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67.
-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15.
- 김지연 (2004). 한국 미술 중에 나타나는 해학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22.
- 류근영, 이효진 (2002). 만화 이미지가 표현된 후기산업사회 복식의 해학. 복식, 62(8).
- 박옥미, 송정선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엽기현상-국내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 54(2).
- 장애란 (2006). John Galliano작품에 표현된 웃음의 미학. 복식, 56(8).
- 장애란 (2007). John Galliano 컬렉션의 패션메이크업에 나타난 통속성. 복식, 57(6).
- 이민정, 김민자 (2008). 골계미가 표현된 TV코미디 의상 연구-<개그콘서트>를 중심으로. 복식. 58(1).
- 자료검색일 2009. 6. 1, 자료출처 http://www.naver.com
- 자료검색일 2009. 6. 1, 자료출처 http://www.korean.go.kr
-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98.
- 지순임 (2004).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해학성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논문집 20, p. 148.
- 권혁주 (2009). 한국적 웃음과 골계론(滑稽論)의 예비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 竹內敏雄 (1961). 美學事典. 안영길, 지미정, 오무석, 민은기, 손현숙, 최범, 이재언 역 (1989). 미학.예술학사전. 서울: 미진사, pp. 278-280.
- 김보나 (200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諧謔美.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36.
- 김보나 (200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諧謔美.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 김지연 (2004). 한국 미술 중에 나타나는 해학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p. 226-227.
-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230.
- 조요한 (2005). 예술철학. 서울: 열화당.
-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56.
-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78.
-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57.
-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246.
- 권영필, 김임수, 이인범, 최열, 조선미, 조은정, 박영숙, 이주형, 유홍준, 민주식 공저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경기도: 돌베개, p. 250.
- 최준식 (2003). 한국미, 그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사, p. 82.
-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22. p. 72.
- Huizinga, J. (1955). Homo Ludens-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Boston: The Beacon Press, p. 8.
- 김지연 (2004). 한국 미술 중에 나타나는 해학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 정인섭 (1970). 해학의 사상적 배경과 수사학. 월간문학, 5월, 서울: 한국문인협회 월간문학사, p. 238.
- 정인섭 (1970). 해학의 사상적 배경과 수사학. 월간문학, 5월, 서울: 한국문인협회 월간문학사, pp. 84-152.
- 금장태 (2008). 한국 실학사상 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p. 18.
- 최준식 (2003). 한국미, 그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사. p. 71.
-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21.
-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p. 26-27.
-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13.
-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25.
-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213.
-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296.
- 허균 (2004). 나는 오늘 옛 그림을 보았다. 서울: 대한교과서(주), p. 152.
-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333.
-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154.
- 한국문화교류연구회 (1998). 해학과 우리-한국해학의 현대적 변용. 서울: 시공사, pp. 118-124.
-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32.
- 박용숙 (2004). 한국화 감상법. 서울: (주)대원사, pp. 20-21.
- 박용숙 (2004). 한국화 감상법. 서울: (주)대원사, p. 32.
-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325.
- 최석조 (2008). 단원의 그림책. 경기도: (주)아트북스, p. 98.
- 정병모 (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p. 302.
- 지순임 (2004).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해학성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논문집 20, p. 169.
- 최석조 (2008). 단원의 그림책. 경기도: (주)아트북스, p. 82.
- 임린 (2009). 한국여인의 전통 머리모양. 서울: 민속원, pp. 166-167.
-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1.
-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243.
-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129.
- 권영필, 금기숙, 김문환, 민주식, 송방송, 주남철 공저(1994).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261.
- 강명관 (2004).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172.
- 김영자 (1993). 한국 복식미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복식, 21, pp. 171-172.
- 김영자 (1993). 한국 복식미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복식, 21, p. 174.
- Weeks, Jeffrey (1985). Sexuality. 서동진, 채규형 역 (1994). 섹슈얼리티. 서울: 현실문화연구, p. 18.
- Weeks, Jeffrey (1985). Sexuality. 서동진, 채규형 역 (1994). 섹슈얼리티. 서울: 현실문화연구, p. 42.
- 한국문화교류연구회 (1998). 해학과 우리-한국해학의 현대적 변용. 서울: 시공사, p. 37.
-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p. 139-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