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eavy Metal Ion Detection in Living Cell Using Fluorescent Chemosensor

형광화학센서를 이용한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의 중금속이온검출

  • Kwon, Pil-Seung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 Kim, Jin-Kyung (Department of Miocrobiology & Vestibulocochlear Research Center,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ong-Wa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권필승 (원광보건대학 임상병리과) ;
  • 김진경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및 전정와우기관연구센터) ;
  • 김종완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
  • Received : 2010.01.16
  • Accepted : 2010.06.04
  • Published : 2010.08.20

Abstract

The fluorescence detection of intracellular metal ions are high interest in the fields of organic molecular chemistry and cellular biology. This study was purposed to detection for mercury and zinc in the cell using fluorescent chemosensor (FS). FS exhibits a weak fluorescence, but emits strong fluorescence upon Zn$^{2+}$ complexation. The increased fluorescence of the 2FS/Zn$^{2+}$ can be quenched completely by addition of only 1 equiv of Hg$^{2+}$ with the formation of complex FS-Hg$^{2+}$. Four cell lines (LLC-MK2, Hela, HT29 and AMC-HN3) were used for fluorescence imaging by confocal microscope. The cell viability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was evaluated after cell treatment of FS, Zn$^{2+}$, FS-Zn$^{2+}$, Hg$^{2+}$ on LLC-MK2 cell line. The cytotoxicity of FS was showed to viability over 80%. This study has shown that FS can be detected for selective imaging of Zn$^{2+}$ and Hg$^{2+}$ in living cells.

세포내의 중금속이온의 형광검출은 유기분자화학과 세포생물학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갖는다. 이 연구는 형광화학센서(FS)를 이용한 Hg$^{2+}$ 과 Zn$^{2+}$의 세포 내 검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FS는 약한 형광을 나타내지만 Zn$^{2+}$와 결합 시에는 강한 방출 형광은 낸다. 2FS/Zn$^{2+}$의 형광증가는 FS-Hg$^{2+}$결합의 형성할 때 Hg$^{2+}$ 1당량만 추가에도 완전한 형광감소를 나타낼 수 있었다. 네가지의 세포주(LLC-MK2, Hela, HT29 and AMC-HN3)는 공촛점 현미경에 대한 형광이미지를 위하여 사용하였다. 세포생존능은 LLC-MK2 세포주에 FS, Zn$^{2+}$, FS-Zn$^{2+}$, Hg$^{2+}$의 처리 후에 평가하였다. FS의 세포독성능은 80%이상의 생존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FS가 살아있는 세포내의 Hg$^{2+}$과 Zn$^{2+}$의 선택적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서론

화학센서는 분석물과 감응물질과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분석물을 선택적으로 인지하고 이를 통하여 특정물질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화학센서를 통해 기본적으로 분자간의 선택적 상호인식작용을 이용하여 질병의 원인이 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화학센서의 개발은 질병진단 및 치료의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1-3

최근 들어 환경오염이 날로 증가되고 있고 그 중의 중금속 물질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 아연은 인체의 면역시스템에서 규칙적인 세포주기에 관여를 하며 단백질합성에도 이용되는 중요한 미네랄 요소이다.4 아연결핍은 중요한 대사의 장애를 일으키며 어린이들의 성장저하와 남성과 여성들의 불임, 저혈당증, 골육저하, 뇌기능이상, 고지혈증 등을 야기시킨다.5,6 아연은 메탈로치오닌과 결합하여 납과 같은 중금속을 해독하는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7 주로 고 농도의 수은은 간과 신장, 비장에 축적되어 유전자 손상을 유발하고 세포의 유사분열의 장애나 신경계 손상을 일으킨다.8,9

