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eding Methods to the Growing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in Wheat Field of Rice-wheat Cropping System

이모작 논 밀 재배시 파종방법이 뚝새풀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김선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안승현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임일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정영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시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Received : 2010.08.27
  • Accepted : 2010.09.1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ecological weed control system in wheat field of rice-wheat cropping system. The results were, depression effect on water foxtail by wheat seeding method decreased the seeding after doing soil rotary by 85% compared with the no practices. The occurrence of Water foxtail was 40 piece $m^{-2}$ on October 16, 29 piece $m^{-2}$ on October 26, and 4 piece $m^{-2}$ when surveying based on the standard of seeding the wheat at 15kg $ha^{-1}$ which decreased as the seeding time got later. According to the wheat seeding quantity 29 piece $m^{-2}$ occurred at 150kg $ha^{-1}$, and 8-11 piece $m^{-2}$ decreasingly at more than 200 kg $ha^{-1}$ of wheat seedlings based on seeding on October 26. As a result of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crushing the soil by use of rotary before seeding wheat against the end of October, and seeding by increasing the seedling quantity (200 kg $ha^{-1}$) it is judged that the competition damage by weeds including water foxtail can be reduced without any use of herbicide.

뚝새풀의 친환경 관리법 개발을 위해 밀 파종 전 토양 로타리 경운을 추가하고 파종한 결과 뚝새풀 발생 수는 85%가 감소되었다. 잔여 뚝새풀의 발생밀도를 더 줄이기 위하여 밀 파종시기와 파종량에 따른 효과를 검토코자 밀 종자량 150kg $ha^{-1}$을 기준하여 시기를 달리하여 파종한 결과 10월 16일 파종시에는 뚝새풀 발생이 $m^2$ 당 40개가 발생하였으나 10월 26일 29개 11월 6일 파종시에는 4개로 밀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뚝새풀 발생이 감소되었다. 밀 파종량에 따른 영향은 10월 26일에 ha당 종자 150kg을 파종하였을 때는 $m^2$당 29개가 발생하였으나 파종량 200kg $ha^{-1}$ 이상에서는 8~11개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남부지방에서 10월 하순경 밀 파종 전에 로타리를 이용하여 토양을 파쇄하고, 종자량을 ha당 200kg으로 증량하여 파종하면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뚝새풀을 비롯한 잡초에 의한 수량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옥, 박근용. 1978. 전작 잡초방제의 현황과 전망. 한국작물학회지 23(3):55-65.
  2. 농업과학기술원. 2005. 농경지 발생잡초 정밀조사.
  3. 이춘우, 윤의병, 구본철. 1997a. 뚝새풀의 생태적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17(별1):9-30.
  4. 이춘우, 김창석, 장영희, 연규복. 1977b. 잡초생장에 미치는 볏짚, 보리짚의 Allelopathic Effect. 한국잡초학회지 11(2):122-127.
  5. 임일빈, 이선용, 허상만. 1994a. 뚝새풀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방제 1. 발아 및 출아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14(4):239-244.
  6. 임일빈, 백남현, 허상만, 고영우. 1994b. 뚝새풀의 생리 . 생태적 특성 및 방제. 2.비료 3요소에 대한 생장반응. 한국잡초학회지 18(2):122-127.
  7. 조장환, 조형열, 김문자. 1976. 맥류전작 및 답리작안전다수확 재배기술 확립에 관한 시럼. 작물시험장 시험연구 보고서. pp. 1077-1085.
  8. 주정일, 류범열, 이승수, 신철우, 김충수. 2003. 볏짚환원 맥류 재배기술 확립. 충남농업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9. 주정일, 이희봉, 신철우. 1999. 벼 입모중 보리 산파재배시 적정입모수 설정 및 뚝새풀 발생의 영향. 충남대농학회지 26(1):6-11.
  10. 추연대, 이종훈. 1979. 맥류잡초발생 생태에 관한 연구. 경북농업기술원 시험연구 보고서. pp. 285-288.
  11. 호남작물시험장. 1974. 답고도 이용에 관한 시험. 호남작물시험장 연구보고서. pp. 418-426.

Cited by

  1. Eco-Friendly Control of Water Foxtail (Alopecurus aequalis) on Cultivation Fields of Forage Barley Sowed before Rice Harvest vol.3, pp.1, 2014, https://doi.org/10.5660/WTS.2014.3.1.13
  2. Effect of Plant Life Cycle on Plant Settlement in Diverse Water Level vol.17, pp.1, 2015, https://doi.org/10.17663/JWR.2015.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