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Korean Retirees' Life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남녀 은퇴자의 은퇴전이 경험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 Sung, Mi-Ai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Choi, Sae-Eun (Maryland Population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Maryland-College Park)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 최새은 (매릴랜드주립대학교 인구센터)
  • Received : 2010.07.02
  • Accepted : 2010.08.27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career characteristics on retirees' life satisfaction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ve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 betwee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Data were drawn from 2 waves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158 retired men and 145 retired women in the second wave and all of whom had worked at the first wa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Also, famil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 spouse's work status and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such as marriage and employment, influenc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Financial support from adult children living elsewh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was only found in effects of living arrangement (living alone/with a spouse vs. multipl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on retirees' life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인(2007). 은퇴 남성 노인의 어려움과 적응에 관한 연구: 자아 복합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59-283.
  2. 강지숙(2008).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28(3), 477-496.
  3. 권문일(1996). 노인의 퇴직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권승, 황규선(2004). 노년층의은퇴결정요인에관한연구: 성별, 거주지별차이분석을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3), 69-90.
  5. 김명자(198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0(3), 45-54.
  6. 김애순, 윤진(1995). 은퇴이후의 사회심리적 영향 -은퇴는 위기인가?-. 조기퇴직과 장,노년기의 위기문제. 제6회 노인복지세미나. 서울: 서울특별시, 한국노년학회.
  7. 김지경(2005). 성별 은퇴사유와 은퇴 후 소득비교. 사회보장연구, 21(2), 55-76.
  8. 김연정(1998). 은퇴노인가계와 취업노인가계의 소득, 지출 및 자산의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6(7), 57-67.
  9. 김영옥, 양인숙, 김한준(2002). 지식경제의 여성인력 수요와 직종개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0. 김태현(1981).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태현(1998). 노후생활 준비교육. 노후생활 준비교육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1-22.
  12.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예순(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II). 한국노년학, 19(1), 61-81.
  13. 백지은(2008). 한국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 차이. 한국노년학, 28(2), 227-249.
  14. 성미애(1999). 남성 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성미애, 옥선화(2004). 여성 퇴직자의 퇴직 후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과 문화, 16(2), 55-91.
  16. 신화용(1996). 남편의 은퇴와 부부관계의 변화에 대한 탐색적 고찰-부인과 남편의 지각 비교-.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4, 117-131.
  17. 신화용, 조병은(2001).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자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1), 39-51.
  18. 신효식, 이선정(2007). 퇴직한 남자 노인의 가족자원 및 관련 변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87-213.
  19. 이가옥, 이지영(2005).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1), 93-120.
  20. 장상희(1983). 대도시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조사연구, 2(1), 49-64.
  21. 장인협, 최성재(2003).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2. 장지연(2003).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3. 지연경, 조병은(1991). 내외 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2), 217-240.
  24. 최문정(2005). 고령근로자 은퇴과정에 관한 연구: 주된 일자리와 은퇴과정 계층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허정무(1994), 교원의 정년퇴직 준비과정과 퇴직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홍성희, 곽인숙(2007).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89-104.
  27. Atchley, R.(1971). Retirement and leisure participation: Continuity or crisis. The Gerontologist, 11(1), 13-17. https://doi.org/10.1093/geront/11.1_Part_1.13
  28. Burgess, E.(1960). Family structure and relationship. In Burgess, E.(ed.). Aging in western societ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Campbell, A., Converse, P., & Rodgers, W.(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30. Frees, E. W. (2004). Longitudinal and Panel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 in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George, L., & Maddox, G. L.(1977). Subjective adaptation to loss of the work rol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32(4), 456-462. https://doi.org/10.1093/geronj/32.4.456
  32. Hardy, A.(1985). Occupational structure and retirement In J. S. Blau(ed). Current perspectives on aging and the life course. Greenwich: JAI Press Inc. 111-146.
  33. Johnson, D.(2005). Two-wave panel analysis: Comparing statistical Methods for studying the effects of transi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1061-1075.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5.00194.x
  34. Kelly, J. R.(1996). Leisure. Needham Heights: Allyn & Bacon Co.
  35. Maddox, G. L.(1970). Adaptation to retirement. The Gerontologist, 10(1), 14-18. https://doi.org/10.1093/geront/10.1_Part_2.14
  36. Miller, S.(1965). The social dilemma of the aging leisure participant. In Rose, A. & Peterson, W.(eds.). Older people and their social world. Philadelpha: F.A. Davis Co.
  37. Palmore, E. B., Fillenbaum, G. G., & George, L. K.(1984). Consequences of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39(1), 109-116. https://doi.org/10.1093/geronj/39.1.109
  38. Pavot, W., & Diener, E.(1993).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5, 164-172. https://doi.org/10.1037/1040-3590.5.2.164
  39. Phillipson, C.(1993). The sociology of retirement. In Bond, J., Coleman, P., & Peace, S.(eds.). Ageing in sociey-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London: Sage Publications.

Cited by

  1. Levels and Determinants of Retiree Life Satisfaction in Saudi Arabia pp.1874-7876, 2019, https://doi.org/10.1007/s12062-018-92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