이런 중금속들의 측정방법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분석방법은 크게 파괴법과 비파괴법이 있는데 주로 널리 사용되어지는 것은 파괴법이다. 이런 파괴법으로 산을 이용해 중금속 성분을 용해시킨 후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나 원자흡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AS)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10 이런 검사법은 여러 가지 중금속이온을 동시에 검출하는 장점은 있으나 장비의 가격이 비싸고 복잡한 전처리 과정과 오염에도 노출되어있는 것이 단점이며, 가장 큰 단점은 살아있는 생명체의 모니터링을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형광센서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검출한다면 다양한 시료에서 검출과 복잡한 전 처리과정과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으며, 높은 선택성과 10-9 몰 농도까지 측정 할 수 있는 뛰어난 감도로 신속히 검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살아있는 생명체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형광물질 역시 분자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수단이 된다. fluoroionophore가 화학적 센서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분자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그 결과를 형광의 변화로 쉽고 민감하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11-13 이온 수용체에 형광물질이 접목된 fluoroionophore는 상당수 알려져 있으며, 금속 이온과의 착물형성의 결과로 나타나는 형광 스펙트럼은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PET)14,15/charge transfer (PCT),16 metal-toligand charge transfer (MLCT)17,18/energy transfer,19 inter-/intramolecular excited state proton transfer (ESPT),20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21 그리고 excimer/exciplex 형성22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일어나며 그에 따른 분자의 행동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높은 이온선택성과 감도를 가진 유기형광 화학센서는 세포 내 침투가 가능하여 인체내의 중금속이온의 국소적 노출 및 인체장기의 축적 시 중금속 검출에 용이하다.

본 저자들은 수은과 아연에 높은 선택성을 지닌 유기형광 화학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기질과 무기질과의 경쟁실험을 통한 높은 선택성과 감도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형광화학센서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적용을 위해 살아있는 다양한 세포주에서 적용을 시도하여 보았다.

 

실험 방법

형광센서

Intramolecular chage transfer (ICT)-based molecular로서 5-(4-nitrobenzene diazo)-8-benzenesul fonamamidoquinaldine 이란 구조를 지니고 nitroazobenzene 발색단과 benzenesulfonamido quinaldine 형광단으로 이루어진 형광센서(fluorescent chemosensor, FS)이다.

UV 스펙트럼과 형광 스펙트럼

용액의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용매 및 시약은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Acetonitrile (Aldrich Chemical Co., Milwaukee, USA) methanol (Aldrich Chemical Co., Milwaukee, USA), dimethyl sulfoxide (Merck, Mumbai, India), 중금속 이온은 Li+, Na+, K+, Rb+, Cs+, Mg2+, Ca2+, Sr2+, Ba2+, Cu2+, Cd2+, Hg2+, Zn2+를 metal perchloride (Aldrich Chemical Co., Milwaukee, USA)을 사용하였으며, Hg2+는 metal chloride (Aldrich Chemical Co., Milwaukee, USA)을 사용하였다.

사용기구

UV/Vis 스펙트럼은 S-3100 series PDA UV/Vis (Scinco Co., Seoul, Korea) 분광 광도계(spectro- photometer)를 사용하였고, 형광 스펙트럼은 spectrofluorophotometer (RF-5301PC, Shimadzu Co., Kyoto, Japan)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

적정실험에서의 중금속들의 원액(stock 용액)은 acetonitrile에 metal perchlorate를 이용하여 1 mM로 제조 하였으며. UV/Vis와 형광의 정량실험은 acetonitrile/H2O (9:1) 비율로 만든 용액으로 FS 10 μM, 20 μM, 50 μM 과 금속이온 염화염의 적은 농도를 조제하여 실험하였다.

용액의 혼합 과정은 30분 이상 진행되었고, 형광 스펙트럼의 경우 들뜸 파장을 355 nm로 하여 3.0 slit으로 모든 시료를 측정하였고, 방출파장은 513 nm로 측정하였다. 연합상수인 Ka값은 Enzfitter (Elsevier-Biosoft, Cambridge, United Kingdom)의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되었다.

계산방법

연합상수(Ka), 자유에너지(⊿G)와 추출평형상수(Ke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3

세포주의 배양

세포주는 rheses monkey kidney cell (LLC-MK2 cell), human epithelial carcinoma cell line (Hela cell),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 line (HT29 cell), human head and neck cancer cell (AMC-HN3 cell)를 계대 배양하였다. 각 세포는 플라스크 (Nunc, Rochester, NY, USA)에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Rockville, NY, USA) media 500 mL에 10% fetal bovine serum (Gibco BRL, Rockville, NY, USA) 50 mL과 antibiotic-antimycotic (Gibco BRL, Rockville, NY USA) 5 mL을 섞은 후 세포배양액으로 37 ℃와 5% CO2 조건이 유지되는 CO2 배양기(Forma, USA)에서 배양하였다. 3일마다 배지를 교환하였으며, 20세대 이내의 세포들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살아있는 세포내에 축적된 아연과 수은 이온의 형광검출

