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Youth Runaways

가출 청소년을 위한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 Chung, Moon-Ja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Yonsei University) ;
  • Kim, Jin-Y (Child & Family Counseling Center, Yonsei University) ;
  • Kim, Tae-Eun (Child & Family Counseling Center, Yonsei University) ;
  • Choi, Nan-Kyung (Child & Family Counseling Center, Yonsei University)
  • 정문자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진이 (연세대학교 아동.가족상담센터) ;
  • 김태은 (연세대학교 아동.가족상담센터) ;
  • 최난경 (연세대학교 아동.가족상담센터)
  • Received : 2009.09.30
  • Accepted : 2009.11.17
  • Published : 2010.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icacy of a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runaway yout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program was based on Solution-Focused, Satir's Experiential, and Cognitive-Behavioral models. Need assessment analysis of youth shelter worker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runaway youths, and advisory council meetings were used as a complementary resource for this study. Thirty-one runaway youths from 6 youth shelters in Seoul and Kyunggi participated in 4 two-hour sessions of this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All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pre-test and post-test analysis in order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rticipants' self-esteem,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understanding of family values.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청소년위원회(2006). 단기청소년쉼터 세부운영모형개발연구. 서울: 국가청소년위원회.
  2. 김민정(2003). 게슈탈트 집단치료가 가출 청소년의 자기개념,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민정, 김정규(2006). 게슈탈트 집단치료가 가출 청소년의 자기개념,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여자 가출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41-57.
  4. 김수정, 손경숙(2007). 가출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사회복지연구, 35, 409-439.
  5. 김영순, 김혜원(2007). 청소년 가출의 실태 파악과 가정, 학교, 성격 및 자아개념과의 관련성 분석.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지, 5(2), 43-55.
  6. 김영진(2005). 해결중심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립아동의 교우관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정원(1992).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 인지적 몰락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향초(2005). 가출 청소년 이해와 지원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9. 김희정(2007). 문제아동을 위한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277-299.
  10. 남궁정, 조호제(2008). 가출여자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진로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1), 125-146.
  11. 도수경(1990). 가출 경험 소녀와 비가출 경험 소녀 간의 가족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류은수(2006). 인지 행동적 집단치료가 가출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우울, 불안, 분노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은민(2008). 가정학대 피해 가출 청소년을 위한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손경숙(2008). 가출청소년의 사회성 기술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임상사회사업연구, 5(3), 25-48.
  15. 심혜숙, 김수연(2000). Satir 가족조각기법 집단상담이 인생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및 상담효과 요인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지, 8(2), 3-22.
  16. 유한규(1997).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정희(2000).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지현(2008). 가출 청소년의 가족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화자(2002).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중년부부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연구: Satir의 가족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장윤정(1998). 여성청소년의 가출태도 및 예방적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여중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전귀연, 배문조(2001). 가출행동 빈도에 따른 청소년의 가족 특성비교. 한국가족복지학, 6(1), 107-125.
  22. 정문자(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3. 정문자, 김진이, 김태은, 김수지(2007). 아동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 28(4), 229-244.
  24. 정문자, 김진이, 이현주(2005). 이혼 가정의 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의 효과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6), 145-168.
  25. 최정은, 김성천(2006).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시설거주 가출 소녀의 자아존중감과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4(2), 23-52.
  26. 청소년보호위원회(2002). 청소년유해환경종합실태. 서울: 청소년보호위원회.
  27.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2006). 가출 청소년 및 청소년쉼터 실태조사. 서울: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28. 현은민(2000). 청소년의 가출 : 가족적 , 개인적 요인 및 대처 행동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2), 41-55.
  29. Bao, W., Whitbeck, L. B., & Hoyt, D. R.(2000). Abuse,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homeless and runaway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 Social Behavior, 41, 408-420. https://doi.org/10.2307/2676294
  30. Canary, D. J., Cody, M. J., & Manusov, V.(2000).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 goals-based approach. New York: Bedford/St. Martin's Press.
  31. Clatts, M., Davis, W., Sotheran, J., & Atillasoy, A.(1998). Correlates and distribution of HIV risk behaviors among homeless youths in New York Cit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policy. Child Welfare, LXXVII(2), 195-207.
  32. Corey, G.(2003).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6th Ed.). Belmont, CA: Wadsworth/Thompson.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 조현재(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1년 원저 발간)
  33. Giffords, E., D., Alonso, C., & Bell, R.(2007). A Transitional Living Program for Homeless Adolescents: A Case Study. Child Youth Care Forum, 36, 141-151. https://doi.org/10.1007/s10566-007-9036-0
  34. Gingerich, W, J., & Eisengart, S.(2000). Solution- Focused Brief Therapy: A Review of the Outcome Research. Family Process, 39(4), 477-498.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0.39408.x
  35. Knell, S. M.(1998).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1), 28-33.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701_3
  36. Lee, A.(1997). Psychoanalytic play therapy. In O'Connor, K., & Braverman, L.(1997). Eds. Pla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NY: Wiley & Sons.
  37. Nichols, M., & Schwartz, R.(2002).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 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김영애, 정문자, 송성자, 제석봉, 심혜숙, 김정택, 정석환, 김계현(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1년 원저 발간)
  38. Nims, D. R.(2007). Integrating play therapy techniques into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6(1), 54-68. https://doi.org/10.1037/1555-6824.16.1.54
  39. Offer, D., Ostrov, E., & Howard, K. I.(1981). The Adolescent: A psychological Self-portrait. New York: Basic Books.
  40. Paylo, M. J.(2005). Helping families search for solutions: Working with adolescents. Family Journal, 13, 456-458. https://doi.org/10.1177/1066480705278687
  41. Peled, E., & Muzicant, A.(2008). The meaning of home for runaway girl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4), 434-451. https://doi.org/10.1002/jcop.20222
  42. Riley, D. B., Greif, G. L., Caplan, D. L., & Macaulay, H. K.(2004). Common themes and treatment approaches in working with families of runway youth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2, 139-153. https://doi.org/10.1080/01926180490424190
  43.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4. Rotheram-Borus, M. J., Koopman, C., Haignere C., & Davied, M.(1991). Reducing HIV sexual risk behaviors among runaway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6, 1237-1241. https://doi.org/10.1001/jama.266.9.1237
  45. Slesnick, N., & Prestopnik, J. L.(2005). Ecologicallybased family therapy outcome with substance abusing runaway adolescents. The Journal of Adolescence, 28, 227-298.
  46. Slesnick, N., & Prestopnik, J. L.(2009). Comparison of family therapy outcome with alcohol-abusing, runaway adolescent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5(3), 255-277. https://doi.org/10.1111/j.1752-0606.2009.00121.x
  47. Whitbeck, Les B., Hoyt, D. R., & Ackley, K. A.(1997). Families of homeless and runaway adolescents: A comparison of parent/caretaker and adolescent perspectives on parenting, family violence, and adolescent conduct. Child Abuse & Neglect, 21(6), 517-528. https://doi.org/10.1016/S0145-2134(97)00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