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현대의 전통한복에 사용된 장식기법의 유형과 특성 [제II보] - 2006~2009년 화보에 나타난 여자한복을 중심으로 -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coration Techniques Applied to Traditional HanBok [Part II] - Focusing on Traditional HanBok for Women that were Delivered between 2006 and 2009 -

  • 이영애 (동서대학교 패션디자인) ;
  • 김순구 (동서대학교 패션디자인)
  • Lee, Young-Ae (Dept. Design of Fashion Design, Dongseo University) ;
  • Kim, Soon-Ku (Dept. Design of Fashion Design, Dongseo University)
  • 투고 : 2010.09.13
  • 심사 : 2010.11.28
  • 발행 : 2010.12.31

초록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classifying the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of modern style which are shown in relevant monthly magazin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que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re classified into single and composite types according to decorative components. In the traditional costume of the former type, a quite many of gold and silver foils and embroideries are found. While, in that of the latter type,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decorations, gold and silver foils and embroideries, embroideries and seonchigi or embroideries and stitches is usually used. These decoration techniques are usually applied to some parts of the costume like git, kkeutdong or cuffs, somae or sleeves, jacket or jeogori, the lower hem of the skirt and between joined parts in the skirt. More notably, Korean traditional costumes for women shown in monthly magazines released during the period as mentioned above were investigated to find that a part of the women's clothes, that is, skirt was in most cases decorated with brilliant embroideries. Used together with the techniques, patterns are usually applied onto embroideries and gold or silver foils. Most of the patterns are flower in shape. The main material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is fabrics that have brilliant patterns on the surface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irrespective of season. Consequently, since 2010, flower motive patterns which are important in modern fashion trend will be used in embroideries, gold and silver foils. Additionally, embroideries such as seakdong, applique, drawing made with modern style will be the main stream of new HanBok styl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진. (2006). 현대 기계지수의 표현효과 연구 - 꽃 문양 표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귀임. (2003). 누비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 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인, 전여선. (2008).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 이미지와 상징성. 服飾, 58(2), 34-37.
  4. 박영순. (1997). 전통한복구성. 서울: 新陽社, p. 60.
  5. 변미연, 김민지, 이인성. (2007). 드라마[궁(宮)]에 나타난 퓨전 스타일 의상에 관한 연구 - 여주인공 의상을 중심으로. 服飾, 57(3), 124-135.
  6. 안명숙, 박진은, 장현주(2007). 우리 옷 만들기. 서울: 교문사, p. 56.
  7. 여다영. (2003). 퀼트기법을 응용한 생활한복 디자인.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언영, 이인성. (2007). 영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의 현대적 표현과 미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 영화(조선남녀상열지사-스캔들)과 (음란서생)을 중심으로. 服飾, 57(7), 122-136.
  9. 이영애. (2002). 아플리케를 응용한 한복문양 디자인 연구 - 서양 건축물의 창을 모티브로.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현상. (2004). 전통 문양을 응용한 한복문양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실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현숙. (2006). 현대 한복의 장식성에 관한 연구 - 1986-1997년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혜경, 박영희. (2004). 한복에 사용된 장식문양을 통하여 본 전통- 현대화 작업에 대한 분석 - 90년대 중반 이후 여성 한복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4(1), 11-21.
  13. 정혜경. (2006). 남북한 전통의상에 사용된 장식문양에 관한 비교연구 - 1990년대 중반이후 여성 한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628-632.
  14. 최선미, 양숙향. (2007). 조각보 이미지를 이용한 여성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2), 145-150.
  15. 하덕순. (1993). 한복에 장식된 문양에 관한 연구 - 80년대-현재까지 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국색채연구소 편. (2006). 우리말 색이름 사전. 경기도: 칼라뱅크커뮤니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