지수성장기의 배양된 세포들을 0.05% 트립신을 사용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를 105 개/mL 로 12 well plate에 분주하여 plate에 부착 될 때까지 1 - 2일정도의 배양을 시켰다. 그 후 배양된 세포주에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 (Gibco BRL, Rockville, NY, USA) 를 1 mL를 분주하여 2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배양용 배지를 각 well당 1 mL씩 분주한 후 FS를 처리하고 수은을 주입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형광이미지는 Zeiss 510 Meta Confocal Microscope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공촛점 현미경의 투과광도와 조사속도, 밝기, 명암대비를 고정시키고 대조군과 아연과 수은이 함유된 세포이미지를 관찰하였다. exitation 파장을 405 nm 파장대의 blue 다이오드레이저의 빛을 주입시키고 세포 내에서 발광하는 방출파장의 빛인 BP 505 - 550 nm 필터를 사용하여 형광을 흡수해 내어 세포 내에서의 아연에서 강한 빛을 내는 이미지를 검출하였으며, 수은을 처리한 후에 형광이 감소되는 이미지를 검출하였다.

세포독성능 시험(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바이오센서가 세포에 미치는 독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수 성장기의 LLC-MK2 세포주를 트립신 처리 후 105/mL이 되게 배지로 희석한 후 96 plate 에 well당 100 μL씩 처리하며 대조군으로 FS를 녹일때 사용된 용매인 acetonitrile/H2O (9:1) 비율로 만든 용액와 배지를 같은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72시간을 항온항습기에서 배양한 후 각각의 well에 pH 7.3의 DPBS (Gibco BRL)에 녹인 MTT 용액(2 mg/mL sigma) 을 50 μL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37 ℃ 가 유지되는 5% CO2 항온항습기에서 배양한다. 배양 후 각 well의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여기에 150 μL 의 dimethyl sulfoxide를 첨가한 후 formazan을 잘 용해시키기 위해 microplate mixer로 10 - 20분간 흔들어 주었으며 흡광도는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측정한다. 생존율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억제제의 농도마다 4개의 well의 평균 흡광도 값을 계산하여 결과로 사용한다.

 

결과

형광센서의 UV 스펙트럼

Fig. 1은 형광센서 FS (20 μM)를 acetenitril과 물을 1:1로 혼합한 용액에 Na+, Li+, K+, Cs+, Rb+, Sr2+, Ba2+, Cu2+, Mg2+, Ca2+, Cd2+, Hg2+ and Zn2+와 같은 다양한 금속이온들을 200 μM 혼합하여 흡수파장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수은과 아연은 450 nm 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냈고 다른 금속온들은 410 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냈다.

Fig. 1.UV/Vis spectra of FS (20 μM) in CH3CN/H2O solution (1:1, v/v) in the presence of various metal cations (Na+, Li+, K+, Cs+, Rb+, Sr2+, Ba2+, Cu2+, Mg2+, Ca2+, Cd2+, Hg2+ and Zn2+, 200 μM, respectively).

