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ake of Health Foods by Outpatients of Hospitals of Oriental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Clinic

한방의료기관별 내원 환자의 건강식품 사용 현황 조사

  • 김경숙 (경희대학교 한방부인과학 교실) ;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방부인과학 교실) ;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방부인과학 교실) ;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방부인과학 교실) ;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방부인과학 교실) ;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방부인과학 교실)
  • Received : 2010.01.28
  • Accepted : 2010.02.10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outpatients' intake status of health food. Methods: The survey of visiting oriental OB&GY clinic in 4 hospitals of oriental medicine and 1 oriental medical clinic has found the status of health food intake. Results: 1. Total respondents were 339(Male: 54, Female: 264) and their average age was $41.4{\pm}11.8$. Outpatients of oriental medicine clinic were 113, outpatients of hospitals of oriental medicine were 226. 2. Among the respondents, 156(40%) persons were taking health food as of today and the proportion of health food intake by oriental medicine clinic's outpatients i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outpatients of hospitals of oriental medicine. 3. There is no difference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among the outpatients who visited the oriental medicine clinic or hospitals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middle income group's health food intake ratio was the highest. 4. The survey showed that heath food intake ratio got higher as persons became old. 5. Among the health foods, the multi-vitamin was most frequently taken. And omega 3, Ginseng steamed red, Vitamin C, Glucosamine, Calcium m were also frequently taken. Conclusion: A study for health food intake status by clinic is indispensable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efficient intake of health food.

Keywords

References

  1. 이은주, 노승욱, 이철호.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연구(II)-건강과 식습관에 관한 소비자 의식구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96;11(4):475-85.
  2. Patrick R. NBJ's Healthy & Functional foods report 2004. Nutrition Business Journal. 2004;20-35.
  3. 우성식. 외국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및 허가제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6;6(1):48-55.
  4. 허석현. 국내 건강기능식품 표시허가 제도 및 발전방향.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6;6(1):43-7.
  5. 이종원, 도재호. 건강기능식품의 시장현황 및 인삼시장의 전망. 고려인삼학회지. 2005;29(4):206-14.
  6. 유양자 등. 서울지역 성인들의 건강보조식품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2002;18(2):136-46.
  7. 구난숙, 박지연. 대전지역 성인 남.녀의 건강보조제 및 건강식품 섭취실태. 한국생활과학회지. 2001;10(2):205-13.
  8. 김진숙 등. 노인성 만성 질환자의 특수영양 및 건강보조 식품의 섭취실태. 한국영양학회지. 2003;36(2):200-10.
  9. 전보현, 이효지. 사무직 남성의 건강 보조식품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2000;16(1):9-16.
  10. 박선희, 황수경. 대전지역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항당뇨기능성 식품 섭취 실태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2008;17(4):797-805.
  11. 양윤준, 서흥관. 일부 건강식품 섭취 실태 조사연구. 인제의학. 1992;13(2):221-32.
  12. 최순 등. 한방부인과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식품 섭취실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152-64.
  13. 박은숙. 청소년의 식이섭취와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95;24(1):30-40.
  14. 김선효. 중년기의 무기질⋅비타민 복용실태조사. 한국영양과학회지. 1994;27:236.
  15. 송병춘, 김미경. 노년기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 실태 조사. 한국영향학회지. 1997;30(2):139-46.
  16. 박흥구. 종합비타민 액제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000;43(1):39-45.
  17. 이희애, 유익종, 이복희. 오메가-3계지 방산 강화 식품류의 연구개발 동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7;26(1):161-74
  18. 곽이성, 박종대, 양재원. 홍삼효능 연구의 최근 현황과 그 전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식품산업과 영양. 2003;8(2):30-37.
  19. Ogita S. Clinical effectiveness of Korean ginseng climacteric disturbances and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고려인삼학회지. 1990;14:162-6.
  20. 김성훈, 이상룡, 도재호. 고려홍삼과 서양삼이 사람의 체온, 맥박수, 임상증상 및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995;19(1):1-16.
  21. 이도현 등.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글루코사민의 효과. 대한슬관절학회지. 2001;13(1):130-6.
  22. 김종면, 정영미. 달맞이꽃 종자유의 면역조절작용.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995;19(1):13-23.
  23. 신숙정, 이정호. 달맞이꽃 종자유 투여가 수컷마우스의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2006;37(2):85-91.
  24. 방현아, 조정순. 양파껍질과 양파육질의 용매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효과. 대한영양사회 학술지. 1998;4(1):14-9.
  25. 임숙자, 최성숙, 한혜경. 양파의 생리적 유용성. 식물자원연구지. 2005;4:113-37.
  26. 하배진. 난소 절제 흰쥐의 혈청 콜레스테롤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비타민 E와 비타민 C의 효과. 생명과학회지. 2000;10(3):254-61.
  27. 임현숙, 진현옥, 이정아. 가임기 여성의 엽산 섭취량 및 엽산영양상태. 한국영양학회지. 2000;33(3):296-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