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Seed Fatty Acids Using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NIR) in Mung Bean(Vigna radiata) Germplasm

녹두 유전자원 지방산 함량 대량평가를 위한 근적외선분광법의 적용

  • 이영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김정봉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이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김민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이정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이호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고호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현도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곽재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김정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이용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19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녹두 유전자원의 지방산 함량을 신속 대량 검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유전자원 활용 및 육종 촉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유전자원 평가에 적합한 신속하고 비파괴적인 지방산 함량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공시자원 1,125점의 녹두 종자를 종실상태와 분쇄한 분말상태로 근적외선분광분석기(NIR)를 이용하여 1,104~2,494 nm에서의 스펙트럼을 얻고 이들 중 스펙트럼이 중복되지 않는 원산지가 다양한 대표자원 106점을 선발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고, 이 값과 NIR 스펙트럼 흡광도값 간의 상관분석을 위한 calibration set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및 total fatty acid에 대한 NIR 흡광도와의 상관계수 $R^2$이 각각 0.74, 0.18, 0.12, 0.72, 0.48 및 0.78로 나타났고, 이들 중 $R^2$가 높은 검량식을 미지의 시료 10점으로 검증한 결과, palmitic, linoleic 및 total fatty acid에 대한 검증 상관계수 $R^2$이 0.96, 0.74, 0.81로 나타나, 다양한 녹두 유전자원의 지방산함량 신속 대량 예측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시된 녹두 유전자원 115점 중에서 자원번호 IT208075 자원은 저 지방산 자원($14.24\;mg\;g^{-1}$)으로 선발되었고, IT163279 자원은 고 지방산 자원($18.43\;mg\;g^{-1}$)으로 선발되어 향후 녹두작물의 성분육종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Gaithersburg, MD
  2. Cozzolino D, Kwiatkowski MJ, Parker M, Cynkar WU, Dambergs RG, Gishen M, Herderich MJ. 2004. Predic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ed wine fermentations by visible and near infrared spectroscopy. Analytica Chimica Acta 513:73-80 https://doi.org/10.1016/j.aca.2003.08.066
  3. Gotor AA, Berger M, Farkas E, Labalette F, Centis S, Calmon A. 2007. Quantification of sunflower minor components by near infrared spectrometry(NIR). Helia 30:183-190 https://doi.org/10.2298/HEL0747183G
  4. Jiang ZS, Ma C. 2008. Zhaoyuan of Shandong- vermicelli capital. China Food Quality News pp1
  5. Kim KS, Park SH, Choung MG, Jang YS. 2007. Use of nearinfrared spectroscopy for estimating fatty acid composition in intact seeds of rapeseed. J Crop Sci Biotech 10:15-20
  6. Kwak, CS,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7:921-1077
  7. Kye IS, Jun YS, Cheigh HS. 1989. Functional properties of mung bean protein isolates. J Korean Soc Food Nutr 18:300-306
  8. Lee SY, Lee YY, Lee SK, Cho YH, Ma KH, Kang HK, Gwag JG, Park KH, Lee HS. 2009. Selecting high amylose lines of rice varieties using NIR spectroscopy at the RDA gene bank conserved.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41:108
  9. Moschner C, Biskupek-Korel B. 2006. Estimating the content of free fatty acids in high oleic sunflower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Eur J Lipid Sci Technol 108:606-613 https://doi.org/10.1002/ejlt.200600032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9. The status of plan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11. 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1.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pp.14
  12. Vines, L, Kays SE, Koehler PE. 2005. Near-infrared reflectance model for the rapid prediction of total fat in cereal foods. J Agric Food Chem 53:1550-1555 https://doi.org/10.1021/jf040391r
  13. Zhang, C, Shen Y, Chen J, Xiao P and Bao J. 2008. Nondestructive prediction of total phenolic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rice grain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J Agric Food Chem 56:8268-8272 https://doi.org/10.1021/jf801830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