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orkshop Type of Enriched in-Service Program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워크숍 방식의 심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10.2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this study, an enriched in-service program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using the scientific creativity activities developed by Park, Park, & Lee (2008). In this program, science teachers performed scientific creativity activities by themselves and practiced the development of actual teaching materials. As a result, science teachers mentioned that they could achieve their goals by learning about various actual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education.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in-service program was interesting, had appropriate levels of learning difficulty, and that they would apply the teaching programs and teaching strategies to actual gifted education. Observing teachers' actual learning processes during the in-service training course, it was found that they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gram for a long time intensively and could improve conceptual understanding in depth, but it was necessary to long-term creative thinking practice for being beyond the level of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Finally, from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teachers at the final step of the in-service program, it was found which aspects were developed well or were unsatisfactory, therefore, these findings could be applied for more improved in-service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박종원, 박종석, 이강길(2008)이 개발한 과학적 창의성 활동자료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직접 창의성 활동을 수행한 후에 지도 자료를 개발하는 워크숍 방식의 영재심화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수 결과, 교사들은 기존의 프로그램과 달리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도전략을 배우고 실습할 수 있어, 영재지도를 위한 실질적인 목적을 연수를 통해 달성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프로그램들이 흥미롭고 난이도도 적절하여 앞으로의 영재교육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실제 연수활동을 관찰하여 교사들이 오랜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활발하게 참여하였고, 과학개념의 올바른 이해에도 도움을 받았지만, 보다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도록 연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개발한 수업자료에서 잘한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찾을 수 있어, 이러한 부분이 앞으로의 연수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최선영 (2004).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총론, 16, 137-160.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 '08-'12),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박종원, 박종석, 이강길 (2008). 과학적 창의성 활동 자료의 개발.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연구 결과 보고서.
  4. 서혜애, 박경희 (2007). 영재교육 교사연수의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영재교육연구, 17(3), 421-442.
  5.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6. 신원호, 정환재, 박종원 (2009). 과학자의 성장기 분석을 통한 사례 중심의 과학 영재 행동특성 체크리스트 제안. 2009년 국제학술대회 및 제 56 차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 광주: 조선대학교.
  7. 양희정 (2007). 대전지역 영재교육 교원의 전문성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경학, 정환재, 박종원 (2010). 영재 관찰.추천 제 도입에 따른 과학 창의 과제 프로그램 개발. 2010 년 춘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및 10회 전국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학술발표회 발표. 충남 천안: 상록리조트 컨벤션 센터.
  9. 이은진, 김찬종, 이선경, 장신호, 권홍진, 유은정 (2007). 교사.연구자간 협력적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학 교사의 구성주의적 수업에 대한 내면화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54-869.
  10. 최원호,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정훈(2009). 과학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서'교수내용지식'을 활용한 교수 전략의 개발과 적용, 28(1), 9-23.
  11. 한국교육개발원 (2008).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연구보고서 RR2008-3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Callahan, C., Cooper, C., & Glascock, R. (2003). Preparing teachers to develop and enhance talent: The position of national education organizations. Arlington, VA: ERIC Clearinghouse on Disabilities and Gifted Education. (ERIC Document Service No. ED47782).
  13. Chambers, B. (1991). The major work partnership model of teacher training for gifted education, Cleveland, OH: Cleveland Public Schools.
  14. Gross, M. U. M. (2004).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Oxford, UK: Routledge Falmer.
  15. Grubbins, E. J., Westberg, K. L. Reis, S. M., Dinnocenti, S. T., Tieso, C. L., Muller, L. M., Park, S. Emerick, L. J. Maxfield, L. R., & Burns, D. E. (2002). Implementing a Professional Devleopment Model Using Gifted Education Strategies with All Students,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16. Hanninen, G. E. (1988). A study of teacher training in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10(3), 139-44. https://doi.org/10.1080/02783198809553109
  17. Hansen, J. B., & Feldhusen, J. 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1.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304
  18. Westberg, K. L. (1997). A Multi-site case study of successful classroom practices for high ability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1(1), 42-51. https://doi.org/10.1177/001698629704100106

Cited by

  1. 과학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가족활동(FAISC)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vol.33, pp.1,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114
  2.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vol.33, pp.2,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10
  3. 창의·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적 활용방안 탐색 vol.24, pp.4,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4.24.4.483
  4.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 창의성 평가 사례 연구 vol.45, pp.4,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4.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