형광센서의 아연이온의 선택성

FS (10 μM)과 다양한 금속이온을 acetenitril 과 물의 9:1 비율에 Li+, Na+, K+, Rb+, Cs+, Mg2+, Ca2+, Sr2+, Ba2+, Cu2+, Cd2+, Hg2+, Zn2+ 각각 100 μM를 넣어 여기파장 355 nm과 방출파장은 400 nm에서부터 650 nm까지를 지정하여 spectrofluo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ig. 2(a)는 Zn2+는 513 nm에서 11-fold 형광의 세기를 나타내었고 다른 금속이온들은 형광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Zn2+를 0.2, 0.4, 0.6, 0.8, 1, 2, 3, 4, 5, 6, 7, 8 ,10 μM 농도로 증가시키며 여기파장 355 nm와 방출파장은 400 nm에서부터 650 nm까지를 지정하여 spectrofluo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ig. 2(b)는 형광의 세기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Zn2+를 1당량 까지 추가시켜서 측정한 결과 0.2당량 에서도 90%이상 형광이 증가하였고 0.5당량에서 부터는 평행한 형광의 세기가 나타났다. 이 결과 Fig. 2(b) insert에 따르면 FS는 Zn2+에 매우 감도가 높고 선택성이 높은 센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2.Fluorescence responses of FS (10 μM) in CH3CN/H2O solution (9/1, v/v) in the presence of (a) various metal cations (Li+, Na+, K+, Rb+, Cs+, Mg2+, Ca2+, Sr2+, Ba2+, Cu2+, Cd2+, Hg2+ and Zn2+, 100 μM, respectively) and (b)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Zn2+ (0.2, 0.4, 0.6, 0.8, 1, 2, 3, 4, 5, 6, 7, 8 and 10 μM). Excitation at 355 nm; all cations used as perchlorate salts. Inset 2b: fluorescence intensity of FS at 522 nm vs. equiv of Zn2+.

수은이온의 형광 선택성 실험

5 μM의 2FS/Zn2+ 수용액에 Hg(ClO4)2를 0, 0.2, 0.4, 0.6, 0.8, 1, 2, 3, 4 and 5 μM 농도로 증가시키며 여기파장 355 nm 와 방출파장은 400 nm에서부터 650 nm까지를 지정하여 spectrofluo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ig. 3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형광의 세기가 감소되고 완전히 형광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insert는 Hg2+를 0.4당량까지 추가시켜서 측정한 결과 0.05당량에서도 90%이상 형광이 감소하였고 0.1당량에서 부터는 평행한 형광의 세기가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르면 FS는 Hg 2+에 매우 감도가 높고 선택성이 높은 센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3.Fluorescence changes of the 2FS/Zn2+ (5 μM) in CH3CN/H2O solution (9/1, v/v) upon addit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Hg(ClO4)2 (0, 0.2, 0.4, 0.6, 0.8, 1, 2, 3, 4 and 5 μM) with an excitation at 355 nm. Inset: fluorescence intensity decrease (I0-I) at 552 nm of FS vs. equiv of Zn2+.

이온의 경쟁실험

FS와 다양한 금속이온들의 혼합액에 Zn2+의 추가시 형광변화

FS (10 μM)과 다양한 금속이온을 acetenitril 과 물의 9:1 비율에 Li+, Na+, K+, Rb+, Cs+, Mg2+, Ca2+, Sr2+, Ba2+, Cu2+, Cd2+, Hg2+ 10 μM 을 혼합하고 추가적으로 10 μM 농도의 Zn2+를 넣었다. 이때 Zn2+를 넣기 전과 넣은 후의 형광을 513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Fig. 4는 Hg2+ 이온에서만 형광의 비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FS투여 후 Hg2+이온이 존재시에 Zn2+를 첨가하면 형광이 Hg2+이온에서만 선택적으로 형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Fig. 4.Fluorescence responses of FS (10 μM) at 513 nm with various metal cations (Na+, Li+, K+, Cs+, Rb+, Sr2+, Ba2+, Cu2+, Mg2+, Ca2+, Cd2+ and Hg2+, 10 μM each) in CH3CN/H2O solution (9/1, v/v) upon addition to 10 μM of Zn2+ (I and I0 denote fluorescence intensity of FS + various cation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Zn2+, respectively).

FS와 Zn2+의 혼합액에 다양한 금속이온들의 추가시 형광변화

Acetenitril 과 물의 9:1 비율로 만들어진 용액으로 녹인 FS (10 μM)에 10 μM 농도의 Zn2+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각각이 Li+, Na+, K+, Rb+, Cs+, Mg2+, Ca2+, Sr2+, Ba2+, Cu2+, Cd2+, Hg2+ 10 μM를 추가하였더니 넣기 전과 후의 형광을 513 nm에서 비교하였더니 그 결과 Fig. 5는 Hg2+ 이온에서만 형광의 비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5.Fluorescence changes of FS (10 μM) at 513 nm in CH3CN/H2O solution (9/1, v/v) upon addition of Zn2+ (10 μM) and subsequent addition of different metal cations (10 μM) (I and I0 denote fluorescence intensity of FS + Zn2+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various cations, respectively).

