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arners' Perceptions toward Non-speech Sounds Designed in e-Learning Contents

이러닝 콘텐츠에서 비음성 사운드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김태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
  • 나일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 Received : 2010.04.20
  • Accepted : 2010.06.15
  • Published : 2010.07.28

Abstract

Although e-Learning contents contain audio materials as well as visual materials, research on the design of audio materials has been focused on visual design. If it is considered that non-speech sounds which are a type of audio materials can promptly provide feedbacks of learners' responses and guide learners' learning process, the systemic design of non-speech sounds is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ers' perceptions toward non-speech sounds contained the e-Learning contents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For this purpose, the eleven non-speech sounds were selected among non-speech sounds designed Korea Open Courseware. The 66 juniors in A university responded the degree of similarity among 11 non-speech sounds and the learners' perceptions towards non-speech sounds were represented in the multidimensional space. The result shows that learners perceive separately non-speech sounds by the length of non-speech sounds and the atmosphere which is positive or negative.

이러닝 콘텐츠에는 시각자료와 함께 다양한 청각자료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학습자료에서 청각정보 설계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청각정보의 한 유형인 비음성 사운드가 학습자들에게 피드백 제공 및 행위유도를 즉시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감안한다면 비음성 사운드의 체계적 설계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이러닝 콘텐츠에 설계된 비음성 사운드를 어떠한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이러닝 콘텐츠에 설계된 비음성 사운드 중 대표성이 있는 11개의 비음성 사운드가 선정되었다. A 대학교 3학년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11개의 비음성 사운드들 간의 유사 정도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가 다차원 공간에 표현되었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비음성 사운드의 길이와 비음성 사운드가 전달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분위기에 따라 비음성 사운드를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S. E. Smaldino, J. D. Russell, R. Heinich, and M. Molenda,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 (8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005.
  2. 정인성, 나일주, 교육공학의 이해, 학지사, 1996.
  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04.
  4. 김호정, 제품 정보 구조의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을 위한 이어콘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2003.
  5. 임치환, 이재인, 이성수, “이어콘을 적용한 음성메뉴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28권, 제4호, pp.55-62, 2005.
  6. S. M. Alessi and S. R. Trollip, Computer-based instruction: Methods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985.
  7. W. O. Galitz, Handbook of screen format design (3rd Ed.). Wellesley, MA: QED Information Science, 1985.
  8. R. Heinich, M. Molenda, J. D. Russell, and S. E. Smaldino,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NJ: Prentice-Hall, Inc, 1999.
  9. J. Heines, Screen design strategies for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Belford, MA:Digital Press, 1984.
  10. S. Hooper and M. J. Hannafin, "Variables affecting the legibility of computer generated text",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Vol.9, No.4, pp.22-28, 1986. https://doi.org/10.1007/BF02908315
  11. S. Hooper and M. J. Hannafin, "Learning the ROPES of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for emerging interactive technologies," Educational Technology, Vol.28, No.7, pp.14-18, 1988.
  12. S. A. Brewster, Providing a structured method for integrating non-speech audio into human-computer interfaces. Ph.D Thesis, University of York, UK, 1994.
  13. 김하진, 이만재, 권은숙, 고욱, 디지털 컨텐츠, 안그라픽스, 2000.
  14. E. B. Goldstein, 감각과 지각 (정찬섭 외 공역), 시그마프레스, 1999.
  15. 김성중, 소리자극이 운동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987.
  16. http://100.naver.com/
  17. M. Blattner, D. Sumikawa, and R. Greenberg, "Earcons and icons: Their structure and common design principles, Human Computer Interaction," Vol.4, No.1, pp.11-34, 1989. https://doi.org/10.1207/s15327051hci0401_1
  18. S. A. Brewster, P. C. Wright, and A. D. N. Edwards, "Parallel earcons: Reducing the length of audio mess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43, No.2, pp.153-175, 1995. https://doi.org/10.1006/ijhc.1995.1039
  19. M. G. Crease and S. A. Brewster, "Making Progress With Sounds -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An Audio Progress Bar," In Proceedings of ICAD'98 (Glasgow, UK), British Computer Society, 1998.
  20. 김형석, 박민용, “휴대용 디지털 전자제품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청각적 피드백의 고려”, 대한인간공학회지, 제19권, 제3호, pp.51-60, 2000.
  21. 김형숙, 봉현철, 김봉광. “액션러닝 프로그램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인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pp.19-44, 2007.
  22. 나일주, 진성희, “인쇄텍스트와 온라인텍스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2호, pp.213-235, 2008.
  23. 나일주, 김세리, “이러닝 학습환경에서의 학습용 웹 화면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기업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59-79, 2006.
  24. R. M. Nosofsky and R. D. Stanton, "Speeded Old-New Recognition of Multidimensional Perceptual Stimuli: Modeling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Participant and Individual- Item Leve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32, No.2, pp.314-334, 2006. https://doi.org/10.1037/0096-1523.32.2.314
  25. J. B. Kruscal and M. Wish, Multidimensional Scaling. Beverly. Hills, Sage, 1978.

Cited by

  1. Auditory Interaction Design By Impact Sound Synthesis for Virtual Environment vol.13, pp.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