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erage Correction for Compensation of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in High-rise Buildings

이동 평균법을 이용한 고층 건물의 부등축소량 보정 기법

  • Received : 2010.07.09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vertical members of structures are shortened as time goes on. Because structures have been high-rising and atypical there should be different axial loads among vertical members and it causes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s. The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add stresses to connections, make slab tilt, and damage to non-structural components. To reduce these influences compensation is need. The rational compensation means the exact expectation of amounts of column shortenings and the reasonable corrections. The expectation of column shortenings are more exact as researched,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about the compens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average correction method and the constraints for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s considering errors due to the construction precision. The relations between constraints and the number of correction groups give an objective criterion for decision of constraints.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물의 수직부재가 수축하는 것을 기둥축소라고 한다. 건물의 고층화 및 비정형화 추세 때문에 수직부재들에 작용하는 축하중 크기 간의 차이를 피할 수 없게 되며, 이의 영향으로 인접 수직부재 간의 축방향 축소량이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부등축소량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접합부에 추가적인 응력을 유발시키거나 슬래브의 기울어짐 또는 간벽이나 창호 등 비구조재의 사용성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부등축소량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공 중 수직부재의 설치 시 예측된 보정을 하게 된다. 보정의 합리성은 각 부재별 축소량의 정확한 예측과 예측된 축소량을 이용한 각 부재들의 합리적 보정량 산정에 있다. 부등축소량의 예측은 점점 더 정확해지고 있으나 보정 기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평균법을 사용한 보정 기법과 보정하면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합리적인 제한조건을 제시하였으며, 제한조건의 변화와 보정 그룹 수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제한조건 설정의 객관적인 판단 기준이 되었다. 그리고 이전에 연구되어진 SA 알고리즘을 사용한 최적 보정 기법과 결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이동 평균법 보정 기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CI(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92) 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ACI209 R-92, ACI, Detroit, MI.
  2. Elnimeiri M., Patel D. (1997) Long-Term Vertical Shortening of Reinforced Concrete and Composite High-Rise Structures, Proceedings of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in Civil and Building Engineering, Seoul, Korea: 2329-2353, Techno-Press.
  3. Fintel M., Ghosh S.K., Iyengar H. (1984) Column Shortening in Tall Buildings-Prediction and Compensation, Portland Cement Association, Skokie, Illinois, USA.
  4. Fintel M., Khan F.R. (1969) Effects of Column Creep and Shrinkage in Tall Structures-Prediction of Inelastic Column Shortening, ACI Journal, 66(12), pp.957-967.
  5. Gao Z., Bradford M.A. (1993) Time-Dependent Shortening of Slender RC Columns, Journal of Enginnering Mechanics, ASECE, 119(10), pp.2036-2051. https://doi.org/10.1061/(ASCE)0733-9399(1993)119:10(2036)
  6. Park H.S. (2003) Optimal Compensation of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in High-rise Buildings, The Structural Design of Tall and Special Buildings, 12(4), pp.317-333. https://doi.org/10.1002/tal.224
  7. Seol H.C., Kwon S.H., Yang J.K., Kim H.S., Kim J.K. (2008) Effect of Differential Moisture Distribution on the Shortening of Steel-Reinforced Concrete Column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60(5), pp.313-322. https://doi.org/10.1680/macr.2008.00018
  8. Wonjik Yang, Waonho Yi (2007) Development of a Prediction Algorithm for Column Shortening in High-Rise Buildings Using a Neural Network, Key Engineering Materials, Vols. 348-349, pp.90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