2FS/Zn2+에 대한 다양한 금속이온을 포함한 혼합액에 Hg2+ 추가시 형광변화

Fig. 6은 각각의 Li+, Na+, K+, Rb+, Cs+, Mg2+, Ca2+, Sr2+, Ba2+, Cu2+, Cd2+, Zn2+ 10 μM 금속용액 위에 acetenitril 과 물의 9:1 비율로 만들어진 용액으로 녹인 2FS/Zn2+혼합액 10 μM 농도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Hg2+를 10 μM씩 각각 넣어주었더니 전과 후의 형광을 513 nm에서 비교하였더니 형광의 비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금속이온들에서 형광강도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6.Fluorescence changes of 2FS/Zn2+ (10 μM) at 513 nm upon addition of different metal cations (10 μM) and subsequent addition of Hg2+ (10 μM) in CH3CN/H2O solution (9/1, v/v) (I and I0 denote fluorescence intensity of 2FS/Zn2+ + various cation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Hg2+, respectively).

살아있는 세포내의 중금속이온의 형광검출

세포내의 Zn2+이온검출

Fig. 7(b) 와 Fig. 8(b)는 살아 있는 Hela 세포주, HT29 세포주에 FS 50 μM만을 넣고 배양 후 공촛점 현미경을 BP 505 - 550 nm filter를 사용하여 형광을 흡수를 관찰하였더니 미약한 형광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Zn2+ 50 μM (1당량)를 넣고 37 ℃에서 5분간 배양 후 공촛점 현미경으로 형광을 관찰하였더니 세포 내에서 강한 형광을 관찰 할 수 있었다. Fig. 9는 신장세포주인 LLC-MK2 세포주도 비슷한 결과로 나왔다.

Fig. 7.Confocal fluorescence http://kpubs.sonjo.co.kr/kPubSWorkBench//S_Img of Zn2+ in Hela cells. The excited light is 405 nm (Zeiss LSM 510 META confocal microscope, × 40 objective lens). (a) Bright-field transmission image of Hela cells with FS (50 μM). (b) Fluorescence image of Hela cells with FS (50 μM). (c) Fluorescence image of Hela cells with 2FS/Zn2+ (50 μM). (d) An overlay image of a and c.

Fig. 8.Confocal fluorescence http://kpubs.sonjo.co.kr/kPubSWorkBench//S_Img of Zn2+ in HT29 cells. The excited light is 405 nm (Zeiss LSM 510 META confocal microscope, × 40 objective lens). (a) Bright-field transmission image of HT29 cells with FS (50 μM). (b) Fluorescence image of HT29 cells with FS (50 μM). (c) Fluorescence image of HT29 cells with 2FS/Zn2+ (50 μM). (d) An overlay image of a and c.

Fig. 9.Confocal fluorescence http://kpubs.sonjo.co.kr/kPubSWorkBench//S_Img of Zn2+ in LLC-MK2 cells. The excited light is 405 nm (Zeiss LSM 510 META confocal microscope, × 20 objective lens). (a) Fluorescence image of LLC-MK2 cells with FS (50 μM) (b) Bright-field transmission image of LLC-MK2 cells with FS (50 μM). (c) Fluorescence image of LLC-MK2 cells with 2FS/Zn2+ (50 μM).

세포내의 Hg2+이온검출

Fig. 10(a)는 살아있는 AMC-HN3 세포주에 2FS-Zn2+ (50 μM)를 넣고 5분간 배양 후 형광을 관찰하였더니 아주 강한 형광을 나타냈다. Fig. 10(b)-(f) 에서는 추가적으로 Hg2+을 5, 10, 20, 30, 50 μM씩을 넣어주었더니 점차적으로 형광이 소멸하다가 Fig. 10(f)의 50 μM에서는 형광의 완전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Fig. 10.Confocal fluorescence image of Hg2+ in AMC-HN3 cells (excitation at 405 nm, Zeiss LSM 510 META confocal microscope, × 20 objective lens). (a) Fluorescence image of AMC-HN3 cells with 2FS-Zn2+ (50 μM) and after subsequent treatment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Hg2+, (b) 5.0 μM, (c) 10 μM, (d) 20 μM, (e) 30 μM, and (f) 50 μM.

