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공선영(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 119-149.
- 김두섭, 차승은, 송유진, 천희란, 김정석(2007). 저출산 사회의 결혼 자녀양육과 가족생활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정호(2009). 여성의 임금수준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개발연구, 31(1), 105-138.
- 류연규(2005).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사회보장연구, 21(3), 233-261.
- 박세경(2006). 저출산시대의 자녀양육 부담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11, 33-49.
- 보건복지가족부(2008). 저출산 고령화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손승영(2007). 한국사회 저출산의 단계별 분석과 젠더논의. 담론 201, 10(1), 207-243.
- 신윤정(2008). 보육 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 안종범(2010).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재정정책 과제. 서울: 국제무역경영연구회.
- 오유진, 박성준(2009). 저출산의 경제학적 분석. 한국경제학보, 15(1), 91-112.
- 우남희, 김영심, 이은정, 김현신(2009). 저출산 시대의 자녀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97-325.
-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의 이행-최근 우리나라 저출산이 갖는 의미. 보건복지포럼 102, 25-35.
-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외(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외(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미란(2010). 기혼여성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99-121.
- 이성림(2007). 우리나라 가계의 자녀양육 비용과 추정방법. 대한가정학회지, 45(2), 77-90.
- 이정원(2009).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 결정 경로분석. 사회복지연구, 40(1), 323-351.
- 장혜경, 이미정, 김경비, 김영란(2004). 저출산시대 여성과 국가 대응전략.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차경욱(2005) 저출산가계와 출산계획이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37-148.
- 허경옥(2007). 다양한 측정방법을 활용한 자녀양육비 측정 및 새로운 측정 방법 개발. 소비자학연구, 18(3). 19-42.
- Becker, G.(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Willis, R.(1973). A New Approach to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Behavio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2), S14-S64. https://doi.org/10.1086/260152
Cited by
-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sources on the Cost of Child Rearing vol.13, pp.2, 2012, https://doi.org/10.6115/ijhe.2012.13.2.39
-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cond Childbirth Plans for Employed Mothers with An Infant of 10 Months or Younger vol.21, pp.1, 2012, https://doi.org/10.5934/KJHE.2012.21.1.95
- A Study on the Income Class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the Policy Implications vol.30, pp.6,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6.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