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유적 발굴지의 화분분석: 색생과 퇴적환경 고찰

Pollen analysis from Osong Archaeological Site, Chungbuk Province: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

  • Yi, Sang-He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Ju-Yo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투고 : 2010.04.01
  • 심사 : 2010.05.31
  • 발행 : 2010.06.30

초록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원평 II-3 보조단면 (B11칸 서벽)의 홀로세로 판단되는 퇴적물로부터 이 지역의 식생과 기후변화를 추정하였다. 트렌치 단면의 퇴적물들은 주로 조립질의 퇴적물로 구성되어 유기물의 함유량이 대체적으로 낮았다. 비록 화분의 산출량은 높지 않았지만 우점 종과 일부 중요 종으로부터 중부 내륙 산간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이 변화가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분군집상의 변화를 선행화 분분석 자료들과 대비하여 간접적으로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초기 홀로세의 식생은 최종 빙기 이후 온난화로 전이되는 한랭기동안 번성하였던 주요 수목들이 사라져 단순한 산림형태화가 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중기 홀로세에는 온난, 습윤의 최적화된 생육조건으로 낙엽활엽수림과 상록수형 활엽수 및 난온대성 소나무 등이 번성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기 홀로세의 기후는 다시 한랭화가 진행되어 본 연구지역은 침엽수-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천이되었다. 최상부 구간에는 농경활동 지표 종들의 산출로 이 지역에 본격적인 농경활동이 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되며, 산림형태는 자연환경변화보다는 인간간섭에 의해 더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여주며 기후조건은 오늘날과 비슷하였다.

Holocene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were assumed on the basis of pollen records from Wonpyeong Trench II-3 of the Osong archaeological site, Cheongju, Chungbuk Province, Korea. An organic matter beared in coarse sediments appeared to be low throughout the succession. Although an occurrence of pollen grains is not high, some dominant and principal taxa may indicate vegetation changes response to climate changes in central inland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ge determination can be estimated with indirect way by comparing with previous age-controlled pollen studies. It is assumed that the former last glacial conifer forests had been changed into open mixed conifer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during the early Holocene period. Warmer and more humid climate conditions, during the mid-Holocene, might have allowed the hardwoods including deciduous- and evergreen-broadleaved trees, and warm-preferring pine tree to flourish. Subsequently, the former forests were replaced by mixed of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wing to deterioration of climate conditions during the late Holocene. Human activity is also detected by agricultural indicators, such as buckwheat and large pollen grains comparable to corn, in upper most pollen profile. During this time, the forests in studied area were primarily affected by human disturbance rather than natural environ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