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 on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by Beginner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 투고 : 2010.04.23
  • 심사 : 2010.12.01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양성기관에서 과학교사교육을 받고, 교직 경력이 5년 이상인 경력 과학교사들과 교육현장에 처음 입문한 초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과학교사양성과정이 과학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 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 양성과정에 대해 경력 과학 교사들과 초임 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경력과학교사 5명과 초임 과학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내용학에 대해 과학 교사들은 과학 지식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식 수업, 교과서와 실험 도구 중심의 수업 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집단 중심의 수업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상호작용적 강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내용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학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과학 교수법 전달의 수업 목표, 수업 시연, 조별 협동학습, 발표 등의 다양한 수업 전략, 컴퓨터 프로그램, 시범 자료, ICT등의 다양한 수업 자료, 지필 평가, 프로젝트 수행, 발표 및 수행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 소집단과 대 집단의 혼용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흥미로운 자료 사용, 다양한 질문법, 협동학습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과학내용학과 마찬가지로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초임교사들이 좀 더 다양한 수업 전략 및 교수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래서 그런지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교육학 과정에 대해 경력 교사는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초임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학이 자신들의 수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대체로 좋은 모델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교과교육학을 전공하지 않은 교수들이 교과교육학을 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셋째, 일반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교육학 이론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와 발표식 수업, 교과서 중심의 수업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 집단 중심의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와 일화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소집단 토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일반 교육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과학 내용학과 일반 교육학 과정은 과학 교사 양성에 걸맞는 상당한 변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eginner and experienced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from which they graduated, and to compare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For the study,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he IMPPACT project' that was being conducted in America. The interview tool includes 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 of science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gener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ir preparation courses. For the interview, seven beginning science teachers,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five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sampled from secondary school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eginner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es of science subject matter were not good model for teaching science in their secondary school, because they were not diverse enough and entailed mostly knowledge transfer just through lecture without teacher-student interaction. Second, most of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were affected positively by the teach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classes for science pedagogical subject matter and they could apply those strategies and methods in their current science teaching. Lastly, most of the beginner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general pedagogical subject matter is important and prerequisite for science teaching in their schools, but the courses that they experienced at their university were not appropriate for their current teach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2. 곽영순(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 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11-625.
  3. 권재술(1999). 과학 교사 양성의 개선 방안. 한국교사교육, 16(1), 91-110.
  4. 김영민, 박종원, 박종석, 이효녕, 김영신, 오희진 (2009).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교사교육연구, 48(3), 33-58.
  5. 김종희, 이기영(2006).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 양성 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90-400.
  6. 박경영, 김영민(2009). 물리 전공이 아닌 중학교 과학교사들의'힘과 운동'내용 지식 영역의 전문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10-922.
  7.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8.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가 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9. 박윤배(1992), 현직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교사의 특성과 사전 교사교육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03-118.
  10. 박승재(1978), 과학교육과 교육과정 계획의 한 모형, 과학교육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 89-102.
  11. 박승재 등(1996).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 연구. 교육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12.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3-786.
  13.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 (2005).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서울: 북스힐.
  14. 오원근, 김재우(2006). 물리 전공이 아닌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빛과 파동 개념. 새물리, 52(6), 512-520.
  15. 장언효(2001). 교사교육 프로그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논총, 21(1), 65-79.
  16.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 맹승호, 정애란 (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17. 진여울(2004). 예비과학교사들의 구성주의 신념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De Jong, O., Korthagen, F., & Wubbles, T. (1998). Research on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Europe: teacher thinking and conceptual change. In B. Fraser and K.G. Tobin(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pp. 745-758),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3). Preservice biology teachers'knowledge structure as a function of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A year-long assessment. Science Education, 77, 25-45. https://doi.org/10.1002/sce.3730770103
  20.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5) Biology teachers'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structure and its relationship to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3), 301-325. https://doi.org/10.1002/tea.3660320309
  21. Grossman, P.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2. Haidar, A. (1997) Prospective chemistry teachers'conceptions of the conservation of matter and related concep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2), 181-197.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2)34:2<181::AID-TEA5>3.0.CO;2-P
  23. Koballa, T., Graber, W., Coleman, D.C., & Kemp, A.C. (2000). Prospective gymnasium teachers'conceptions of chemistry learning and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2), 209-224. https://doi.org/10.1080/095006900289967
  24. Lederman, N.G., Gess-Newsome, J., & Latz, M.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29-146.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5
  25. Milla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King's College.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27. Selly, N.J. (2001). Students'spontaneous use of a particulate model for dissolu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 389-402.
  28.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1, 1-22.
  29. Smith, D.C. (1999). Changing our teaching: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cience. In J. Gess-Newsome & N.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163-197).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0. Tillotson, J. W. & Seltzer, G. (2004). Investigating the Meaningfulness of Preservice Programs Across the Continuum of Teaching (IMPPACT) in Science Education, Project Proposal, NSF Award #ESI-0455819.

피인용 문헌

  1. Influence of Curricular Context Factors within Student- and School-levels on the 2006 PISA Science Achievements of Korean Students vol.15, pp.2,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281
  2.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컴퓨터 관련 지식의 형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vol.52, pp.2, 2010,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2.163
  3.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vol.33,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94
  4. 예비과학교사에게 필요한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연관성 vol.33,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826
  5. 과학 교사의 교과내용학지식과 교과교육학지식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교사의 대기압 수업 사례 vol.33, pp.6,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219
  6.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ddressed in Initial Physics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the Nature of Physics Teaching Practices vol.53, pp.1, 2010, https://doi.org/10.15812/ter.53.1.201403.112
  7. A Study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vol.53, pp.1, 2014, https://doi.org/10.15812/ter.53.1.201403.15
  8.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Examination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s vol.44, pp.1,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79
  9.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vol.12, pp.3, 2010,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24
  10.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vol.13, pp.3, 2010,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70
  11. 학문, 교과, 교과내용, 교과교육 간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vol.40, pp.6, 2020,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6.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