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Model of Ship Management in Korea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 and Japan -

한국선박관리업의 발전모델에 관한 연구 - 한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Park, Jun-Won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wak, Kyu-Seok (Department of Logistics,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박준원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곽규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Domestic ship management was extended by the growth of the shipping industry. It is time to specialize and globalize ship management not simply deploying seaman but managing ship owners' properties.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s that Japanese ship management, which has been influenced ship management business in Korea, could not own the international level of companies and suggests the decline model of Japanese ship management business. Finally This paper provides the successful model of ship management business in Korea and the way to convert into the model.

해운업의 성장과 더불어 국내 선박관리업의 시장도 급격히 확대되어 이제 과거의 인력송출이라는 단순한 업무에서 벗어나 선주재산의 관리라는 측면에서 기업다운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새롭게 조명해야 할 단계에 이르게 되었고, 그 대상도 국내를 벗어나 국제시장을 대상으로 글로벌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단계가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선박관리업의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일본이 선박관리업에서 국제적 수준의 독립선박관리회사를 보유할 수 없었던 이유를 분석해 보고, 일본에 있어서 선박관리업의 쇠퇴과정을 모델링하며, 이러한 일본의 쇠퇴모델을 따르지 않고 발전하기 위한 한국의 발전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발전모델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제선원노무협회(2005), http://www.immaj.jp.
  2. 류동근, 김종태, 신용존(2008),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선원관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 32권 제 10호 pp.821-827. https://doi.org/10.5394/KINPR.2008.32.10.821
  3. 서양수(2006),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의 구조 고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해사경영학과.
  4. 송성규(2007), "IPA를 이용한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의 경쟁력강화 방안에 대한 실증연구", 석사논문,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해사경영학과.
  5. 조규성, 안기명, 신용존(2003), "한국 선박관리업의 국제 경쟁력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 27권 제 1호 pp.9-18. https://doi.org/10.5394/KINPR.2003.27.1.009
  6. 한국선박관리업협회(1982), http://www.ksmca.or.kr.
  7. 한국해운신문(2007), 선원부족 어떻게 할 것인가, 창사18주년 기념특집.
  8. 해양수산부(2006), 선박관리업 활성화 방안 연구.
  9. KAIUN(2005), 如何に顧客滿足を高めるかが船舶管理會社の使命, 2005년12월호, 社團法人 日本海運集會所.
  10. 運輸白書(2008), 平成元年-12年, 日本國國土交通省, www.mlit.go.jp.
  11. 織田政夫(1993), "船舶管理業の理論と賓際-わが國の實態とその方向-", 海事産業研究所報, No. 321, pp. 7-23.
  12. Japan Maritime Public Relations Center(2008), 海運デ-タ -世界の貿易- www.kaijipr.or.jp.
  13. 船員勞働統計調査(2008), 日本國國土交通省, www.mlit.go.jp.
  14. KAIUN(2006), 世界的職員不足の危機に日本海運は對応できるか, 2006년7월호, 社團法人 日本海運集會所.
  15. 栢原信郎(2006), 船舶管理における監督(Superintendent)の役割, 日本郵船.へイエルダ-ル記念事業.寄附講義 海事産業社會事情"講義ノ一ト, pp.1-9.
  16. 日本海事廣報協會(2008), http:///www.kaijipr.or.jp/kaiun.
  17. 池上武男(2005), 日本の外航商船の現狀から見た危機管理 のあり方, 日本の海運船舶と危機管理のあり方に關する研究, 東京財団研究報告書 2005-3.
  18. SHIPPINGFACTS(2009), http:///www.marisec.org /shippingf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