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aring Expenditure and the Intens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자녀 양육비와 둘째 자녀 출산의도

  • Lee, Seong-Lim (Department of Consumer & Family Sciences, Sungkyunkwan University)
  • 이성림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 Received : 2010.08.19
  • Accepted : 2010.10.19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xpenditures for childrearing and the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applying the recursive equation model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households with one child did not have an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Second, about 40% of the household expenditure was spent for childrearing. About 36% of the childrearing expenditure was spent on the childcare and education, and about 64% on purchase of goods and services for child. Third, the variables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were child's age, mother's education, father's income,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for child. The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childrearing expenditure. The implications for the family policies were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공선영(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 119-149.
  2. 김두섭, 차승은, 송유진, 천희란, 김정석(2007). 저출산 사회의 결혼 자녀양육과 가족생활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정호(2009). 여성의 임금수준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개발연구, 31(1), 105-138.
  4. 류연규(2005).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사회보장연구, 21(3), 233-261.
  5. 박세경(2006). 저출산시대의 자녀양육 부담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11, 33-49.
  6. 보건복지가족부(2008). 저출산 고령화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7. 손승영(2007). 한국사회 저출산의 단계별 분석과 젠더논의. 담론 201, 10(1), 207-243.
  8. 신윤정(2008). 보육 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9. 안종범(2010).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재정정책 과제. 서울: 국제무역경영연구회.
  10. 오유진, 박성준(2009). 저출산의 경제학적 분석. 한국경제학보, 15(1), 91-112.
  11. 우남희, 김영심, 이은정, 김현신(2009). 저출산 시대의 자녀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97-325.
  12.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의 이행-최근 우리나라 저출산이 갖는 의미. 보건복지포럼 102, 25-35.
  13.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외(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외(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이미란(2010). 기혼여성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99-121.
  16. 이성림(2007). 우리나라 가계의 자녀양육 비용과 추정방법. 대한가정학회지, 45(2), 77-90.
  17. 이정원(2009).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 결정 경로분석. 사회복지연구, 40(1), 323-351.
  18. 장혜경, 이미정, 김경비, 김영란(2004). 저출산시대 여성과 국가 대응전략.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9. 차경욱(2005) 저출산가계와 출산계획이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37-148.
  20. 허경옥(2007). 다양한 측정방법을 활용한 자녀양육비 측정 및 새로운 측정 방법 개발. 소비자학연구, 18(3). 19-42.
  21. Becker, G.(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2. Willis, R.(1973). A New Approach to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Behavio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2), S14-S64. https://doi.org/10.1086/260152

Cited by

  1.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sources on the Cost of Child Rearing vol.13, pp.2, 2012, https://doi.org/10.6115/ijhe.2012.13.2.39
  2.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cond Childbirth Plans for Employed Mothers with An Infant of 10 Months or Younger vol.21, pp.1, 2012, https://doi.org/10.5934/KJHE.2012.21.1.95
  3. A Study on the Income Class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the Policy Implications vol.30, pp.6,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6.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