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Yang, Suk-Kyung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 Moon, Hyuk-Jun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양숙경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
  • Received : 2010.01.15
  • Accepted : 2010.04.0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adjustment of 1- and 2-year-old children in a child-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344 working mothers who were raising 19- to 42-month-old children and 106 class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lncheon.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WIN 15.0 version an 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s pos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 children's adaptability to child-care centers varied with their sex, age, and the existence of siblings. Girls and children of higher age were more adaptable than boys and younger children. Children who have siblings were more adaptable compared to those who were the only child in the family. Also, children who were enrolled at a workplace provided child-care center were more adaptable than those who entered other kinds of child-care centers. (b)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fluences the adjustment of children in a child-care center.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s the strongest indicator to predict how well the child will adjust to the child-care center.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교육개발원(1990). 교육통계연보.
  2.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교육개발원(2008). 교육통계연보.
  3. 구수연(2005).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경란(2006)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5. 김교성 . 김경희(2003). 직장보육시설과 일반보육시설 이용하는 여성근로자의 보육의 질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및 격리불안정도에 관한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33, 1-22.
  6. 김민지(2000). 어머니의 격리불안 및 영아의 기질과 종일반 탁아기관에서의 영아의 초기적응.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영명(1997). 어머니 및 보육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따른 정서적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청구논문.
  8. 김인아(2004). 교사-유아 애착안정성과 교사 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김정자(2006). 보육시설에 대한 취업모의 선호도 분석.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혜란(2005). 여성근로자의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만족 및 효과성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43, 179-199.
  11. 김희진, 김영애(2008). 영아 초기적응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유아교육연구, 28(1), 5-25.
  12. 남주현(2003).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류경(2000). 보육시설 초기적응과정의 영아 행동 특징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문영경 . 정지나 . 이영(2008). 민간보육시설 이용자의 영아보육 만족도 및 요구도.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63-187.
  15. 박성옥(1993). 3세 이하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격리불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6. 박은미(2003). 3세 유아의 유치원 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적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박희정(2008).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보육사업안내(2009). 보건복지가족부.
  19. 보육통계(2008). 보건복지가족부.
  20. 서기남(2008). 유아의 리더쉽과 관련된 변인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성영혜 . 손지미(1999). 직장보육의 부모양육 보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1), 61-78.
  22. 손인숙 . 송진숙(2004).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9, 111-128.
  23. 손지미(1998). 직장보육의 부모양육 보충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4.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25. 안명희 . 김명희(2006). 교사의 애착유형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적응. 생활과학연구, 11, 134-149.
  26. 안지영 . 도현심(1998). 자녀 양육행동, 아동의 낯가림 경험 및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분리불안. 대한가정학회지, 36(8), 13-20.
  27. 오종은(2001).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원영미(1990).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유현숙(2006).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양육 태도 및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유희정(1997).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분석.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선영(2006).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사회 . 정서적행동 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이영 . 김명순(1999).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 또래관계 및 아동발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8), 103-115.
  33. 이영미(1997).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4. 이지희(2008).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 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5. 이진숙(2002).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지, 11(2), 123-133.
  36. 이현숙 . 조혜진(2009). 영아의 개인변인과 어린이집의 환경 변인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8(2), 179-192.
  37. 이희영(2001).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가 유치원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8. 임말자 . 최경순(2003). 유아의 성 . 연령 . 기질 및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교육기관적응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3(1), 169-207.
  39. 장성덕(2007).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취업이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0. 장은미(2008). 영아의 기질, 조기교육경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어린이집 적응에서의 문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1. 장혜정(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교육기관 초기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2.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3. 전미경(2004).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4. 정미조(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 교사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5. 정은혜(2000).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6. 천혜선(2003). 기혼 위업여성의 육아실태 및 육아지원 방안을 위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7. 최순덕(2007). 유아의 유치원 적응 관련변인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8. 통계청(2008). 경제활동 인구연보.
  49. 허서옥 . 전예화(2001).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인제논총, 16(1), 287-296.
  50. 현온강 . 태진(2000).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28(3), 25-42.
  51. Becker, W. C.(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d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Eds.), Review of mild development research. N.Y.: Russell Sage Foundation.
  52. Belsky, J. (1984). The determination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86. https://doi.org/10.2307/1129836
  53. Bowlby, J. (1982).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2nd Ed). NY: Basic.
  54. Bridget, K. H. & Robert, C, P. (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 625-638. https://doi.org/10.1111/1467-8624.00301
  55. Hock, E. (1976). Alternative approaches to child rearing and their effects on the mother-infant relationship. Urbana, IL: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Early Childhood Education (122943).
  56. Howes, C., Hamilton, C. E., & Philipsen, L. C. (1998). Stability and continuy of child-caregiver and childpeer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9(2), 418-426.
  57. Ladd, G., & Price, J. (1987). Predicting children's social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58, 1168-1189. https://doi.org/10.2307/1130613
  58. Lutz, W., & Hock, E. (1995). Maternal Separation Anxiety. Relations to Adult Attachment Representations in Mothers of Infant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6(1), 57-72. https://doi.org/10.1080/00221325.1995.9914806
  59. McBride, S, L., & Belsky, J. (1988). Characteristics, determination, consequences o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Developmental Psychology, 24, 407-414.
  60. Park, K. A., & Waters, E. (1989). Security of attachment and preschool friendship. Child Development, 60, 1076-1281. https://doi.org/10.2307/1130781
  61. Parker-Cohen, N. Y., & Bell, R. Q.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to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179-192.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1-X
  62. Pianta(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https://doi.org/10.1016/0022-4405(94)90026-4
  63. Salovey, P., &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yt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 educators. N.Y. :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