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nvironmental-friendly features at Korean Traditional Houses -Focused on Nak-An folk village-

한국전통민가주택의 친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낙안읍성 민속마을을 중심으로-

  • 주급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최만진 (경상대학교 건축학과)
  • Received : 2010.06.04
  • Accepted : 2010.09.1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Our global environment and ecology are now facing crisis due to the hrincreased waster materials caused by reckless abuse of resources and energy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our society. Therefore the whole nation should recogniz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seriously and should accept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The country is looking for actions against the problems in various ways. The introduction of reckless and duplicating western housing plan should be ceased but a new housing plan conforming to our nature should be found. In this regard, it is believed that it is a good alternative to succeed tradition and identity of Korean housing plan and suggest a new plan for better ecological housing by analyzing the environment friendliness of our traditional Korean houses. In this study, the traditional residential components were divided into physical and design asp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friendly Korean traditional houses were analyzed.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재. (2003). 주거와 문화. 서우.
  2. 주남철. (2002). 한국의 전통민가. 아르케.
  3. 최만진 외. (2010). 주택디자인. 대한건축학회.
  4. 송갑득. (2002). 낙안읍성. 낙안읍성 민속마을.
  5. 김홍식. (1992). 한국의 민가. 한길사.
  6. 주거학연구회. (2003). 친환경주거. 주거학연구회.
  7. 김자경. (2004). 자연과 함께하는 건축. 시공사.
  8. 김봉렬. (1999). 앎과 삶의 공간. 이상건축.
  9. 임상훈 외. (2001). 생태건축. 도서출판 고원.
  10. 임상훈 외. (2004). 생태마을론. 도서출판 고원.
  11. 변혜진. (2008). 폴드건축의 환경친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민경. (2001). 한국전통주거건축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신진동. (2008). 조선시대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특성에 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성희. (2005). 한국전통건축의 생태요소를 고려한 공동주택 활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원민. (2003). 전통주거 특성을 이용한 전원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민경. (2001). 한국 전통주거건축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은희. (2001). 생태학적 접근에 따른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경완. (2003). 가로조건에 따른 전통주거지의 좌향 및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조원용. (2004). 한국 전통건축의 생태적 특징을 통한 현대 주거건축의 수용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김주연. (2003).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한충한. (2007). 낙안읍성 민속마을의 주공간 변용과 보전에 관환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고태주. (1992). 낙안읍성의 민가와 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황성범. (2010). 한국 전통마을의 친환경적 인자에 대한 연구: 외암마을, 닭실마을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황보봉. (2001). 휴고헤링(1882-1958)의 건축이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8).
  25. 김병주 외. (2006). 풍수와 한국 전통마을에 대한 생태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6).
  26. 우경국. (2002). 탈 인본주의와 생태건축, 전통건축의 생태문화적 연구와 실현. 29차 토지문화재단세미나 자료집.
  27. 최 율. (2002). 방촌마을의 생태주거단지계획.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1).
  28. 김흥식, 진필화 & 김도형. (2006). 낙안민속마을의 친환경 계획요소 실태조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3.
  29. 현택수 & 이병태. (2003). 지속가능한 건축의 계획과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1).
  30. 이재헌 & 유희준. (1998). 전통건축 공간의 유기적 상호연결작용에 의한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I).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4).
  31. 김흥식, 김도형 & 방민. (2008). 전통마을의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분류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32. 서기영 & 임상인. (2004). 전통주거지에 내재된 지속가능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9).
  33. 박성희 & 정무웅. (2006). 한국전통건축 생태요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9).
  34. 김원석 & 조한. (2008). 한국전통건축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8(1).
  35. 박성희 & 정무웅. (2005). 한국전통건축의 생태요소를 고려한 집합주거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개요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