중금속과 센서의 세포 내 축적 확인검증

Fig. 11는 살아있는 Hela 세포주에 2FS-Zn2+ (50 μM)를 넣고 5분간 배양 후 형광을 관찰한 후 3차원영상을 위한 얇은 조각사진으로 FS와 Zn2+의 세포 내 축적을 확인하였다.

Fig. 11.Confocal fluorescence 3D slice image of Zn2+ in Hela cells incubated with 2FS-Zn2+ (50 μM) (excitation at 405 nm, Zeiss LSM 510 META confocal microscope, × 60 objective lens).

세포독성능 검사시험결과

Fig. 12는 Hg2+ 80 μM를 처리하고 계단희석을 한 후 하룻동안 배양된 LLC-MK2 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능은 2.5 μM까지도 90% 이상의 세포독성능을 보였다. FS 100 μM을 처리하고 계단희석을 한 결과에서는 95%이상의 세포생존능을 보였다. 그리고 Hg2+ 40 μM와 FS 50 μM를 혼합하여 계단 희석한 결과는 Hg2+농도로 1.25 μM에서 55% 이상의 세포생존능을 보였다. Zn2+ 80 μM를 처리하고 계단희석을 한 후 하룻동안 배양된 Hela 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능은 80 μM에서도 53% 이상의 세포생존능을 보였다. 그리고 Zn2+ 40 μM와 FS 50 μM를 혼합하여 계단 희석한 결과는 Zn2+농도 40 μM에서 24% 이상의 세포생존능을 보였으나 그 이후 농도부터는 50%에 가까운 세포생존능을 보였다. FS 100 μM만을 처리한 것의 세포생존능은 83%이상의 생존능을 보였으며, FS 25 μM과 Zn2+20 μM, Hg2+ 20 μM 를 처리한 세포는 Zn2+, Hg2+ 의 농도 1.25 μM 농도에서 50%정도의 세포생존능을 보였다.

Fig. 12.The cell viabil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S with heavy metals (bars: mean ± standard deviation).

 

고찰

본 연구에서 사용된 형광센서인 FS는 513 nm에서 Zn2+만이 다른 금속이온 보다 11배의 형광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왔다. Fig. 1(b) insert는 아연 0.2 당량에서 90%의 형광증가를 보였고 0.5당량에서는 평형을 이루었다. 이것은 FS가 Zn2+의 정량분석을 위한 매우 좋은 실험방법이고 Zn2+의 지시제로 감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수은중독이라 함은 혈액에서는 1.0 μM, 소변에서는 3.0 μM 이상일 때를 말한다.24-26 FS/Zn2+ 복합체는 Fig. 3에서와 같이 수은중독한계농도인 1.0 μM 에서 뚜렷한 형광감소를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센서로 판명되었다. 이로서 혈액이나 소변에서 수은중독을 비싼 장비가 필요 없이 측정할 수 있는 아주 간편함을 증명하였다.

Fig. 12에서는 FS/Zn2+ 복합체에 Hg2+이 함께 존재하면 FS와 Hg2+이 함께 있을 때 보다 20%정도 세포 생존능이 더 좋은것을 볼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메탈로치오나인과 같이 Zn2+가 Hg2+의 독성능으로부터 보호와 Hg2+의 분포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졌기 때문이다.27 그리고 FS만이 처리한 군에서도 80%이상의 아주 좋은 생존능을 보였다. 이 결과는 FS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미루어 볼 수 있고 무해함이 입증되었다.

중금속을 검출 할 수 있는 고분자 센서를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은 생물학적 적용의 첫 단계로서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금속이온 검출의 시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2005년 Zeng등28은 구리센서를 이용하여 HEK293 세포주에서 공촛점 이미지를 검출하였고, 이 센서의 특성도 본 연구에서 이용된 아연의 검출 시 11배의 형광증가와 거의 흡사한 10배로 증가되는 센서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사용된 FS는 Zn2+과 Hg2+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센서이며 Zeng L등의 센서는 구리이온만을 검출하는 센서였다. 2006년 Peng등29은 카드뮴센서를 이용하여 수지상세포에서 공촛점 현미경을 통해 카드뮴이온을 세포 내에서 검출하였다.

