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Office Workers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이윤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 김봉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Received : 2010.05.06
  • Accepted : 2010.06.0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will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The Office workers'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this research. To verify it, each level of job satisfaction, ego-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s been measured from 264 office workers in Seoul, Gyunggi, and Incheon, an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has been don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had shown slightly higher correlation with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bjective orientation of ego-identity, and all the variables of ego-identity except for initiatives had shown a static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job satisfaction had exercised influence over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self-acceptance,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but not over autonomy and environmental mastery. Third, initiatives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ego-identity had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ver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objective orientation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ego-identity had exercised a static influence over job satisfaction but identity confusion had exercised a negative impact. Fifth, as a result of observing an impact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had exercised over psychological well-being, it had shown a high impact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purpose in life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was valued highly. Through these results, it could be expected that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would be influenced to increase their objective orientation.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이 서로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직장인의 심리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지역의 직장인 264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자아정체감,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를 측정하고, SPSS 12.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 및 자아정체감의 목표지향성과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자아정체감은 주도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의 대인관계, 자아수용성,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에 영향을 미쳤으나 자율성과 환경통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주도성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지향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체감 혼미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하위변인 중 삶의 목적을 높이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들의 직무 만족을 높이고 자아정체감 형성을 높이는 것이 그들의 목표지향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