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Affecting the Fertility Intention in General-hospital Nurs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출산의도 관련요인

  • Received : 2009.09.05
  • Accepted : 2010.05.19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 of nurses who work in general hospital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are 674 nurses at the peak fertility age of 20-39 years old, who work in 4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 The mean score of subjects' fertility intention is 3.69 in 5-point scale. The fertility inten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ertility intention of the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as influenced by the TPB variables such as the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Thus, a comprehensive approach strategy is needed considering these factors.

Keywords

References

  1. 김도영 (2007). 육아지원정책이 자녀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명희 (1997). 계획적 행위이론에 근거한 피임교육 프로그램이 피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수강 (2007). 영유아 어머니의 예방접종 행위 모형 구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영임, 정혜선, 배경희 (2007). 건강증진 이론과 적용. 서울: 에피스테메.
  5. 김윤성 (2007). 임산부의 재출산 의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자희 (2006). 조직의 제도적 특성이 취업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은 (1999). 초임 여성의 모유수유 행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마미정 (2007).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은영 (2007). 초임부와 배우자의 재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현주 (2006).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희수 (2008). 정부 출산장려정책과 재출산의도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경숙 (2004). 간호사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의도의 예측요인.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미라 (2000).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중년여성의 운동의도 및 운동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30(3), 537-548.
  14. 이삼식 (2005). 저출산 고령화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이용복 (2004). 보육서비스가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인재 (2005). 저출산의 시회.경제적 영향. 국회도서관보, 42(12), 24-29.
  17. 이정원 (2007).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합리적-가치적 선택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현정, 조병희 (2002). 남성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산업간호학회지, 11(1), 31-43.
  19. 이혜원 (2005). 캠페인 메시지 유형과 관여도가 남자 대학생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혜경, 이미정, 김경미, 김영란 (2004). 한국출산력 변화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환경분석.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1. 정혜선, 기미영, 구정완, 장원기 (2003). 계획적 행위 이론을 적용한 근로자의 보호구 착용행위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4(4), 40-47.
  22. 지연옥 (1993). Ajzen의 계획적 행위이론 적용을 위한 도구개발. 간호학탐구, 2, 102-115.
  23. 지연옥 (1994). 군 흡연자의 금연행위 예측을 위한 계획적 행위이론 검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최은주, 김순덕, 이제숙 (2007).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수술실 간호사의 감염통제 수행행위의 예측.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지, 12(2), 91-102.
  25. 통계청 (2009). 2008 출생통계 잠정결과. Retrieved June 25, 2009 from http:// www.nso.go.kr
  26. 현혜진 (1998). 의도개선을 통한 고지혈증 근로자의 운동효과-계획적 행위이론을 근간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Hausenblas, H., Downs, D. S., Giacobbi, P., Tuccitto, D., & Cook, B.. (2008). A multilevel examination of exercise intention and behavior during pregnancy. Soc Sci Med, 66(12), 2555-2561.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8.02.002
  28. McMillan, B., Conner, M., Green, J., Dyson, L., Renfrew, M., & Woolridge, M. (2009).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inform interventions aimed at increasing breastfeeding uptake in primiparas experiencing material deprivation. Br J Health Psychol, 14, 379-403. https://doi.org/10.1348/135910708X336112
  29. Montano, D., Kasprzyk, D., & Taplin, S. H. (1997).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30. Norman, P., Conner, M., & Bell, R. (1999).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ogy, 18, 89-94. https://doi.org/10.1037/0278-6133.18.1.89
  31. Richer, K., Podhisita, C., Chamratrithironq, A., & Soonthorndhada, K. (1994). The impact of child care on fertility in urban thailand. Demography, 31(4), 651-662. https://doi.org/10.2307/2061797
  32. Wong, C. L., & Mullan, B. A. (2009). Predicting breakfast consumptio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nd the investigation of past behaviour and executive function. Br J Health Psychol, 14, 489-504. https://doi.org/10.1348/135910708X36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