세포내의 Zn2+검출을 위한 시도는 Woodroofe 등30이 Hela 세포주에서 esterases의 가수분해를 바탕으로 한 Zn2+검출을 하였으나 사용된 센서의 농도가 10 mM 의 고농도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FS는 50 μM 이였는데 이와 비교해 보면 아주 적은 농도로도 Zn2+을 검출 할 수 있었다. 그리고 Chang 등31이 COS-7 cell을 이용한 Zn2+과 산화질소와의 이성화를 이용한 Zn2+ 센싱을 공촛점 이미지를 통해 검출하였다. 또한 Taki등32이 fibroblast cell을 이용하여 Zn2+검출을 하였는데 10 μM Zinc sulfate와 20 μM pyrithione을 투여한 후 검출을 하였다. 세포내의 Hg2+의 검출을 위한 시도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중 최근의 연구는 Ko 등33은 murine C2C12 myelobrasts cell과 rat PC12 cell을 이용하여 본 연구와 같은 저 농도의 센서 50 μM 을 사용하여 Hg2+검출을 하였고 더군다나 zebrafish을 이용하여 Hg2+의 모니터링을 성공적으로 보여준 연구도 있었다. 이 연구에서 보듯이 중금속의 검출을 위한 형광센서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물학적 적용인 것이다. 그래서 생물학적 적용의 중요성과 노력이 날로 증가하고 있고, 세포 내에서의 중금속이온 검출이야 말로 적용의 좋은 예가 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센서의 개발은 생물학적 적용의 단계를 거쳐서 질병의 원인 규명과 진단 및 치료에도 쓰일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FS는 분광학적인 결과와 같이 전처리 없이 시료 내 Zn2+와 Hg2+ 농도의 측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기물과 무기질과의 경쟁실험을 통한 높은 선택성과 감도를 측정하였다. 이로서 체외적 진단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고 다양한 검체에 전처리 필요 없이 바로 Zn2+와 Hg2+ 농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가지의 센서로 Zn2+와 Hg2+을 검출이 가능하고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검출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앞으로 임상적 적용을 위해 생물학적 적용의 첫 단계인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검출뿐만 아니라 동물실험을 통한 더 많은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References

