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실태 분석

Current Research Trends and Present Conditions on Visual Transformation of Digital Text

  • 진성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발행 : 2010.01.28

초록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에 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현재 학습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종합적 메타분석법에 따라 시각적 변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분석함으로써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에 관한 연구 동향을 정리하였다. 총 167편의 선행문헌을 분석한 결과 기능주의적 시각적 변형, 역동적 시각적 변형, 상호작용적 시각적 변형 관련 연구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연구주제별 문헌유형과 연구방법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사례분석법에 의해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 실태가 분석되었다. 우수한 학습 자료로 판단할 수 있는 콘텐츠 12개를 선정하여 연구 동향 결과를 근거로 하여 마련한 분석틀에 따라 각 항목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드러난 문제점으로는 첫째, 타이포그래피 관련 기본적인 설계 원칙들이 충실히 반영되지 않은 경우들이 있었다. 둘째, 텍스트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시각적 설계에 대한 깊은 고려 없이 학습단계별로 내용을 전달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셋째, 웹 테크놀로지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real digital texts on "Visual Transform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dopted two different methods: meta analysis and case study. The research trends on visual transformation of digital text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the total of 167 literature by means of synthetic meta analysis. Relevant literature wa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research: functional, dynamic, and interactional transformation. The type of literature and research methods in each literature wer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real digital texts on visual transformation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case study. The well designed 12 e-learning contents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analysis framework which was drawn by the research trends. The results suggested problems as follows in designing e-learning contents. Firstly, there were some cases that did not follow the basic design principles related to typography. Secondly, the content was just provided in each learning steps without consideration of design to enhance text comprehension in many cases. Thirdly, web technology adequately was not applied to design e-learning cont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형,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33권, pp.4-12, 2007.
  2. 김회수,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의 연구과제”, 교육공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15-134, 1994.
  3. 목정윤, 웹기반 학습자료의 글자체와 강조 방법이 가독성, 선호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 성은모,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텍스트 구조의 시각표상 설계원리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 손지영, 전자텍스트에서 강조기법 효과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 신대균, 읽기 형태, 줄길이, 줄간격이 웹 브라우저에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신청우.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임프레스, 2003.
  8. 안영식, 김영환, 문창민, "웹문서의 텍스트 제시유형에 따른 독해력의 비교," 교육정보방송연구, 제9권, 제3호, pp.177-201, 2003.
  9. 이동주,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정보탐색과제유형과 메뉴유형이 정보탐색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0. 이은영,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이미지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 정재우, 영상매체에 구현되는 한글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2. 조찬우,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Journal Package Design Research, 제20권, pp.121-137, 2007.
  13. 최성희, 교수 메시지 설계, 남두도서, 2003.
  14. 최지연,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멀티동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5. 한안나, 웹 기반 학습환경에서 시각적 조직자의 개발 및 활용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6. 황상재, 박석철, "국내 인터넷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2호, pp.68-92, 2004.
  17. S. M. Alessi and S. R. Trollip, Mulitmedia for Learning: Methods and Development(김동식, 박인우 공역), 서울: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2003.
  18. R. A. Bolt, Spatial Data Management, MIT, Cambridge, 1979.
  19. G. Bonsiepe,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박해천 역.), 서울: 시공아트, 2003.
  20. S. B. Chandler, Comparing the Legibility and Comprehension of Type Size, Font Selection and Rendering Technology of Onscreen Typ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2001.
  21. M. C. Dyson and J. Gregory, “Typographic cueing on screen. Visible Language,” Vol.36, No.3, pp.326-346, 2002.
  22. M. C. Dyson and M. Haselgrove, "The influence of reading speed and line length on the effectiveness reading from screen," Human Studies, Vol.54, pp.585-612, 2001. https://doi.org/10.1006/ijhc.2001.0458
  23. S. Ford, J. Forlizzi, and S. Ishizaki, "Kinetic Typography: Issues in time-based presentation of text," CHI97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pp.269-270, 1997.
  24. J. Forlizzi, J. Lee, and S. E. Hudson, “The Kinedit System: Affective Messages Using Dynamic Texts,” In Proceedings of CHI, ACM Press, pp.377-384, 2003,
  25. J. Geske, Readability of body text in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Effects of type family, size and face, 2000,
  26. M. M. Grant and R. M. Branch,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serif fonts and sans serif fonts in an on-screen reading task,"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Visual Literacy Association, Ames, Iowa, 2000.
  27. S. Ishizaki, "Kinetic typography: Expressive writing beyond the smileys: At the Vision Plus 3," Conference Monographs, 1997(7).
  28. M. O. Leavitt and B. Shneiderman, Research-Based Web Design & Usability Guideline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6.
  29. J. C. Lee, J. Forlizzi, and S. E. Hudson, "The Kinetic Typography Engine: An Extensible System for Animating Expressive Text," UIST02 Conference Proceedings, pp.81-90, 2002.
  30. L. D. Mason, "Design issues for producing effective multimedia presentations," Technical Communication, Vol.44, No.1, pp.65-71, 1997.
  31. R. Oliver, A. Omari, and J. "Herrington, Investigat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WWW-based 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Vo;.25, No.1, 1998.
  32. K. Schriver, Dynamics in Document Design, John Wiley & Sons, 1997.
  33. A. Shapiro and D. Niederhauser, "Learning from hypertext: Research issues and finding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pp.605-620), Mahwah, N.J. : Lawrence Erlbaum, 2004.
  34. D. Small, Rethinking the Boo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99.
  35. F. Thissen, Screen Design Manual: Communication Effectively Through Multimedia, Springer-Verlag Berlin-Heidelberg, 2004.
  36. J. Tschichold, 타이포그라픽 디자인 (안상수 역.), 서울: 안그라픽스, 1993.
  37. W. L. Wallace, "Metatheory, Conceptual standardization, and the future of sociology," In G. Ritzer (ed.), Metatheorizing, SAGE Publication, 1992.
  38. M. Youngman and L. Scharff, Text width and margin width influences on readability of GUIs. 1998.