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rovement of the Specific Target for Fire Fighting of Fire Safety Grade System

특정소방대상물의 방화관리 등급체계 개선방안

  • Received : 2010.03.09
  • Accepted : 2010.04.0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many aspects of society have been changed and a living environment has been more convenient than before. However, factors of fire risk are increased because of society which is becoming complex. Moreover, a building built in recently is becoming high-rise and intelligent. Then losses of life and property increase continually. Thus, an institutional strategy which can solve this problem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ate a problem of specific a building managing strategy and suggests a reformation of the fire safety grade system of a specific building. The suggested ideas are an adoption of fire risk evaluation of a building, tentatively named "Fire Safety Corporation" establishment, reclassification of the fire safety grade system of a specific building, and newly making fire safety managers of ultra-high buildings and underground structures.

산업의 발전에 따라 사회양상도 복잡 다양하게 변화하여 오고 생활의 편리함도 늘어났지만, 그에 따른 화재위험요인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내 건축물 환경도 초고층화 인텔리전트(Intelligent)화 되어가면서 화재로 인한 인적 물적 손실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과거보다 화재발생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보완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소방대상물 관리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특정소방대상물의 방화관리 등급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화재 위험성 평가제도 도입, 가칭 "소방안전공사"의 신설, 특정소방대상물 방화관리등급 재분류, 초고층 및 지하심층 건축물에 방화관리자 신설 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소방방재청, "2008년 화재발생현황 분석", pp.1-14(2009).
  2. (사)한국소방기술사회, "초고층건축물 안전관리 표준 매뉴얼", p.7(2007).
  3. 제태환, "방화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1(2005).
  4. 김형기, "방화관리자 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3-16(2009).
  5. 김형기, 전게서, pp.20-21(2009).
  6. 심천보, "초고층 건물 화재시 위험성 분석과 방화안 전설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4(2004).
  7. 소방방재청, "예방소방행정통계", p.99(2009).
  8. 박종근, "지하공간의 위험관리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1(2003).
  9. 문성준, "소방법령의 주요개정사항과 그 배경", 소방안전지 통권67호, 소방안전협회, pp.20-22(1992).
  10. 김동일, "건물 화재위험의 정량적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지, Vol.1, No.3, p.7(2000).
  11. 이수경, 김수태, "건물의 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한 모델(Model) 개발",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0, No.4, pp.31-33(1996).
  12. 김동일, 전게서, p.7(2000).
  13. 소방방재청, "화재영향평가기준개발 등에 관한 연구", p.10(2005).
  14. (사)한국소방기술사회, 전게서, p.43(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