  1. Silva, A. P.; Gunaratne, H. Q.; Gunnlaugsson, T.; Huxley, A. J.; McCoy, C. P.; Rademacher, J. T. Chem. Rev. 1997, 97, 1515. https://doi.org/10.1021/cr960386p
  2. Czarnik, A. W. Acc. Chem. Res. 1994, 27, 302. https://doi.org/10.1021/ar00046a003
  3. Fabbrizzi, L; Poggi, A. Chem. Soc. Rev. 1995, 24, 197. https://doi.org/10.1039/cs9952400197
  4. Renzoni, A.; Zino, F.; Franchi, E. Environ. Res. 1998, 77, 68. https://doi.org/10.1006/enrs.1998.3832
  5. Kaya, S.; Kececi, T.; Haliloglu, S. Res. Veter. Sci. 2001, 71, 135. https://doi.org/10.1053/rvsc.2001.0500
  6. Rostan, E. F.; DeBuys, H. V.; Madey, D. L.; Pinnell, S. R. Int. J. Dermatol. 2002, 41, 606. https://doi.org/10.1046/j.1365-4362.2002.01567.x
  7. Salgueiro, M. J.; Zubillaga, M.; Lysionek, A. E.; Caro, R. A.; Weill, R.; Boccio, J. R. Nutrition 2002, 18, 510. https://doi.org/10.1016/S0899-9007(01)00812-7
  8. Renzoni, A.; Zino, F.; Franchi, E. Environ. Res. 1998, 77, 68. https://doi.org/10.1006/enrs.1998.3832
  9. Tchounwou, P. B.; Ayensu, W. K.; Ninashvili, N.; Sutton, D. Environ. Toxicol. 2003, 18, 149. https://doi.org/10.1002/tox.10116
  10. Forrer, R.; Gautschi, K.; Lutz, H. Biol. Trace. Elem. Res. 2001, 80, 77. https://doi.org/10.1385/BTER:80:1:77
  11. Bohmer, V. Angew. Chem. Int. Ed. Engl. 1995, 34, 713. https://doi.org/10.1002/anie.199507131
  12. Kim, J. S.; Shon, O. J.; Ko, J. W.; Cho, M. H.; Yu, I. Y.; Vicens, J. J. Org. Chem. 2000, 65, 2386. https://doi.org/10.1021/jo9912754
  13. Aoki, I.; Sakaki, T.; Shinkai, S. J. Chem. Soc. Chem. Commun. 1992, 730.
  14. Gunnlaugsson, T.; Davis, A. P.; O’Brien, J. E.; Glynn, M. Org. Lett. 2002, 4, 2449. https://doi.org/10.1021/ol026004l
  15. Vance, D. H.; Czarnik, A. W. J. Am. Chem. Soc. 1994, 116, 9397. https://doi.org/10.1021/ja00099a094
  16. Valeur, B.; Leray, I. Coor. Chem. Rev. 2000, 205, 3. https://doi.org/10.1016/S0010-8545(00)00246-0
  17. Beer, P. D. Acc. Chem. Res. 1998, 31, 71. https://doi.org/10.1021/ar9601555
  18. Kim, M. J.; Konduri, R.; Ye, H.; MacDonnell, F. M.; Puntoriero, F.; Serroni, S. Inorg. Chem. 2002, 41, 2471. https://doi.org/10.1021/ic011028u
  19. Bergonzi, R.; Fabbrizzi, L.; Licchelli, M.; Mangano, C. Coor. Chem. Rev. 1998, 170, 31. https://doi.org/10.1016/S0010-8545(98)00069-1
  20. Choi, K.; Hamilton, A. D. Angew. Chem. Int. Ed. 2001, 40, 3912. https://doi.org/10.1002/1521-3773(20011015)40:20<3912::AID-ANIE3912>3.0.CO;2-R
  21. Hossain, M. A.; Mihara, H.; Ueno, A. J. J. Am. Chem. Soc. 2003, 125, 11178. https://doi.org/10.1021/ja036427y
  22. Nakahara, Y.; Matsumi, Y.; Zhang, W.; Kida, T.; Nakatsuji, Y.; Ikeda, I. Org. Lett. 2002, 4, 2641. https://doi.org/10.1021/ol026110n
  23. Gutsche, C. D. Calixarenes;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1989.
  24. Anthony, 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eds.; Fauci et al. McGraw-Hill: New York, 1997.
  2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ffice of Inquiry and Consumer Information. 5600 Fisher Lane, Room 12-A-40, Rockville, MD 20857(301) 827-4420. http://www .fda.gov/fdahomepage.html.
  26.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Clearinghouse. EnviroHealth, 2605 Meridian Parkway, Suite 115, Durham, NC 27713. (919) 361-9408.
  27. James, K. Y.; Jiang, Y.; Saari, J. T. J. Nutr. Bio. 2007, 18, 714. https://doi.org/10.1016/j.jnutbio.2006.10.009
  28. Zeng, L.; Miller, E. W.; Pralle, A.; Isacoff, E. Y.; Chang, C. J. J. Am. Chem. Soc. 2006, 128, 10. https://doi.org/10.1021/ja055064u
  29. Peng, X.; Du, J.; Fan, J.; Wang, J.; Wu, Y.; Zhao, J. J. Am. Chem. Soc. 2007, 129, 1500. https://doi.org/10.1021/ja0643319
  30. Woodroofe, C. C.; Won, A. C.; Lippard, S. J. Inorg. Chem. 2005, 44, 3112. https://doi.org/10.1021/ic048789s
  31. Chang, C. J.; Jaworski, J.; Nolan, E. M.; Sheng, M.; Lippard, S. J. Proc. Natl. Acad. Sci. 2004, 10, 1129.
  32. Taki, M.; Wolford, J. L.; O’Halloran, T. V. J. Am. Chem. Soc. 2004, 126, 712. https://doi.org/10.1021/ja039073j
  33. Ko, S. K.; Yang, Y. K.; Tae, J.; Shin, I. J. Am. Chem. Soc. 2006, 128, 14150. https://doi.org/10.1021/ja065114a

Cited by

  1. Development of Rhodamine-Based Fiber Optic Sensor for Detection of Mercury in Aqueous Environments vol.23, pp.3, 2014, https://doi.org/10.5369/JSST.2014.23.3.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