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and Rainfall Response Characteristics in Haean Basin of Yangu

양구 해안분지에서의 지하수위 분포 및 강우 반응 분석

  • Choi, Hyun-Mi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Jin-Yong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10.07
  • Accepted : 2010.12.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rainfall were examined in the Haean basin of Yangu that has a single stream exit to the east. The groundwater levels showed a circular or elliptical distribution converging the center of the basin with different hydraulic gradients in the north and south regions. The waterlevel elevations exhibited a perfect correlation with topographic elevation ($r^2=0.99$) while the depth to water showed a rather weak correlation ($r^2=0.49$). The water table fluctuation (WTF) method yielded recharge ratios of 6.1~12.65% ($S_y=0.02$) and 15.2~28.5% ($S_y=0.05$). The waterlevels of HG3 well, which is much proximal to a stream, were weakly auto-correlated but they were highly sensitive to direct infiltration from the rainfall event. The shorter regulation times of the HG3 represented a quicker dissipation of the input stress (rainfall).

Keywords

References

  1. 구민호, 이대하, 2002,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의 수치해석적 분석, 지질학회지, 38(3), 407-420.
  2.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10, 국내지하수 현황, www.gims.go.kr.
  3. 권영식, 이형호, 한욱, 김원형, 김동진, 김두일, 염승준, 1990, 해안분지의 지구과학적 분석, 지구과학회지, 11(3), 236-241.
  4. 김규범, 이명재, 김정우, 이진용, 이강근, 2004, 수위강하곡선을 이용한 함양량 추정기법의 국가 지하수관측소 지하수위 자료에의 적용성 평가, 14(3), 지질공학, 313-323.
  5. 김봉균, 박용안, 1967, 펀치볼의 생성원인, 지질학회지, 3(1), 61-66.
  6. 김태희, 김용제, 이강근, 2006, 지하수 함양량 추정시 공간상에서의 자료 Sampling 방법에 따른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의 적용성에 관한 검토, 지하수토양환경, 11(3), 52-58.
  7. 안정훈, 함세영, 이정환, 김남훈, 양대복, 황지광, 2008, 물수지 및 수리지질 분석을 통한 울산광역시 중괘천-보은천 지역의 지하수 함양량산정, 자원환경지질, 41(4), 427-442.
  8. 원종관, 나기창, 이문원, 1988, 민통선 북방지역 지질, 민통선 북방지역자원조사 보고서(지질), 문화재청, p. 114-120.
  9. 원종관, 이문원, 우준기, 1987, 해안분지의 지질과 지형적 특성, 강원대학교 개교40주년 기념도서, p. 45-57.
  10. 원종관, 이문원, 진명식, 한상복, 2006, 양구 해안분지, 2006 지질.광물문화재 정밀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p. 50-83.
  11. 윤상웅, 조윤주, 이진용, 2009, 양구 해안분지에서 지하수위 변동과 하천유출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율 추정 비교, 지질학회지, 45(4), 391-404.
  12. 이봉주, 문상호, 조병욱, 성익환, 이철우, 2001,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지하수위 변동의 원인 규명, 지질학회지, 37(2), 287-296.
  13. 이진용, 2009, 양구군 해안분지 지역에 대한 수리지질 및 수문학적 연구의 중요성, 지질학회지, 45(4), 405-414.
  14. 이진용, 이강근, 2002, 강우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양상 비교분석: 강원도 원주지역과 경기도 의왕지역, 지하수토양환경, 7(1), 3-14.
  15. 정지민, 박유철, 조윤주, 이진용, 2010, 강원도 춘천시 천전리 지하수위 변동자료의 시계열 분석, 지질학회지, 46(2), 171-176.
  16. 최인혁, 우남칠, 2007, 지하수 함양량 평가를 위한 NRCS-CN 법의 적용 한계, 지하수토양환경, 12(5), 1-6.
  17. 하규철, 고경석, 고동찬, 염병우, 이강근, 2006,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하천수위에 따른 다심도 관정의 지하수위 변동해석, 자원환경지질, 39(3), 269-284.
  18. 한국농촌공사, 2008, 이현지구 밭기반정비 지하수개발 지하수영향조사서, 한국농촌공사 강원지역본부, p. 53.
  19. Angelini, P., 1997, Correlation and spectral analysis of two hydrogeological systems in Central Italy, Hydrol. Sci. J., 42(3), 425-439. https://doi.org/10.1080/02626669709492038
  20. Healy, R.W. and Cook, P.G., 2002, Using groundwater levels to estimate recharge, J. Hydrol., 10, 91-109.
  21. Larocque, M., Mangin, A., Razack, M., and Banton, O., 1998, Contribution of correlation and spectral anayses to the regional study of a karst aquifer (Charente, France), J. Hydrol., 205, 217-231. https://doi.org/10.1016/S0022-1694(97)00155-8
  22. Lee, J.Y., Lee, K.S., Choi, H.M., Jo, Y.J., and Park, Y., 2010, 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in a basin, Korea: indication of fast circulation. C.R. Geoscience (submitted).
  23. Lee, J.Y., Yi, M.J., and Hwang, D., 2005, Dependency of hydrologic responses and recharge estimates on water-level monitoring location within a small catchment, Geosciences J., 9(3), 277- 286. https://doi.org/10.1007/BF02910588
  24. Moon, S.K., Woo, N.C. and Lee, K.S., 2004,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graphs and water-table fluctuation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J. Hydrol., 292, 198-209. https://doi.org/10.1016/j.jhydrol.2003.12.030
  25. Scanlon, B.R., Healy, R.W., and Cook, P.G., 2002, Choosing appropriate techniques for quantifying groundwater recharge, J. Hydrol., 10, 1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