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ssay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ersonnel Economics - A Behavioral Scientist's Viewpoint -

인적자원관리와 인사경제학의 비교 - 행동과학자의 시각에서 -

  • Baek, Gwang-Gi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llym University)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radi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explains human characteristics with motivation, attitude, perception, value, etc., based upon behavioral science approach. And system approach is adopted in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However, personnel economics excludes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human choice models, and assumes very unrealistic and simple ra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For environmental variables, personnel economists considers only income and price. Tradi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model successfully explains the phenomenon for each specific situation, but lacks universality. On the other hand, personnel economics model is strict and analytical, but tends to distort the understanding of the results because of the unrealistic assumptions. These two academic fields may get benefits by introducing the other's research methodologies, theories, and ideas.

전통적 인적자원관리는 행동과학적 접근에 입각하여 인간의 특성을 모티베이션, 태도, 지각, 가치관 등의 심리적 변수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왔으며,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에 입각한 상황이론이 연구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반면 인사 경제학에서는 인간의 특성에 관해서 다루는 변수는 선호로 제한되어 있으며, 선호 및 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아주 비현실적이고 단순한 가정 하에 경제학적 환경변수들이 인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만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통적 인적자원관리는 제 각각의 상황에 대한 설명은 풍부하지만 보편적 원리를 도출하는 데에 있어서는 커다란 한계를 지니고 있다. 반면 인사경제학은 연구모델이 엄밀하고 분석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인간 본질에 대한 비현실적 가정에 입각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현상에 대한 이해를 왜곡 시킬 수 있다. 두 학문분야의 교류에 의하여 인적행동에 관한 보다 깊은 이해가 이루어질 잠재력이 충분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인사경제학자들은 그들의 연구모델에 심리적 변수를 포함시켜야 되고 인사관리학자들은 경제학자들의 이론적 정교함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