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aturalized Costume Terminologies Appearing in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to the Time of Independence(1876-1945)

개화기부터 광복이전까지 신문, 잡지에 기록된 외래어 복식명칭에 관한 연구

  • Kim, Eun-Jung (Dept. of Living Culture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Received : 2009.09.22
  • Accepted : 2009.11.05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 of dress and its ornament introduced in terms of naturalized words on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published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to the Independence(1876-1945). First of all, naturalized words in that period(1876-1945) can be classified into words originated in Japanese, words originated in western countries and borrowed words came from Japan. Borrowed words which came from Japan are almost related to Japan's traditional dress like Gudu, Gabang, Kimono, Nemaki, Ebijahagama, Hagama, Sirusibanden, Doriachi, Dombi, Sarumada, Sseumeeri, Doriachi, and Mombbe. Borrowed words originated in western countries are like Frock coat, Bonnet, Necktie, Chapeau, Scotch, Homespun, Chamois, Skirt, Spring Coat, Ribbon, Silk hat, Panama hat, Handbag, Pajama, Shawl, Apron, Cuffs, Pocket, Handkerchief, Morning coat, Combination-one piece, Rain Coat, Burberry, and Permanent, etc. Borrowed words came from Japan is Lasa[raxa], jokki[jaket], Les[lace], Veludo[velvet], Bbanss[pants], Oba[overcoat], Meliyas[medias], Shass[shirt], Manto[manteau], and Sebiro[civil clothes]. As we can see from the result of research, borrowed word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to the Independence was because of its special social situation, Japanese imperialism, they are divided into real western words and words came from Japan or Japanese. In terms of items, a lot of words related to men's suit and women's dress, accessory, etc. It confirms that men's dress was westernized in the whole part compared to partially westernized women's one. A lot of words used at that period are now adapted to Korean language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words used in the current dress and its ornament area.

Keywords

References

  1. 한글학회 (1995). 우리말 큰 사전. 서울: 어문각, p. 151,
  2. 이정옥 (1973). 개화기 우리라 복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송희 (1984). 개화기 복식의 변천과 그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장윤정 (1995). 개화기 복식의 변천에 관한 고찰.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황지아 (2000). 개화기 한국복식의 변천-조선왕조 국말부터 1945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희 (1987). 개화기 양복도입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자 (1974). 개화기의 문관복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윤 (1986). 개화기 남자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왕지연 (2001). 한국 개화기 남성복에 영향을 미친 일본, 서양복의 남성복.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남윤숙 (1990). 한국 현대 여성 복식제도의 변천과정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수경 (1990). 한국 여성 양장 변천사. 서울: 일지사.
  12. 김선영 (1995). 개화기이후 여자한복 변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경 (1995). 개화기의 여성 복식에 관한 연구-1880-1945-.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영섭 (1994). 개화기 국어 어휘 자료집 1, 2, 3.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15. 한국잡지정보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3. 6, 자료출처 http://www.kmpa.or.kr
  16. 신문박물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2. 25, 자료출처 http://www.presseum.or.kr
  17. 이기문 감수 (1996). 동아 새국어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1519
  18. 박영섭 (1997).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 5(외래어편). 서울: 박이정, p. 11.
  19. 신문박물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2. 25, 자료출처 http://www.presseum.or.kr
  20. 한국잡지정보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3. 6, 자료출처 http://www.kmpa.or.kr
  21. 매일신보(1998). 매일신보 권 4, 경인문화사, 1912년 11월 27일 1면.
  22. 매일신보(1998). 매일신보 권 4, 1913년 1월 24일 1면.
  23. 매일신보(1998). 매일신보 권 4, 1912년 12월 21일 1면.
  24.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0, 1916년 11월 26일, 3면.
  25.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5, 1919년 10월 12일 1면.
  26.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1, 1917년 4월 3일 1면.
  27. 신문박물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2. 25, 자료출처 http://www.presseum.or.kr
  28. 배양서 (1976). 한국외래어사전, 서울: 탑출판사, p. 270,
  29. 조선총독부편 (1920). 조선어사전. 조선총독부, p. 583.
  30. 한국잡지정보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3. 6, 자료출처 http://www.kmpa.or.kr
  31.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7, 1921년 2월 11일 3면.
  32. 배양서 (1976). 한국외래어사전, 서울: 탑출판사, p. 25.
  33. 신문박물관. 촬영일시 2009. 8. 20
  34.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65, 재인용.
  35.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04.
  36. 배양서 (1976). 한국외래어사전, 서울: 탑출판사, p. 87.
  37. 패션전문자료사전 편찬위원회 (1997). FASHION 전문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p. 352.
  38. 문세영 (1946). (수정 증보) 조선어사전. 발행자불명(국립중앙도서관 소장), p. 11.
  39. 국사편찬위원회편 (2007). 광고, 시대를 읽다. 서울: 두산동아, p.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