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actors of Success on Online VOD Contents

온라인 VOD 영상콘텐츠 흥행요인 분석

  • 안재현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
  • 김미경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
  • 민병현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 Received : 2009.09.18
  • Accepted : 2009.11.04
  • Published : 2010.03.28

Abstract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the viewing rate of terrestrial broadcasting programs has a little bit affect on online VOD use. In addition, WOM(word of mouth) and online referral importantly influences to the picking with online VOD drama. The great popularity of main actors on drama affect a little bit the viewing of VOD drama but doesn't perfectly affect on it. However, the drama which is performed by great popular actors has positive affect on VOD use. This study result shows that the using of video depends on the effect of WOM, referral and commercial. The casting of a great popular actors plays role of the safeguard which affects viewing rate and add-value. That means the casting of a great popular actors doesn't connect with the success of release but the tool of defense from loss of profit.

지상파 방송의 드라마 시청률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케이블 TV와 인터넷 VOD를 통한 재방송 혹은 다시보기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인터넷이 방송의 보조적 배포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립적인 서비스 플랫폼의 지위를 얻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실제 드라마 시청률과 온라인 VOD 이용과도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편이다. 원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가 현실화 되는 상황에서 원소스의 1차적인 창구가 2차적 창구 효과에 대한 영향과 시청률 왜곡이 가속화되는 현실에서 온라인에서의 지상파 드라마의 흥행요인이 어떠한지를 총체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상파 드라마를 대상으로 온라인 VOD에서의 흥행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흥행요인을 크게 4가지, 즉 시청률, 구전 및 온라인 정보, 드라마유형, 스타출연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으며 분석결과, 온라인 VOD드라마 이용에 어느 정도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구전(.324, p<.01) 및 온라인 정보(.325, p<.01) 그리고 스타의 출연(.307, p<.01)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가 온라인 VOD 이용도 높을 것이라는 가설과 드라마 유형이 온라인 VOD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증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청률과 온라인 VOD 이용과의 관계를 규명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청률데이터 활용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agbnielsen.co.kr/
  2. 유세경, 정윤경,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해외 판매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1997년부터 1999년까지의 해외 판매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1호, pp.209-255, 2000.
  3. S. Wildman and K. S. Robinson, “Network Programming and Off-network Syndication Profits : Strategic Links and Implications for Television Policy,”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8, No.2, pp.27-48, 1995. https://doi.org/10.1207/s15327736me0802_4
  4. 이양환, 장병희, 박경우, “국가 간 영화흥행요인 비교를 위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1호, pp.185-222, 2007.
  5. 박선주, 시청몰입(flow)경험에 따른 드라마 선택요인과 동일시 효과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6. 배진아, “드라마 시청률 영향 요인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276-306, 2005.
  7. 김익성, “텔레비전 드라마의 창구별 성과간의 상호영향에 관한 연구”, 여의도 저널, 봄호, pp.73-111, 2006.
  8. 심미선, 한진만, "프라임타임대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4호, pp.177-216, 2002.
  9. D. Waterman, “Home Video and Distribution of Films,” in Eli M. Noam(ed). Video Media Competition Regulation, Economics, Technology, New York: Comlumbia University Press. pp.221-223, 1985.
  10. W. W. Fu, “Concentration and Homogenization of International Movie Sources: Examining Foreign Film Import Profil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6, No.4, pp.813-835, 1999.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6.00321.x
  11. B. Austin, “Theory and Method in Research on Audience Motiv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2, No.4, pp.472-487, 1988.
  12. A. De Vany and W. D. Walls, “Uncertainty in the Movie Industry: Does Star Power Reduce the Terror of the Box Offic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pp285-318, November 1999.
  13. S. Neale, Genre. London, 1980.
  14. J. Mittell, “The Classic Network System' in the US in M.Himes(ed.), The Television History Book,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2002.
  15. 전규찬, 박근서,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2003.
  16. B. Litman and L. Kohl,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 '80s Experience,”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 pp.35-50, 1989. https://doi.org/10.1080/08997768909358184
  17. S. Sochay,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7, No.4, pp.1-20, 1994. https://doi.org/10.1207/s15327736me0704_1
  18. J. Prag and J. Casavant,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Revenues and Mrketing Expenditure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18, No.3, pp.217-235, 1994. https://doi.org/10.1007/BF01080227
  19. 김휴종, “문화산업 윈도우 효과의 이론과 실증”, 문화정책논총, Vol.11, pp.19-38, 1997.
  20. M. Pokorny and J. Sedgwick, Sedgwick, “Movie Stars and the Distribution of Financially Successful Film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23, No.4, pp.319-323, 1999. https://doi.org/10.1023/A:1007540912759
  21. W. T. Wallace, A. Seigerman, and M. B. Bolbrook, “The Role Star Worth?”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17, No.1, pp.1-24, 1993. https://doi.org/10.1007/BF00820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